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서론
Ⅱ. 멀티미디어 시대의 특징
1. 멀티미디어의 등장
2. 멀티미디어의 특징
3. 멀티미디어 시대의 회중의 특징
(1) `바이트`나 `인상`에서 정보를 받는다.
(2) 집중력이 매우 짧다.
(3) 수동적으로 듣는다.
3. 멀티미디어 시대의 회중의 변화
Ⅲ. 성서에서 바라본 멀티미디어적 설교
1. 예언자들의 영상적 설교
2. 시가로 노래하는 설교
3. 격언이나 연극 형태로 전달하는 설교
4. 예수님의 영상적 설교
5. 바울의 편지 설교
Ⅳ. 멀티미디어 시대의 설교의 변화와 문제점
1. 설교의 변화
2. 변화 가운데 생기는 문제들
Ⅴ. 멀티미디어 시대의 설교 모델
1. 상상이 담긴 설교
2. 멀티미디어 설교
Ⅵ. 결론
Ⅱ. 멀티미디어 시대의 특징
1. 멀티미디어의 등장
2. 멀티미디어의 특징
3. 멀티미디어 시대의 회중의 특징
(1) `바이트`나 `인상`에서 정보를 받는다.
(2) 집중력이 매우 짧다.
(3) 수동적으로 듣는다.
3. 멀티미디어 시대의 회중의 변화
Ⅲ. 성서에서 바라본 멀티미디어적 설교
1. 예언자들의 영상적 설교
2. 시가로 노래하는 설교
3. 격언이나 연극 형태로 전달하는 설교
4. 예수님의 영상적 설교
5. 바울의 편지 설교
Ⅳ. 멀티미디어 시대의 설교의 변화와 문제점
1. 설교의 변화
2. 변화 가운데 생기는 문제들
Ⅴ. 멀티미디어 시대의 설교 모델
1. 상상이 담긴 설교
2. 멀티미디어 설교
Ⅵ. 결론
본문내용
넷째, 그림언어는 생각을 우리 기억 속에 집어넣는다. 다섯째, 그림언어는 친밀하게 해준다.
) Gary Smalley&John Trent, THE LANGUAGE of LOVE, 서원교 역, 『사랑언어 그림언어』 (서울: 요단, 1999), 39-49쪽.
스멜리는 정서적 그림언어를 만들어내는 일곱 단계를 말한다. 첫째, 분명한 목적을 세우라 둘째, 다른 사람의 관심에 대해서 깊이 연구하라 셋째, 마르지 않는 네 개의 샘에서 끄집어내라 여기서 말하는 네 개의 샘이란, 자연과 그 경이로움으로 가득찬 샘, 매일의 대상으로 채워져 있는 샘, 상상의 이야기들이 들어 있는 샘, 과거의 경험과 기억들이 들어 있는 샘을 뜻한다. 넷째, 여러분의 이야기를 미리 연습하라 다섯째, 방심하지 말고 적절한 시간을 택하라 여섯째, 해보고 또 해보라 일곱째, 여러분의 그림언어를 힘껏 짜내라
) 위의 책, 75-101쪽.
이렇게 그림언어를 사용하는 설교에 문제는 없는가? 너무 감정에 치우지는 것은 아닌가? 이에 대해 위어스비는 다음과 같이 말한다.
나는 설교에서 상상력과 인간 감정의 회복을 매우 강조하는 편이다. 동시에 설교에서 인간 지성이 무시된다면 이는 어이없는 일이 되고 만다. 샐리 맥패그의 말을 들어보자. "개념 없는 이미지는 장님과 같고, 이미지 없는 개념은 메마른 땅과 같이 퍽퍽할 뿐이다." 설명 없는 그림은 가르치는 기능을 상실한 것이고, 그림 없는 설명도 역시 사람들이 잘 들으려 하지 않고, 잘 이해할 수 없고, 그 뜻을 따르지 않으려 한다. 다시 말하지만, 중요한 것은 균형이다.
) Warren W. Wiersbe, Preaching & Teaching with Imagination, 이장우 역, 『이미지에 담긴 설교』 (서울: 요단, 1998), 188쪽.
맹명관은 좋은 커뮤니케이션을 하기 위해서는 아무리 어려운 논제라도 이야기식으로 재해석할 줄 알아야 한다고 말한다. 그는 전달자는 먼저 청중의 주의를 끈 다음, 청중이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메시지를 재구성할 책임이 있다고 말하면서 청중들로 하여금 상상력을 동원하도록 하고, 호기심과 즐거움을 줄 수 있는 이야기로 재해석해야 함을 강조한다.
