베네딕트 수도원 연구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Ⅰ. 들어가는 말

Ⅱ. 몸말

1. 수도원 운동 발전의 대략
2. 베네딕트의 생애

1) 로마를 떠나기까지
2) 초기의 수도 생활
3) 몬테카시노의 수도원 설립
3. 베네딕트 수도원


Ⅲ 맺는 말

Ⅳ 참고 문헌

본문내용

가 되기를 원하는 이들에게는 세상으로부터 분리되어지기 위한 단절과 동시에 영원히 수도원에 머물 것을 약속하고 삼중의 서약을 맹세하게 되는데, 이것은 a)수도원 규율을 절대로 지킨다. b)자발적으로 빈곤한 생활을 하며 (재산의 공유) 순결한 생활(독신 생활도 포함)을 한다. c)절대적으로 원장의 명령에 순종한다. 등이었는데, 간략히 청빈과 순결, 그리고 수도원의 규율과 지도자들에 대한 순종이었다.
몬테 캇시노에서 베네딕트가 제정한 서론과 73 장으로 구성된 수도원 규칙을 살펴보면 서론 다음에 도덕, 사회, 예배, 징벌 등에 관한 규율이 차례로 기록되어 있는데 이것은 샤프의 말대로 단순하면서도 빈 구성이 없는, 그러면서도 엄격한 것과 온정미를 함께 갖춘, 겸손하면서도 굴종함이 없는 아주 치밀하고 통일된 기관으로서의 수도원 생활의 전반을 규정지어 놓은 것이다.
. E.S.모이어,「인물 중심의 교회사」, 곽안정,심재원 공역, (서울: 대한기독교서회,1991), 142쪽.
예를 들어 2,3장에 걸쳐서는 하나님의 대리자로서 수도원을 다스리는 원장(Abbot)에 대한 자격을 규정하고 있는데, 그에게는 수도원을 관리, 경영, 치리하는 모든 권한이 주어졌으며 각 수도사들이 비록 아무리 어렵고 힘든 명령에도 원장에게 절대 순종할 것을 서약하는 동시에, 수도사들 자신이 원장을 선출하며, 전체 수도사들의 회의와 의논을 강화하여 중요한 문제에 대한 간접적인 결정권도 주어졌다. 이 영적인 성채를 세상으로부터 격리시켜도 계속 유지될 수 있도록, 베네딕트는 가능한 한 인간 생활을 영위하는데 필요한 모든 설비들을 수도원들이 갖추도록 조치하였다. 수도사들은 자기들의 의 복을 직접 짰으며, 포도주도 담그고, 목공과 석수일들도 하였다. 그 밖에 조직과 실천과 의식주의 간소한 생활 등을 기록하고 있다. 베네딕트는 수도사들이 수도원 밖을 헤매는 것이야말로 영적으로 굉장히 위험한 일로 간주하였다. 특별히 예배가 수도 생활의 중요한 부분이었으므로, 이를 엄중하게 지킬 수 있도록 베네딕트의 규율은 조처하고 있었다. 하루 24 시간 동안 7 회의 최소한 4 시간 예배 외에 새벽 2 시에 "비질(vigil=철야)"이라는 예배를 첨가하였다. 그러나, 다른 여러 수도원들의 규율들과는 달리 비질만을 제외하고는 베네딕트의 예배들은 매우 간단하고 짧게 되어 있었다. 이들은 겨우 20 분 가량이며, 그 내용은 주로 시편의 낭독이었다. 가장 유익한 규정으로 꼽을 수 있는 것은 노동에 관한 규정이었다. "나태는 영혼의 적이다. 따라서 수도사들은 일정한 시간 동안 육체 노동에 종사해야 한다. 그리고 일정한 시간은 종교적인 독서에 보내야 한다."고 말하면서 노동이 가지는 도덕적 가치를 깊이 인식하고 있었다. 육체 노동과 정신 노동은 계절에 따라 차이가 있게 마련인데, 여름이나 수확기에는 육체 노동의 시간이 많아 졌으며, 겨울철 특히, 사순절 기간 중에는 독서의 시간을 더 늘리도록 했다. 또 모든 베네딕트 파의 수도원에는 도서관이 설치되었고, 이를 통한 예술적 기여와 교육 기관으로서의 역할은 실로 엄청난 것이었다.
