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 제 목 : 오리엘탈리즘의 해체와 우리 문화 바로 읽기
□ 총 페이지수 : 3
□ 목 차:
사실 이 글을 읽으면서 많은걸 알게 됐다. 이 책에서 사용한 광고들의 내용은 아제까지 느끼지 못했던 오리엔탈리즘의 인식과정을 느끼게 해 주었던 좋은 경험이었다. 이 책의 서장에선 21세기를 맞이하는 우리 문화의 현주소를 밝히고 매스 미디어의 발달에 기인한 개별문화에 대한 인식들의 변환을 적고 있는데 문화 제국주의의 개념에서 바람직한 문화교류의 개념까지 도표를 사용하여 설명하고 있다. 먼저 문화 제국주의의 개념을 살펴보면 A라는 방송/문화 산업의 지배 국가의 문화가 B/C/D라는 방송/문화 산업의 피지배국가에 침투하여 A라는 문화가 우월하다고 평가하는 인식을 가지게 하고 결론적으론 B/C/D라는 나라의 문화는 A나라의 문화에 잠식되어 그 나라들의 고유 문화를 잊어버리게 된다. 두 번째 이론은 포스트모던 인식틀의 기초한 세계 문화인데 이것의 내용은 A/B/B/D라는 나라들 모두가 서로서로 우월의 가치를 따질 수 없고 모두가 같은 위치에서 각 나라에 존재한다는 내용인데 지금 세계 문화의 현실로는 받아들여지기 어려운 현실이다.
□ 총 페이지수 : 3
□ 목 차:
사실 이 글을 읽으면서 많은걸 알게 됐다. 이 책에서 사용한 광고들의 내용은 아제까지 느끼지 못했던 오리엔탈리즘의 인식과정을 느끼게 해 주었던 좋은 경험이었다. 이 책의 서장에선 21세기를 맞이하는 우리 문화의 현주소를 밝히고 매스 미디어의 발달에 기인한 개별문화에 대한 인식들의 변환을 적고 있는데 문화 제국주의의 개념에서 바람직한 문화교류의 개념까지 도표를 사용하여 설명하고 있다. 먼저 문화 제국주의의 개념을 살펴보면 A라는 방송/문화 산업의 지배 국가의 문화가 B/C/D라는 방송/문화 산업의 피지배국가에 침투하여 A라는 문화가 우월하다고 평가하는 인식을 가지게 하고 결론적으론 B/C/D라는 나라의 문화는 A나라의 문화에 잠식되어 그 나라들의 고유 문화를 잊어버리게 된다. 두 번째 이론은 포스트모던 인식틀의 기초한 세계 문화인데 이것의 내용은 A/B/B/D라는 나라들 모두가 서로서로 우월의 가치를 따질 수 없고 모두가 같은 위치에서 각 나라에 존재한다는 내용인데 지금 세계 문화의 현실로는 받아들여지기 어려운 현실이다.
본문내용
높이를 맞추고 아이들의 시각으로 사물을 대한다고 한다. 그런 측면에서 이 책도 독자가 원하는 해결책을 제시했어야 한다. 광고얘기를 다시 하자면 그런 광고가 나오게 된 이유가 중요하다고 생각된다. 작가가 말하는 데로 행동하고 실천한다면 물론 좋겠지만 사람은 좀더 나은걸 찾아가려는 습성이 있다. 효율적이나 성능이 우리에게 떨어지는데 우리 것만 좋다고 고집할 수는 없다는 내용이다. 그럼 의미에서 전에 서양 문화가 우리에게 편하고 안락함을 만들어 줬다면 이제는 그때의 충격에 필적할 내용으로 우리 문화 또는 기술력을 발전시켜 나가야 할 것이다. 그렇게 된다면 그때는 오히려 불쌍한 서양문화를 받아들여줘야 한다고 어떤 사람이 이와 비슷한 글을 쓸지 모르는 일이다. 너무 내용이 앞서간 것 같은데 결론은 이 책에서 작가가 말하는 동도동기론을 통해서 새로운 인식의 전환을 하는 한편 그러한 인식을 우리 생활에 적용할 수 있는 적극적인 자세가 필요하다.
홍익인간과 세계의 이해
R E P O R T
(오리엔탈리즘의 해체와 우리문화 바로 알기)
학부 : 전자·컴퓨터학부
학번 : 52021895
이름 : 조윤택
담당교수 : 임상욱
제출일 : 2002년 6월 5일
수요일 1,2교시
홍익인간과 세계의 이해
R E P O R T
(오리엔탈리즘의 해체와 우리문화 바로 알기)
학부 : 전자·컴퓨터학부
학번 : 52021895
이름 : 조윤택
담당교수 : 임상욱
제출일 : 2002년 6월 5일
수요일 1,2교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