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독교 청소년 성교육
본 자료는 5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해당 자료는 5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5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Ⅰ. 서론
A. 연구동기 및 목적

Ⅱ. 본문

A. 성에 대한 일반적 개념과 이해

1. 역사적 배경

2. 성에 대한 개념이해

B. 청소년기에서 볼 수 있는 성문제와 실태

1. 청소년기의 이해

2. 청소년기의 성문제

3. 청소년들의 성의식과 실태

C. 청소년을 위한 기독교적 성교육

1. 성교육에 대한 개념이해

2. 각 분야에서의 청소년을 위한 성교육

a. 학교에서의 교육
b. 가정에서의 교육
c. 교회에서의 교육

Ⅲ.결론

본문내용

하며 하나님의 창조질서, 즉 일부일처라는 생활 윤리가 실제적으로 적용되도록 지도하여야 한다.
c. 교회에서의 교육
흔히 교회에서는 성교육이 행해지고 있지는 않는다. 그러나 성경이 교훈하는 바른 원리를 가르쳐야 하고 또 이런 교육을 위해 목사와 기독교교육전문가들이 있는 것이 아닌가? 이들은 책임있는 교육을 해야하며 성경의 원리에 따른 실제 생활의 방법을 교훈 하여야 하며, 생활의 각 영역에서 신앙인의 바른 태도와 하나님의 자녀로서의 긍지를 가지도록 해야 한다.
먼저 설교를 통한 것으로 성교육도 하나님의 말씀이 가르치는 범위 안에서 바로 실시되어야 한다. 성이란 하나님의 축복이면 선물로서 선한 것임을 강조하고 우리의 몸이 성령의 전이라는 사실을 통하여 성결의 생활을 가르쳐야 한다.
둘째로 상담을 통한 것으로 각자가 가지고 있는 번민과 고통을 상담자와 상담을 통해서 해결하며 자신의 삶을 하나님을 위해서 바치는 계기를 마련해주어야 하고 이를 통해 성교육은 성경의 교훈을 바탕으로 해야 하며, 지도자의 바른 자질이 선결되어야 한다.
셋째로 친교를 통한 것으로 기독교의 특성 중 하나는 성도의 교제, 즉 친교인 것이다. 이는 사도신경이 고백하는 것으로 기독교의 아름다운 특성이다. 성도의 교제을 통해 건전한 교우관계를 가지게 하며, 이성에 대한 올바른 태도와 자연스러운 자세를 가지게 할 수 있다. 교회지도자들은 친교를 통해서 건전한 이성교제를 할 수 있도록 지도해야 한다.
Ⅲ. 결론
지금까지 우리는 성에 대한 개념을 알고 이것을 청소년시기의 특징과 관련지어 발생되는 성문제와 청소년들의 성의식에 대해 알아보고 이를 해결하기 위한 각 분야에서의 나아가야 할 성교육방법에 대해 알아보았다. 현대의 청소년들은 성에 대해서 다양한 생각들을 가지고 있다. 그리고 각자의 관점에서 따라서 성을 이해하고 행동화한다. 이러한 성은 청소년들의 생활의 여러 영역을 침투한다고 한다.
) 루이스 스메디스, op. cit., pp. 17-19.
신체의 각 부분을 성적 이미지로 이해하려는 경향이 현대의 청소년들에게서 나타나는데 이것은 육체적인 면이다. 두 번째로 타인과 개인적이며 친근한 관계를 맺고자하는 욕망이 생기고 우리 내부에서 성적인 욕망이 타오르게 하는 개인적 욕구가 있다. 또한 자신을 알고자 하는 욕구로 생물학적인 것과 개인적인 통로를 통해 자신을 알려고 한다. 그리고 우리의 성은 하나의 개방된 사회 조류로서 보편화되어 지려는 현상을 보인다. 이러한 현상 속에서 성을 어떻게 이해하며, 이것을 교육할 지는 굉장히 중요한 문제이다. 이러한 중요한 문제의 풀이를 악이 세력이 먼저 풀게해서는 아니될 것이다. 사단을 통한 문제풀이는 당장은 좋게 보일지라도 후에 더 커다란 문제를 낳을 것이다. 