) 맹명관, 『메시지 전달 혁명』 ( 서울: 규장, 1999), 34쪽.
2. 멀티미디어 설교
설교의 전달을 다양한 방법으로 하는 것을 말한다. 예를 들어, 한편의 드라마를 본 다음에 드라마를 설명하면서 메시지를 전달하는 것이다. 또한 설교에 맞는 영화나 다큐멘타리 장면들을 편집해서 보여줌으로써 설교의 주제를 더욱 강하게 인식시킬 수 있다. 설교자가 설교하기 전에 간증자를 세워 먼저 자신의 삶 속에서 경험되어지는 것을 나눈 다음에 설교자가 그 경험에 맞추어 설교를 한다면 그 설교는 생동감 있게 다가 올 것이다. 설교자가 설교를 할 때 파워포인트로 중요한 메시지를 재미있게 그리고 한 눈에 들어 올 수 있도록 보여준다면 설교가 더 쉽고 잘 새겨지게 된다. 적지 않은 교회가 열린 예배를 드리고 있는데 이러한 열린 예배를 통해 설교는 다양한 방법으로 회중에게 전달되게 된다.
Ⅵ. 결론
멀티미디어 시대는 인터넷으로 인해 가능해 지게 되었다. 인터넷의 등장으로 커뮤니케이션의 커다란 혁명을 가져다주었다. 이러한 멀티미디어 시대로 인하여 청중들은 멀티미디어적인 설교를 원하고 있다. 멀티미디어적 설교란 상상력이 담긴 설교, 이미지 화된 설교를 뜻한다. 설교자는 그림언어를 통해, 각종 전달 방법의 다양성을 통해 청중들에게 상상력과 이미지 화된 설교를 전할 수 있다. 이것은 더 나아가 설교가 청중과의 만남을 통해서만 이루어지는 것이 아니라 가상세계에서도 설교가 영향을 끼칠 수 있음을 말해준다. 가상사회가 본격화되면서 목회자의 역할은 더욱 다양해진다. 설교, 심방, 교육, 봉사, 상담이 전자네트워크를 통해서 이루어진다. 또한 독창적인 소프트웨어 목회시대가 열리며 교인들로 하여금 여러 웹사이트에 적극 참여하도록 전략을 세워야 한다.
) 양창삼, "인터넷 교회, 인터넷 교인시대의 목회", 『목회와 신학』 통권 88호, 1996. 10. 72쪽.
우리는 지금까지 멀티미디어 시대의 변화에 따른 설교의 변화를 살펴보았다. 물론 여기서는 단지 설교의 전달 방법에 대해서만 언급하였다. 적지 않은 설교자들이 설교의 내용에 관심을 두고 전달에는 별 관심이나 노력을 하고 있지 않고 있다. 설교의 내용이 아무리 좋아도 그것을 잘 전달하지 않으면 마치 수도관이 깨어져 중간에 물이 다 새듯이 설교의 내용은 전달하는 과정에서 회중들에게 들어가지 않고 다 새어 다른 데로 나가게 될 것이다. 멀티미디어 시대에 살고 있는 회중에게 평면적이고 지적인 설교가 아니라 입체적이며 감정적, 지적, 의지적 변화를 가져다 주는 설교가 현 시대에 절실히 요구되어 지고 있다.
참고 도서
1. 동서
계지영. "멀티미디어 시대의 이미지 설교". 『그 말씀』 통권 41호. 1995. 12.
노영상. 『기독교와 미래사회』. 서울: 대한기독교서회, 2000.
맹명관. 『메시지 전달 혁명』. 서울: 규장, 1999.
박영재. 『설교자가 꼭 명심할 9가지 설득의 법칙』. 서울: 규장, 1998.
양창삼. "인터넷 교회, 인터넷 교인시대의 목회." 『목회와 신학』. 통권 88호. 1996. 10.
이형원. "멀티미디어 시대, 설교의 패러다임을 바꾸자." 『월간목회』. 통권 120호. 1999. 1.
2. 양서
Fore, William F. Gospel, Culture, and the Media, 신경혜, 홍경원 역. 『매스미디어 시대의 복음과 문화』. 서울: 대한기독교서회, 1998.
Gary Smalley&John Trent. The Language of Love, 서원교 역. 『사랑언어 그림언어』 서울: 요단, 1999.
