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야구와 일본야구의 비교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1. 역 사

2. 구 조

3. 기록·일반적인 차이점

4. 문화론적 관점

본문내용

는 특이한 것이며, 이는 '관리야구'라는 단어로서 대표되고 있다. 즉 감독 또는 구단의 프론트에 의해 구단이 '관리'되고 있다는 것이다.
투수와 타자의 대결이 마치 사무라이들의 일대일 대결을 연상시킨다고 말하는 일본인도 있다. 그러한 사무라이들이 하나의 집단인 구단을 이루고 전국의 패권을 다투는 일본야구에 비장감마저 감도는 것은 당연한 일이다. 상대팀 투수의 눈이 잘 보이지 않도록 관중석에서 레이저를 쏘거나 외야석에서 망원경으로 포수의 사인을 훔쳐서 무전기로 덕아웃에 통보하는 등의 승부에 대한 집착은 야구외적인 -폭력단이 관련된 승부 도박-등의 이유도 있겠지만, 이와 같은 '목숨을 건' 야구에서 그 원인을 찾을 수 있다. 마치 무사집단 같은 야구팀에는 지극히 일본적인 상하관계가 성립된다. 일본적 사회모델이 실패했다는 평을 받기 시작한 90년대에 이르러 일본 야구계도 프리 에이전트 제도의 등장 등으로 분명히 많은 변화가 일어나고 있음은 사실이지만, 미국인들이 "'Base Ball'과 '야큐'는 다른 것"이라고 표현하는 그대로 일본적인 특징이 야구에도 그대로 반영되고 있음은 분명하다.
반면 한국의 야구는 빠른 변화의 길을 걷고 있다. 야구 기술적인 면뿐만 아니라 모든 면에 있어서, 유교적 영향력이 크던 사회가 급격하게 개방적인 변화를 겪고 있듯 야구계나 구단 내부에 있어서도 분위기가 변하고 있음은 마찬가지이고, 주목할 만한 것은 그것이 일본과는 차이점을 가지고 있다는 점이다. 미국의 일부 구단에서조차 금지된 선수의 염색, 귀걸이등은 일본의 구단이라면 상상조차 할 수 없는 일이다. 한국 야구도 98년도부터 외국인을 구단마다 2명씩 출전시키고 있지만 이들이 일본처럼 한국 구단의 시스템에 손사래를 치며 귀국한 예는 아직 없다. 일부 외국인 선수가 "한국의 관중들은 이해할 수 없다"며 경기장 폭력에 대한 불평을 한 적은 있지만, 일본의 구단에서 보이는 뚜렷한 일본적 사회의 구조와 같은 사회구조적인 특징은 발견되지 않는다.
무엇보다도 20년이 안된 한국 프로야구와 70여년의 일본 프로야구의 역사를 볼 때 역시 단순비교는 무리가 있다. 아직 한국 프로야구는 틀을 잡아가는 과정에 놓여있는 것이다. 그러나 가장 가까운 거리에 있고 가장 많은 사랑을 받는 스포츠인 야구가 두나라 간에 보기에도 뚜렷한 어떤 차이가 있다는 점은 분명히 흥미로운 일이다. 문화의 유형과 스포츠간에 직접 비교가 가능한 관계를 가지고 있다고 말하기는 힘들지만 비교해 볼만한 가치가 있음은 확실하다. 이 리포트를 작성함에 있어서 놀란 점은 올시즌 팀순위라든가 타격순위 같은 잡다한 기록은 많았지만 오히려 한국 야구에 대한 전반적인 자료는 굉장히 부족했다는 점이다. 그래서 한국야구에 대한 조사나 일본 야구와의 적극적인 비교에 어려운 점이 있었다. 누차 말했듯이 아직 한국의 야구는 자리를 잡아가는 과정에 있을 뿐이니 이런 점도 점차 개선될 것이라고 믿고 있지만, 아쉬움이 남는다.
출처:http://www.japanstudy.org/html/lecture/jstudy/report04.htm
  • 가격1,200
  • 페이지수7페이지
  • 등록일2002.10.10
  • 저작시기2002.10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205997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