그렇기에 이 시대를 살아감에 있어서의 크리스챤 되고 기독교교육자적인 우리들은 위에서 살펴보았듯이 청소년 성문제의 심각성에 대해 인식하고 청소년 그들을 주입식으로 그리고 한번의 실수로 인한 잘못에 대해 질책으로만 끝나는 것이 아니라 구체적이고 실질적인 방법과 방안을 제시해줄 수 있어야 할 것이다. 그들과의 대화나 만남을 통해 우리가 익히 알고있는 세상지식으로만이 아니라 하나님의 말씀으로 그들을 양육하면 치료할 수 있는 기독교교육자들이 되어야 겠다. 그리고 마지막으로 한마디를 하자면 이제 우리는 우리의 머릿속으로 많은 알아야 할 것과 해야 할 것에 대해 입력시켰다. 하지만 이것을 머릿속에만 두고 행하지 않는다면 이는 단지 지식일뿐 지혜가 되지 않는다. 아무쪼록 지식과 지혜를 구분할 줄 아는 지혜로운 사람이 되길 바란다.
< 참 고 문 헌 >
1. 단행본
김충기, 「생애교육과 생활지도」( 서울 : 평민사, 1980)
법무연수원, 「범죄백서」(서울 : 법무연수원, 1994)
서울특별시립 서울 청소년회관, 「청소년 의식조사 연구」(서울 : 서울특별시립
서울청소년회관, 1997)
옥선화, 정민자, 「결혼과 가족」(서울 : 하우, 1992)
전광문, 「순결교육」 (서울 : 동구문화사, 1968)
홍문식, 「미혼근로여성의 인구 및 성에 대한 지식, 태도 조사 연구」(서울 :
한국인구보건연구원, 1984)
2. 원서 및 번역본
Edwin J. Kolb, Parents Guide to Christian Conversations about Sex (Saint Louis : Concordia Publishing House, 1967)
John White, Eros Defiled the Christian and Sex (Downers Grove, Ⅲ. : IVP, 1978)
Otto A. Piper, The Biblical View of Sex and Marriage, New York: Harpers
Paul Althaus, 「The Ethics of Martin Luther」, New York: Harpers, 1972
William C. Hendricks, 「God's Temples」 Teachers Resource Unit, National Union of Christian Schools, 1972
A. 올슨, 「청소년과 성, 교육 상담」김순기 역 (서울 : 순출판사, 1987)
루이스 스메디스, 「크리스챤의 성」, 안교신 역. ( 서울 : 두란노, 1993 )
S. Freud, 「프로이드 심리학 해설」설영환 역 (서울 : 선영사, 1990)
3. 연속간행물
나상진, "중학교에 있어서의 교육의 실제" 「교육연구」제3권 2호 (1985.2)
임석재, "정절을 앞세운 성욕,"「한국, 한국인을 분석한다」(서울 : 중앙일보
동양방송, 1977)
오형석, "성교육에 관한 현황과 문제점"「기독교사상」제14권 제11호
정정숙, "성교육에 대한 기독교적 이해",「신학지남」, 제185호 (1979. 가을호)
전천화, "청소년의 성교육," 「상담과 지도」제9호 (서울 : 한국카운슬러협회, 1975)
4. 학위논문
오옥자, "성의식에 관한 조사 연구"(석사학위논문, 전남대학교 교육대학원, 1976)
5. 기타
2002년 5월 23일자 매일경제 사회면
http://education.chonnam.ac.kr/~kimsi/study/1-3-1.htm

키워드

  • 가격2,300
  • 페이지수15페이지
  • 등록일2002.10.11
  • 저작시기2002.10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206182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