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간의 구조와 순환
2. 간의 기능
3. 간질환과 관계되는 중요한 검사항목
4. Hepatitis
5. Hepatitis tests
2. 간의 기능
3. 간질환과 관계되는 중요한 검사항목
4. Hepatitis
5. Hepatitis tests
본문내용
및 간염 활동성도 계속될 수 있음
- B형 간염의 위험 집단
.환자의 혈액이나 체액에 노출될 가능성이 높은 병원직원
.성관계 대상이 많은 경우
.문신을 하는 경우
.유행지역으로 여행하는 경우
.혈우병환자
.혈액투석을 받는 환자
.혈관주사약물 사용한 경우
.마약사용자 등
- 예방법
.B형간염 예방접종 수행(6개월간 3회 실시) 한다.
.안전한 성생활(콘돔 사용)을 한다.
.혈액이 떨어진 것은 완전하게 닦아낸다. 장갑을 끼고 락스 용액 1:1 -1:10 으로 희석한 용액으로 소독한다.
.칫솔이나 면도기를 공동 사용하지 않는다.
.문신을 하지 않는다.
■병원직원이 직무 중 B형 간염에 노출되는 경우
1) 혈액이나 혈액을 포함하고 있는 체액에 노출되는 양상이나 빈도에 따라 다른다
2) 면역력이 없는 경우에 감염위험은 2-40% 이며, HBe- antigen seropositive인 혈액에 노출된 경우에
감염위험이 크며 30%에 이른다.
3) 경피적 또는 점막에 급성 또는 만성 HBV 감염자의 혈액이나 혈액 추출물에 노출된 경우
.주사 바늘 침에 찔리거나,
.칼에 베이는 경우
.눈이나 입 속의 점막, 상처 손상된 피부에 혈액이 튀는 경우등
■의료인의 예방조치
1.예방 접종
1) 혈액이나 체액에 노출되는 의료진은 반드시 시행해야 한다.
2) 예방접종을 해도 항체가 생기지 않는 경우에는 예방접종을 다시 한번(3회 전부) 시행하고, 그래도
생기지 않으면 또다시 예방접종을 할 필요는 없다.
3) 예방접종후 추가 접종
예방접종 후에 생긴 항체는 시간을 두고 서서히 감소하지만 8년정도 유지된다. 정기적인 추가접종은
불필요하며, 예방접종 후 항체가 생긴 경우에는 항체가가 낮은 상태에서도 항원이 들어오면
예방이 가능하다.
2. B형 간염 노출후 예방 조치
의료진
상태
감 염 원
HBsAg 양성
HBsAg 음성
B형 간염 항원 검사가 안되었거나
또는 모르는 경우
예방접종을 하지 않은
경우
HBIG×1회 그리고
HB vaccine series를
시작
HB vaccine
series를 시작
HB vaccine series를 시작
예
방
접
종
시
행
항체가
있 는
경우
예방조치 필요없음
예방조치 필요
없음
예방 조치 필요 없음
항체가
없 는
경우
1)HBIG×2회 또는
2)HBIG×1회, 그리고 예방 접종 재시작
예방 조치 필요
없음
만약 감염원이 위험이 높은 경우에는 감염원이 HBs Ag양성인 경우에 준하여 예방조치 시행
항체상
태를
모르는
경우
노출된 의료진에 대한 항체 검사
1)항체가가 적절한 경우: 예방조치 필요 없음
2)적절하지 않은 경우:
HBIG×1회, 그리고
vaccine booster 시행
예방 조치 필요
없음
노출된 의료진에 대한 항체 검사
1)항체가가 적절한 경우:
예방조치 필요없음
2)적절하지 않은 경우:
예방접종 재시행
HBIG : 0.06mg/kg, 항체가가 적절한 경우 : anti- HBs ≥ 10mlU/ml
3. 노출시 조치
. 즉시 노출된 피부를 물로 씻고 소독한다.
. 예방 조치를 수행한다.
- B형 간염의 위험 집단
.환자의 혈액이나 체액에 노출될 가능성이 높은 병원직원
.성관계 대상이 많은 경우
.문신을 하는 경우
.유행지역으로 여행하는 경우
.혈우병환자
.혈액투석을 받는 환자
.혈관주사약물 사용한 경우
.마약사용자 등
- 예방법
.B형간염 예방접종 수행(6개월간 3회 실시) 한다.
.안전한 성생활(콘돔 사용)을 한다.
.혈액이 떨어진 것은 완전하게 닦아낸다. 장갑을 끼고 락스 용액 1:1 -1:10 으로 희석한 용액으로 소독한다.
.칫솔이나 면도기를 공동 사용하지 않는다.