Wiersbe, Warren W. Preaching & Teaching with Imagination, 이장우 역. 『상상이 담긴 설교』 서울: 요단, 1999.
Warren W. Wiersbe Preaching & Teaching with Imagination, 이장우 역, 『이미지에 담긴 설교』 서울: 요단, 1998.
) Gary Smalley&John Trent, THE LANGUAGE of LOVE, 서원교 역, 『사랑언어 그림언어』 (서울: 요단, 1999), 39-49쪽.
스멜리는 정서적 그림언어를 만들어내는 일곱 단계를 말한다. 첫째, 분명한 목적을 세우라 둘째, 다른 사람의 관심에 대해서 깊이 연구하라 셋째, 마르지 않는 네 개의 샘에서 끄집어내라 여기서 말하는 네 개의 샘이란, 자연과 그 경이로움으로 가득찬 샘, 매일의 대상으로 채워져 있는 샘, 상상의 이야기들이 들어 있는 샘, 과거의 경험과 기억들이 들어 있는 샘을 뜻한다. 넷째, 여러분의 이야기를 미리 연습하라 다섯째, 방심하지 말고 적절한 시간을 택하라 여섯째, 해보고 또 해보라 일곱째, 여러분의 그림언어를 힘껏 짜내라
) 위의 책, 75-101쪽.
이렇게 그림언어를 사용하는 설교에 문제는 없는가? 너무 감정에 치우지는 것은 아닌가? 이에 대해 위어스비는 다음과 같이 말한다.
나는 설교에서 상상력과 인간 감정의 회복을 매우 강조하는 편이다. 동시에 설교에서 인간 지성이 무시된다면 이는 어이없는 일이 되고 만다. 샐리 맥패그의 말을 들어보자. "개념 없는 이미지는 장님과 같고, 이미지 없는 개념은 메마른 땅과 같이 퍽퍽할 뿐이다." 설명 없는 그림은 가르치는 기능을 상실한 것이고, 그림 없는 설명도 역시 사람들이 잘 들으려 하지 않고, 잘 이해할 수 없고, 그 뜻을 따르지 않으려 한다. 다시 말하지만, 중요한 것은 균형이다.
) Warren W. Wiersbe, Preaching & Teaching with Imagination, 이장우 역, 『이미지에 담긴 설교』 (서울: 요단, 1998), 188쪽.
맹명관은 좋은 커뮤니케이션을 하기 위해서는 아무리 어려운 논제라도 이야기식으로 재해석할 줄 알아야 한다고 말한다. 그는 전달자는 먼저 청중의 주의를 끈 다음, 청중이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메시지를 재구성할 책임이 있다고 말하면서 청중들로 하여금 상상력을 동원하도록 하고, 호기심과 즐거움을 줄 수 있는 이야기로 재해석해야 함을 강조한다.
) 맹명관, 『메시지 전달 혁명』 ( 서울: 규장, 1999), 34쪽.
2. 멀티미디어 설교
설교의 전달을 다양한 방법으로 하는 것을 말한다. 예를 들어, 한편의 드라마를 본 다음에 드라마를 설명하면서 메시지를 전달하는 것이다. 또한 설교에 맞는 영화나 다큐멘타리 장면들을 편집해서 보여줌으로써 설교의 주제를 더욱 강하게 인식시킬 수 있다. 설교자가 설교하기 전에 간증자를 세워 먼저 자신의 삶 속에서 경험되어지는 것을 나눈 다음에 설교자가 그 경험에 맞추어 설교를 한다면 그 설교는 생동감 있게 다가 올 것이다. 설교자가 설교를 할 때 파워포인트로 중요한 메시지를 재미있게 그리고 한 눈에 들어 올 수 있도록 보여준다면 설교가 더 쉽고 잘 새겨지게 된다. 적지 않은 교회가 열린 예배를 드리고 있는데 이러한 열린 예배를 통해 설교는 다양한 방법으로 회중에게 전달되게 된다.
