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동발달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본문내용

아니라 실재하고 있다고 생각한다. 그러므로 자신의 꿈속에 등장한 사람들은 깨어난 후에도 그 꿈의 내용을 알고 있을 것이라고 생각한다.
③구체적 조작기(7-11세)
구체적 조작기에 접어들면 아동의 사고는 급격한 진전을 보이게 된다. 즉 전조작기에는 지각적으로 두드러진 대상에게만 자기의 관점을 한정시키는 데 비해 구체적 조작기에는 일반적인 것으로 관점이 확대되고 내적 표상을 여러 가지 방법으로 조정할 수도 있게 된다. 그래서 이 시기의 아동은 자기 중심에서 벗어나 탈 중심화가 된다. 구체적인 세계에만 한정될 뿐 추상적으로 사고하지는 못한다.
④형식적 조작기(12세 이후)
이 시기의 아동은 추상적이고 논리적인 사고를 할 수 있고 문제 해결을 하는데 가설을 사용하며 성인과 같은 형태로 사고 할 수 있다. '미래와 눈에 보이지 않는 먼 곳(Remote&Future)'까지 사고가 가능하고 '연역적 문제 해결 방법'을 사용할 줄 알게 된다.
4. 도덕성의 발달 단계별 특성
인지발달과 관련하여 피아제의 탁월한 업적 중의 하나는 도덕성의 발달에 관한 것이다. 그는 도덕성을 도덕적 사실주의(moral realism)와 도덕적 상대주의(moral relativism)로 구분하였다. 도덕적 사실주의는 형식적 조작기 이전 아동에게 나타나고 도덕적 상대주의는 형식적 조작기 이후의 도덕성을 의미한다.
5. 이론의 비판적 검토
피아제에 의하면 아동은 어른에게서 직접적인 가르침 없이도 자연적으로 자신의 인지 구조를 발달시킨다고 한다. 이에 대해서 많은 연구자들이 훈련 효과를 들어 반박하고 있다. 그리고 모든 아동이 같은 속도로 발달하는 것은 아니라는 것이다. 피아제는 주로 '평균적' 아동에 대하여 언급하고 있으며 교육과 문화가 수행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서는 언급하지 않고 있으며 인지 성장과 관련된 것 외에 정서나 인지발달에 대하여 거의 논의하지 않았다.
6. 피아제 이론의 기독교적 조망
셸리(Shelly)는 피아제의 인지발달론에 어린이의 영적 발달단계를 적용하였다.
①감각 운동기(2세미만): 이 단계에 있는 어린이의 하나님에 대한 이해는 분명하지 않으며 특히 부모와 관련되어 있다.
②전조작기(2-7세): 이 단계의 어린이는 하나님에 대한 신인동형동성론적 견해를 갖고 있다. 하나님을 창조주로 이해하기 시작한다. 기도의 의미는 희미하지만 기도의 의식은 중요해 진다. 도덕적 의식이 생기기 시작하는데 취학전 어린이는 징계가 무서워서 행동한다. 옳고 그름을 절대적인 것으로 본다.
③구체적인 조작기(7-12세): 이 단계의 어린이에게 있어서 하나님은 하나님의 행동, 즉 사랑하신다, 도와 주신다 등으로 묘사된다. 이 단계의 어린이는 원인과 결과의 관계, 과학적인 사실을 기초로 하고 있다.
④형식적 조작기(12세 이상): 이 단계의 어린이는 하나님을 개인적인 친구로 보고 신뢰한다. 사랑, 전지전능, 무소부재, 무소불능과 같은 하나님의 특성에 초점을 맞춘다. 기도는 개인적 대화로 되어 있지만 사적 요구는 줄어들고 감사와 친밀감을 나누는데 중심을 둔다.

키워드

  • 가격1,300
  • 페이지수7페이지
  • 등록일2002.10.05
  • 저작시기2002.10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205311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