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I bleeding conference
본 자료는 1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해당 자료는 1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1. stomach의 구조와 기능

2. upper GI bleeding
1)etiology
2)clinical resentation
3)initial management
4)endoscopy
5)treatment of variceal bleeding

3. Gastric varix
1)etiology
2)내시경적 분류및 치료

4. bloody stool

본문내용

나올 수 있습니다.
-Tarry stool: 흑갈색의 변. 위나 소장 상부에 출혈이 있을 경우 분변이 흑색을 띈다.
흑갈색의 타르와 같은 변이 배출되는 경우, 육안으로는 변이 정상이지만 잠혈반응으로 혈액이 증명되는 경우로 나누어진다.
상부소화관(식도·위·십이지장) 출혈의 경우, 소량일 때는 잠출혈(潛出血:화학반응으로 혈액의 존재를 확인)이 되고, 대량일 때는 타르변이 된다. 잇몸 ·목구멍 출혈 ·식도궤양 ·위궤양 ·십이지장궤양 ·소장궤양(장티푸스 ·장결핵 등) ·대장궤양(이질 ·궤양성 대장염 등), 소화관의 암 ·육종, 간경변증에 의한 식도정맥류파열, 장관폴립 ·장간막혈관혈전 ·치질로 인한 출혈 등으로 장관의 출혈이 일어난다. 또한 흑색변은 철분제 ·비스무트제의 복용 후에 나타나고, 변비가 심할 때도 변이 흑색을 띠는 경우가 있으므로 하혈과 혼동되기 쉬운 경우도 있다.
= references =
제12회 대한 소화기 내시경학회 세미나 p 137-141
Hirota S. et al. Radiology 1999;211:34 9-56
대한 소화기 내시경학회지 2001:22 431-434
internet : nescape.net
이준행 소화기 내과
성인간호학
  • 가격700
  • 페이지수4페이지
  • 등록일2002.10.11
  • 저작시기2002.10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206218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