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신 분석학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본문내용

식이나 남편이 자기의 얼굴이요 자신의 소중함을반사시켜주는 거울인 것이다.
이 narcissistic self는 어렸을때부터 생겨있지 못하고 이미 고갈된 속이 비어있는 self이다.부모에게 이미 버림받았던 self가 남편이나 자식에게 또 다시 버림을 받았을 때 이 narcissistic self 는 보통 여인보다 몇배의 상처를 입게 되는 것이다.
2.왜곡된 이상화 과정
세 살 이후부터 대상 self 가 남아들은 어머니로 부터 아버지로 여아들은 어머니가 그대로 selfobject으로 남아 있게 된다. 여아에게 해로운 것은 한국여인이 지켜야할 왜곡된 가치관,이상적, 여인상 등이 내면화 된다는 것이다.바로 고분고분 해야하고 순종족이며 남자와의 관계에 있어 종속적이어야하는 여인상이 내면화 되면서 그들의 진취적이고, 공고 가족 내 여아의 심리구조의 틀이되어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이다. 바로 열등한 여인의 image 가 내면화되어 여인으로 하여금 배우자 없이는 자신들은 무가치하다고 믿게 된다.
예)
화병에 시달리는 한 여인의 말을 빌어보자
이 여인은 우울증으로 입원하였는데 그 원인이 남편의 사랑을 잃었기 때문이라고도 볼수 있겠지만 그것은 곧 자기자신을 잃게 되는 즉 자신의 분열을 의미하기 때문이다. 이 현상은 부모에게 거절당하여 자존감의 상처를 잃은 자아가 또 다시 현재에 자기가 겪었던 자기 분열의 불안과 화를 재경험하게 되는 것이다. 또 부모로부터 공감적 이해와 mirroring을 받지못한 이러한 여인들은 자존감의 결여로 인해 자기의 자존감을 사회를 통하여 자기안에 내면화된 이상적 여인상을(순종,복종,등등)필사적으로 지킴으로 남에게 인정을 받아 자기의 잃어버린 자존감을 유지하려는 것이다. 바로 이 고갈된 자아가 남편 혹은 자식에게 버림받았을때 그녀의 seif는 산산이 분열되면서 완전한 좌절감과 절망상태에 빠지게 되는 것이다.
예 상 문 제
1.프로이드의 신경증 원인을 예를들어 설명하시요
1)ego에서 심리발달에 필요한것들을 받아들이지 못 했을때 신경증이 생겨나고
2)실망(거절에 의한),패배,질병,불행들에 대해 똑바로 대처하지 못하고,외면하여
환타지아(알콜,마약)속으로 들어갈때 불안,초조,근심을 곁들여서 자기 스스로 불 안 해져 결국 신경증에 이른다. 또
3)어른이 되어서 어렸을때 상처받은 상황과 비슷한 경우가 있을때 어렸을때의 상처 가 다시 무의식속에서 살아난다.
(치료방법)
신경증의 원인이
억압된 기억들이나 이것들과 관련된 감정들이 억압하고 있기 때문 이라고 보고
내적 무의식 속에 있는 갈등의 원인을 드러내 깨닦게 하여 치료를 하게된다.
즉,현재의 문제가 무의식속의 문제와 관계있음을 깨닦게 하는것을 말한다.
그리고 이 치료방법을 4단계로 나누고 있는데 그 방법은
1.opening phase(stage)--(3-6개월)
자유연상의 방법으로는
1)최면 과 2)Dream이 있는데
꿈은 다시 명료화된 꿈과 잠복된 꿈으로 나눌 수 있다.
cf.환자의 모든 정보를 끄집어낸다(history talking)
의자에 눕게한다.----자세한 것까지 주의깊게 관찰.
2.development of transference(전이의 개발)--문제가 환자와 상담자에게로 적용되는 단계
=환자의 문제가 상담자에게 투사.적용되는것을 말한다.
3.working thru(through)
4.resolution of transference(전이의 해결)
어떤 특정한 고통스러웠던 유년기 시절의 경험들을
"재현하여 그것들을 해결하는 것이 필수 적이라고 주장한다.
이 과정은 발산 또는 카타르시스라고 불리워 진다.
--치료의 기간이 길고,강도가 강하다. (엘리트 치료법)
정신분석법의 가장기본적인 방법은 자유연상법이다.
내담자들은 의식적인 통제를 극소화하여 그들의 마음에 떠오르는 모든것을 이야기하도록 요구되는데 이것은 점점 더 중요한 무의식적인 자료들이 나타나기를 기대하는 것이다.
이 전통에 있어서 또 다른 주요한 주제는 치료사와 내담자 사이에서 발생하는
감정전이(transference)관계에 대한 분석이다.
내담자의 저항들과 방어기제들을 해석하는 것은 정신분석학에서 사용하는 또다른 기본적인 전략이다.특히,그것들은 내담자가 그것들을 이해하며,그것들의 진가를 알며,그것들을 종합할 수 있을만한 수준에서 주어져야만 한다.
프로이드는 꿈을 "무의식 세계에 이르는 왕도"라고 했지만 ,꿈은 "무제한적으로 선명하게 펼쳐진 고속도로도 아니며 또한 숨겨진 의미들이 간단하고 선명하게 그냥 굴러나오는 것은 아니다." 자유연상과 저항,그리고 감정의 전이현상 과 마찬가지로 그 꿈의 자료를 해결하는것은 정신분석가와 내담자에게 시간과 매우높은 강도의 결단을 요구하는 힘든 작업이다.
2.kohut의 신경증의 원인을 예를들어 설명하시요.
narcissistic self disorser는 아이의 성장과정에서
자율성(autonomy)과 narcissism이 손상받았을때 일어난다고 보았다.즉,
유아기때부터 부모에게서 어느정도의 적당한
감정이입의 공감적 이해(empathy)와 사랑을 받지 목했기 때문이라는 것이다. (*아이의 부모에 대한 이상화 작업에 대한 온전한 수용이 없을때)
한 개인에게는 가장 핵심이 되는 self(성격에 결정적인 영향을 주는 self)=핵이되는 self가 있는데
1)장엄한 자아(--3세)
2)이상을 추구하는 자아(3-6세)가 있다
1) 아이를 돌보는사람은 아이의 naricissistic한 면을 충분히 수용해 주어야 한다.
2) 아이의 동성인 부모의 이상적 모습과 가치관을 동경하여 부모와 자신을 동일시 할 때 그 특징들이 내면화 되어 이루어진다.
따라서 부모는 아이에게
1.아이의 자기주장에 대한 mirroring을 해주어야 하고
2.부모를 따르고 흠모함에 대하여 충분히 안아주거나 받아줌으로서 아이와 부모가 하 나가 되게 해 주어야 한다.
텅비고 고갈된 자아를 감추기 위해 방어(교만.지나친 겸손)
할수없음,의미없음.희망없음-----힘있는 사람에게 의존하여 자기를 동일시
* mirroring이란?
3.프로이드의 초자아의 두 가지면을 설명하면서 죄책감에 대해 설명하시요.
5.kohut의 신경증 치료방법에 대하여 설명하시요.

키워드

  • 가격2,300
  • 페이지수11페이지
  • 등록일2002.10.08
  • 저작시기2002.10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205825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