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공공관리론에 대한 비판적 고찰 : 비판적 실재론적 접근
본 자료는 5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해당 자료는 5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5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I. 머리말

II. 신공공관리론의 이론적 기초와 주요 내용

III. 비판적 실재론

IV. 신공공관리론에 대한 비판: 비판적 실재론적 접근

V. 결론

참고 문헌

본문내용

「한국행정학보」33(1)
김태룡(2000). 행정학의 신패러다임으로서 신공공관리모형의 적실성에 관한 연구. 「한국행정학보」34(1).
남궁근·황성돈(2001). 김대중 정부 행정개혁 3년 평가. 「정부개혁과 행정학 연구」 2001년도 한국행정학회 춘계학술대회 발표논문집.
박동서(1998). 행정개혁의 연구와 개혁-궤도수정. 「한국행정학보」32(1).
박세정(2000). 경영의 논리: 행정개혁의 이념으로서의 기여와 한계. 2000년 한국행정학회 춘계학술대회 발표논문집.
박희봉·김상묵(1998). 외국 행정개혁과 김대중정부의 행정개혁 비교연구. 「한국행정학보」32(4).
배용수(2000). 신관리주의의 한국적 적실성. 「한국행정학보」34(2).
서순복(1999). 신공공관리에 관한 보완적 접근: 정보 기술을 활용한 행정개혁. 「한국사회와 행정연구」10(2).
송희준(1999). 국민의 정부 중앙정부개혁의 중간평가. 「행정논총」37(2).
임도빈(2000). 신공공관리론과 베버 관료제이론의 비교. 「행정논총」38(1).
재정경제부(1998). 경제백서.
재정경제부(1999). 경제백서.
정승건(2000). 발전주의와 신자유주의를 넘어서: 한국행정개혁이론의 모색. 「한국행정학보」34(2).
정용덕 외(1999). 합리적 선택과 신제도주의. 서울: 대영문화사.
홍준형(1999). 신공공관리론의 공법적 문제. 「행정논총」37(1).
Archer, Margaret et al(eds)(1998). Critical Realism. London: Routledge.
Bhaskar, Roy(1997). A Realist Theory of Science. London: Verso(first published 1975).
Bhaskar, Roy(1989). The Possibility of Naturalism, 2end edn, Harvester Wheatsheaf(first published 1979) ch2. Societies. in Archer, Margaret et al(eds)(1998). Critical Realism. London: Routledge.
Bhaskar, Roy(1998). Fact and Value: Theory and Practices. in Archer, Margaret et al(eds). Critical Realism. London: Routledge.
Collier, Andrew(1994). Critical Realism: An Introduction to Roy Bhaskar's Philosophy. London: Verso.
Collier, Andrew(1998). Stratified Explanation and Marx's Conception of History. in Archer, Margaret et al(eds). Critical Realism. London: Routledge.
Buchanan, James M. and Gordon Tullock(1962). The Calculus of Consent. The University of Michigan Press.
Dunleavy, Patrick(1991). Democracy, Bureaucracy and Public Choice. London: Harvester.
Jackson, P.M.(1983). The Political Economy of Bureaucracy. Totowa: Barnes & Noble Books.
Kaboolian, Linda(1998). The New Public Management: Challenging the Boundaries of the Management vs. Adminstration Debate. PAR. 58(3).
Keraudren. Philippe and Hans van Mierlo(1998). Theories of Public Management Reform and their Practical Implication. Verheijen, Tony and David Coombes. Innovations in Public Management: Perspectives from East and West Europe. Cheltenham: Edward Elgar.
Kim, Pan Suk(2000). Recent Administrative Reform in Korea: A Case Study of the Dae Jung Kim's Administration. Reforms in Government and Business. 2000 KAPA International Forum.
Linn, Laurence E.(1998). The New Public Management: How to Transform a Theme into a Legacy. PAR. 58(3).
March, G. James and Olsen, Johan p.(1995). Democratic Governance. New York: The Free Press.
Offe, Claus(1996). Modernity and State. Cambridge: Polity Press.
Outhwaite, William(1998). Realism and social science. in Archer, Margaret et al(eds). Critical Realism. London: Routledge.
Polanyi, Karl(1957). The Great Transformation. Beacon Hill: Beacon Press.
Simon, Herbert A.(1998). Why Public Administration?. PAR 58(1).
Stiglitz, Joseph E.(1986). Economics of the Public Sector. New York: W.W.Norton & Company.
Terry, Larry D.(1998). Administrative Leadership, Neo Managerialism, and the Public Management Movement. PAR. 58(3).
  • 가격2,300
  • 페이지수15페이지
  • 등록일2002.10.05
  • 저작시기2002.10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205304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