아무튼 73장의 규칙 속에는 그것을 지키는 수도사들이 최소한의 덕스러운 품성을 지니며, 진실로 선한 영성적인 삶을 추구하며 살아가게 됨을 기록의 목적으로 하고 있으며, 문서 속에 나타난 규칙만이 아니고 모든 교부들과 신구약 성경에 나타난 교훈과 교부들의 생애와 규례, 특히 바질의 규칙 등이 수도 생활에 유익한 지침이 됨을 지적하면서 그의 수도원 규칙을 끝맺고 있다.
. The Library of christian classics, vol xii, Western Asceticism, pp.291 - 337.
Ⅲ 맺는 말
앞에서도 말하였거니와 베네딕트 수도원의 엄격한 규율은 필수적인 것이었다. 그것은 당시에 흐트러진 기독교 정신을, 이를테면 기독교 영성을 회복시키며, 세상에 짝하지 아니하고자 하여 신앙의 구별된 삶을 추구하였다는 점만으로도 - 비록 그 후에 발생한 부의 축적 등으로 인한 부패가 있었고, 결정적인 몇몇의 오류들이 범해졌다손 치더라도 이것마저도 우리에게 좋은 귀감이 된다고 볼 수 있겠다. - 혼돈과 무질서, 상대주의와 이기주의로 어지럽혀진 세상에 현재를 사는 기독교계의 지도자와 신학도들이 어떻게 접근하며 어떠한 대안을 내어놓아야 하는지는 그 알맹이들을 세세히 나열하지 않더라도 알 수 있을 듯하다. 여기에 자그마한 논고를 맺으면서, 베네딕트와 그 수도원을 통한 졸문의 생각을 정리해 본다면, 다음과 같이 묶어 볼 수 있으리라.
갈음하기를, "방향없이 흔들리는 시대와, 나태와 이기주의로 만연된 세태와, 황금과 물질만능의 인간 타락의 세상 속에 빛과 소금의 자리 매김으로 기독교가 그 맛과 멋을 유지하며 스스로 변화되고 개혁하기 위해서는 종말론적 역사관으로 초대 교회의 역동적인 영성을 회복하고자 발버둥쳤던 한 신앙의 선배, 베네딕트의 고뇌와 연단과 훈련의 자리에 우리 중 한 사람이라도, 또는 한 중심이라도 심장을 들이미는 진솔한 헌신을 요청하는 이 때가 아닌가 되짚어 본다."
- THE END -
= 참고 문헌 =
이영헌.「교회의 발자취」. 서울: 한국장로교 출판사, 1993.
이형기.「세계 교회사」1권. 서울: 한국 장로교 출판사, 1996.
모이어, E.S.「인물 중심의 교회사」. 곽안정,심재원 공역, 서울: 대한기독교서회, 1991.
비네르트, 볼프강., 멜하우젠, 요아힘.「교회사 연구 방법과 동향」. 강원돈 역.
서울: 한국신학 연구소, 1994.
셸리, 브루스.「현대인을 위한 교회사」. 박희석 역. 서울: 크리스챤 다이제스트, 1993.
워커, 윌리스턴.「세계기독 교회사」. 강근환 등 공역. 서울: 대한기독교서회, 1996.
휴톤, 시드니 M. 「기독교 교회사」. 정중은 역, 서울: 나침반, 1989.
Latourette, Kenneth Scott. 「기독교 사상」. 윤두혁 역. 서울: 생명의 말씀사, 1979.
Leclerca, Gean. A Study of monastic culture .
The Library of christian classics. vol xii. Western Asceticism.
  • 가격1,300
  • 페이지수10페이지
  • 등록일2002.10.04
  • 저작시기2002.10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205261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