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디어 산업의 경제적 속성] 콘텐츠와 미디어의 네트워크 외부효과, 원 소스 멀티 유즈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Ⅰ. 콘텐츠는 공공재이자 사유재

Ⅱ. 미디어의 네트워크 외부효과

Ⅲ. 문화적 할인

Ⅳ. 범위의 경제와 규모의 경제 효과

Ⅴ. 원 소스 멀티 유즈

Ⅵ. 사라지는 희소성의 법칙

* 참고문헌

본문내용

되는 인터넷 공간에서는 적용되지 않는다. 인터넷 공간에서의 희소성은 자원이 아니라 '클릭click'이라고 할 수 있다. 더욱이 콘텐츠의 무한복제와 배포가 가능하고, 복제비용이 들지 않는 디지털 기술이 실현되면서 미디어의 진입장벽이 무너지고 있는 현실이다. 따라서 희소성의 법칙의 영향력은 아주 미미하다. 이처럼 기술의 발전이
미디어의 경제원칙은 물론 콘텐츠의 내용과 형식을 변화시켜 나간다.
무릇 경제란 무엇을 생산하고 어떻게, 언제, 어디에서 생산하며, 누구를 위해 생산하는가를 결정하는 메커니즘이다. 그 결정은 소비자, 기업. 정부라는 세 행위자를 통해 시장에서 이루어진다. 그러나 오늘날과 같은 디지털 경제의 시대에는 소비자도 엄연히 생산의 주체가 되고 있다.
생산자를 뜻하는 '프로듀서poducer와 소비자를 의미하는 컨슈머consumer를
합한 이른바 '프로슈머prosumer가 출현한 것이다. 과거에는 오직 기업만이 독점했던 정보력을 소비자들도 확보하기에 이르면서, 소비자가 제품의 생산단계에서부터 참여하는 것은 물론 가격정책에까지 그 영향력을 미치고 있는 시대가 도래했다. 따라서 이제는 셀 수 없이 쏟아져 나오는 미디어 상품들 속에서 '어떻게 하면 소비자들에게 각인시켜 구매를 유도할 것이냐'의 문제가 미디어 사업의 성패를 가름한다.
<뉴욕 타임스New York Times> 일요일판에 실리는 정보는 15세기에 작성
된 모든 문서를 합한 것보다 많다고 한다. 그만큼 정보가 넘쳐나는 세상이 되었다. 보통사람들의 거실에서도 100개가 훨씬 넘는 방송채널들이 수많은 프로그램들을 쏟아내고 있다. 인터넷에서도 각종 정보와 오락물이 넘쳐나고 있어 콘텐츠의 희소성을 통해 가치를 창출하던 경제 법칙은 점점 사라지고 있다. 그 대신 수많은 콘텐츠를 정작 소비하고향유해 줄 인간의 '관심'이란 자원이 날이 갈수록 희소해지고 있다. 각 개인들에게는 스스로 그 소중한 '관심'을 어떻게 배분해 유익하게 사용할 것인지가 핵심 화두로 떠올랐고. 미디어 사업에서는 많은 사람의 관심을 어떻게 끌어 모을지가 사업성패의 관건이 되었다.
사회학자이자 경영학자인 토머스 데이븐포트Thomas Davenport는 (관심의 경제학The Attention Economy)에서 다음과 같이 말한다. "관심에 대한 희소가치가 폭등하면서, 관심은 이제 돈만큼이나, 때로는 돈 주고도 못 살 만큼 귀중해진 자원이 되었다. "
*참고문헌
- 정보통신정책연구원, ‘디지털 컨버전스 기반 미래연구’, 2010
- 장석권, ‘개방형 IPTV 생태계를 위한 원칙과 상생방안’, KT 경제경영연구소, 2010
- 이시훈, 성열홍, 손영화. ‘미디어, 소비자, 광고의 변화’, 한경사, 2008
- 최혜실, ‘디지털, 스토리텔링, 산업’, 계간문예, 2006
- 신지은, 박정훈 등, ‘세계의 미래학자 10인이 말하는 미래혁명;, 일송북, 2007
- 이정호, ‘블로그 시대의 기업경영’, 삼성경제연구소, 2005
- 김지희, ‘커런트 TV가 보여주는 양방향 미디어의 진수’, 미디액트 미디어운동연구저널, 2009

키워드

영향,   요인,   정의,   개념,   문제점,   배경,   방안,   현황
  • 가격3,500
  • 페이지수7페이지
  • 등록일2011.03.30
  • 저작시기2011.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661652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