.문신을 하지 않는다.
■병원직원이 직무 중 B형 간염에 노출되는 경우
1) 혈액이나 혈액을 포함하고 있는 체액에 노출되는 양상이나 빈도에 따라 다른다
2) 면역력이 없는 경우에 감염위험은 2-40% 이며, HBe- antigen seropositive인 혈액에 노출된 경우에
감염위험이 크며 30%에 이른다.
3) 경피적 또는 점막에 급성 또는 만성 HBV 감염자의 혈액이나 혈액 추출물에 노출된 경우
.주사 바늘 침에 찔리거나,
.칼에 베이는 경우
.눈이나 입 속의 점막, 상처 손상된 피부에 혈액이 튀는 경우등
■의료인의 예방조치
1.예방 접종
1) 혈액이나 체액에 노출되는 의료진은 반드시 시행해야 한다.
2) 예방접종을 해도 항체가 생기지 않는 경우에는 예방접종을 다시 한번(3회 전부) 시행하고, 그래도
생기지 않으면 또다시 예방접종을 할 필요는 없다.
3) 예방접종후 추가 접종
예방접종 후에 생긴 항체는 시간을 두고 서서히 감소하지만 8년정도 유지된다. 정기적인 추가접종은
불필요하며, 예방접종 후 항체가 생긴 경우에는 항체가가 낮은 상태에서도 항원이 들어오면
예방이 가능하다.
2. B형 간염 노출후 예방 조치
의료진
상태
감 염 원
HBsAg 양성
HBsAg 음성
B형 간염 항원 검사가 안되었거나
또는 모르는 경우
예방접종을 하지 않은
경우
HBIG×1회 그리고
HB vaccine series를
시작
HB vaccine
series를 시작
HB vaccine series를 시작
예
방
접
종
시
행
항체가
있 는
경우
예방조치 필요없음
예방조치 필요
없음
예방 조치 필요 없음
항체가
없 는
경우
1)HBIG×2회 또는
2)HBIG×1회, 그리고 예방 접종 재시작
예방 조치 필요
없음
만약 감염원이 위험이 높은 경우에는 감염원이 HBs Ag양성인 경우에 준하여 예방조치 시행
항체상
태를
모르는
경우
노출된 의료진에 대한 항체 검사
1)항체가가 적절한 경우: 예방조치 필요 없음
2)적절하지 않은 경우:
HBIG×1회, 그리고
vaccine booster 시행
예방 조치 필요
없음
노출된 의료진에 대한 항체 검사
1)항체가가 적절한 경우:
예방조치 필요없음
2)적절하지 않은 경우:
예방접종 재시행
HBIG : 0.06mg/kg, 항체가가 적절한 경우 : anti- HBs ≥ 10mlU/ml
3. 노출시 조치
. 즉시 노출된 피부를 물로 씻고 소독한다.
. 예방 조치를 수행한다.
추천자료
조직문화의 개념, 국민은행 합병 사례를 통한 조직문화 분석, 각 은행 간 조직문화 비교 및 ...
[금융구조조정]금융시장, 금융산업, 금융정책, 금융서비스와 금융기관통합, 금융리스크 고찰 ...
[지배구조][지배구조개선][공적연금][과학기술정책][은행][공적연금의 지배구조][과학기술정...
구조주의의 의의, 구조주의의 등장 배경, 구조주의의 장점과 단점, 구조주의의 해체, 후기 구...
자동차산업의 발전요인, 자동차산업의 문제점, 자동차산업의 발전 방안, 자동차산업 하도급관...
[구조조정][노사관계]구조조정과 노사관계, 구조조정과 노동조합, 구조조정과 노동유연성, 구...
[기업구조조정][워크아웃]기업구조조정과 워크아웃, 기업구조조정과 경영관행, 기업구조조정...
[인지구조][인지][구조][인지구조 의의][인지구조 수준][인지구조 수준별성격][인지구조 평가...
기업지배구조의 유형, 기업지배구조의 기본원칙, 기업지배구조의 개혁, 기업지배구조의 감시...
기업지배구조의 의미, 기업지배구조의 분류, 기업지배구조의 원칙, 기업지배구조의 모범규준,...
기업지배구조의 정의, 기업지배구조의 중요성, 기업지배구조의 주주, 기업지배구조의 경영자,...
구조적 가족치료모델 사례 및 실전 개입기법 (구조적 가족치료모델 사례, 구조적 가족치료 개...
[구조방정식모형 정의][구조방정식모형 추정][구조방정식모형과 시민단체활동평가][구조방정...
[국가구조조정][국가복지][공기업][행정민주화][현장통제][조정방향]국가구조조정과 국가복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