Ⅵ. 결론
멀티미디어 시대는 인터넷으로 인해 가능해 지게 되었다. 인터넷의 등장으로 커뮤니케이션의 커다란 혁명을 가져다주었다. 이러한 멀티미디어 시대로 인하여 청중들은 멀티미디어적인 설교를 원하고 있다. 멀티미디어적 설교란 상상력이 담긴 설교, 이미지 화된 설교를 뜻한다. 설교자는 그림언어를 통해, 각종 전달 방법의 다양성을 통해 청중들에게 상상력과 이미지 화된 설교를 전할 수 있다. 이것은 더 나아가 설교가 청중과의 만남을 통해서만 이루어지는 것이 아니라 가상세계에서도 설교가 영향을 끼칠 수 있음을 말해준다. 가상사회가 본격화되면서 목회자의 역할은 더욱 다양해진다. 설교, 심방, 교육, 봉사, 상담이 전자네트워크를 통해서 이루어진다. 또한 독창적인 소프트웨어 목회시대가 열리며 교인들로 하여금 여러 웹사이트에 적극 참여하도록 전략을 세워야 한다.
) 양창삼, "인터넷 교회, 인터넷 교인시대의 목회", 『목회와 신학』 통권 88호, 1996. 10. 72쪽.
우리는 지금까지 멀티미디어 시대의 변화에 따른 설교의 변화를 살펴보았다. 물론 여기서는 단지 설교의 전달 방법에 대해서만 언급하였다. 적지 않은 설교자들이 설교의 내용에 관심을 두고 전달에는 별 관심이나 노력을 하고 있지 않고 있다. 설교의 내용이 아무리 좋아도 그것을 잘 전달하지 않으면 마치 수도관이 깨어져 중간에 물이 다 새듯이 설교의 내용은 전달하는 과정에서 회중들에게 들어가지 않고 다 새어 다른 데로 나가게 될 것이다. 멀티미디어 시대에 살고 있는 회중에게 평면적이고 지적인 설교가 아니라 입체적이며 감정적, 지적, 의지적 변화를 가져다 주는 설교가 현 시대에 절실히 요구되어 지고 있다.
참고 도서
1. 동서
계지영. "멀티미디어 시대의 이미지 설교". 『그 말씀』 통권 41호. 1995. 12.
노영상. 『기독교와 미래사회』. 서울: 대한기독교서회, 2000.
맹명관. 『메시지 전달 혁명』. 서울: 규장, 1999.
박영재. 『설교자가 꼭 명심할 9가지 설득의 법칙』. 서울: 규장, 1998.
양창삼. "인터넷 교회, 인터넷 교인시대의 목회." 『목회와 신학』. 통권 88호. 1996. 10.
이형원. "멀티미디어 시대, 설교의 패러다임을 바꾸자." 『월간목회』. 통권 120호. 1999. 1.
2. 양서
Fore, William F. Gospel, Culture, and the Media, 신경혜, 홍경원 역. 『매스미디어 시대의 복음과 문화』. 서울: 대한기독교서회, 1998.
Gary Smalley&John Trent. The Language of Love, 서원교 역. 『사랑언어 그림언어』 서울: 요단, 1999.
Wiersbe, Warren W. Preaching & Teaching with Imagination, 이장우 역. 『상상이 담긴 설교』 서울: 요단, 1999.
Warren W. Wiersbe Preaching & Teaching with Imagination, 이장우 역, 『이미지에 담긴 설교』 서울: 요단, 1998.
추천자료
[미디어교육A형]초등학생 대상의 사례중심 교안 - 인터넷과 관련한 미디어 교육
[미디어교육E형]장애인 대상의 사례중심 교안 - 인터넷과 관련한 미디어 교육
[미디어법] 미디어법 개정 이후의 문제점 및 전망
[미디어 산업의 경제적 속성] 콘텐츠와 미디어의 네트워크 외부효과, 원 소스 멀티 유즈
[텔레비전 리터러시교육][미디어 리터러시교육][디지털 리터러시교육][텔레비전뉴스 리터러시...
교회 현장과 문화사역 -미디어 교육울타리 문화교재 시리즈 7[미디어]편을 바탕으로
[1990년대][미디어][사회윤리][민족문학][북한희곡][중국수필][일본영화]1990년대의 미디어, ...
[일본문화, 매스미디어, 애니메이션]일본문화와 매스미디어, 일본문화와 애니메이션(만화), ...
[시청자, 시청자 미디어액세스권(방송액세스권), 시청자 선택권, 시청자 주권, 시청자 방송참...
[방송 사업][방송 뉴미디어 사업][방송 컨텐츠 사업][방송 광고진흥 사업][방송 지상파DMB 사...
청소년과 미디어의 관계특성을 정리하고 청소년 진로교육과 관련된 미디어 사례를 찾아 제시...
사회학개론)매스미디어 생산관정의 특징을 비판적으로 검토하고 매스미디어가 긍정적으로 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