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지구라트의 전반적 특성
2. 대표적 건축물
(1)백색 신전(White Temple)
(2)우르의 지구라트
(3)초가 잔빌의 지구라트
2. 대표적 건축물
(1)백색 신전(White Temple)
(2)우르의 지구라트
(3)초가 잔빌의 지구라트
본문내용
벽면을 회반죽으로 마감
-기단의 외부벽면은 버트레스로 지지되어 있으며 돌출된 버트레스 사이는 목재 장식물 의 흔적이 남아 있다.
-신전은 장방향의 성소와 좌우에 부속실을 두었다 부속실은 예배자가 출입했으며 성소는 신관만이 출입할 수 있었다.
복원 상상도
유적지
(2)우르의 지구라트
-우르 제 3왕조(B.C 2113 ~2048)에 달의 여신"난나르"를 숭배하기 위해 건설되었다.
-수메르 건축의 절정
-3층 기단으로 맨 상층에 벽면을 유약으로 칠한 사당이 배치되어 있었다.
-벽을 몇 개 칸으로 나누는 장식의 성격이 강한 버트레스가 있다.
-내부는 건조 벽돌로 쌓여 있으며 외부는 역청으로 처리한 구운 벽돌로 쌓여 있다. 표면 은 채색 벽돌로 모양을 냈다. 하층부는 검은색 벽돌로 상층부는 빨간색 벽돌로 축조 되 어 있었다.
-구조물의 모든 벽은 약간 볼록한 곡선을 이루고 있는데 그것은 거대한 물체의 윤곽선이 너무 직선일 경우 상부 무게감에 눌려 휜 것처럼 보이지 않게 하는 효과(엔타시스원리) 를 준다.
*고대 그리스의 건축에서 기둥의 시각적 좌굴 현상을 막기 위해 배흘림 기둥을 썼는데 이것을 엔타시스 원리라고 한다.
우르시의 전경
유적지
-각 모서리가 동서남북 각 향을 향하도록 배치가 됐다 특히 동쪽 모서리는 춘분 추분 일출 지점과 일치하는데 이것으로 보아 천문 관측 용도로도 쓰인 걸로 추측된다.
배치도
(3)초가 잔빌의 지구라트
-현존하는 최대의 지구라트
-BC 1200년 엘람에 의해 건립 길이 102m 높이 24m
-순례자는 1단까지 오르는 것이 허용되었고 상층부는 신관만의 영역이었다.
지구라트 조사보고서
-기단의 외부벽면은 버트레스로 지지되어 있으며 돌출된 버트레스 사이는 목재 장식물 의 흔적이 남아 있다.
-신전은 장방향의 성소와 좌우에 부속실을 두었다 부속실은 예배자가 출입했으며 성소는 신관만이 출입할 수 있었다.
복원 상상도
유적지
(2)우르의 지구라트
-우르 제 3왕조(B.C 2113 ~2048)에 달의 여신"난나르"를 숭배하기 위해 건설되었다.
-수메르 건축의 절정
-3층 기단으로 맨 상층에 벽면을 유약으로 칠한 사당이 배치되어 있었다.
-벽을 몇 개 칸으로 나누는 장식의 성격이 강한 버트레스가 있다.
-내부는 건조 벽돌로 쌓여 있으며 외부는 역청으로 처리한 구운 벽돌로 쌓여 있다. 표면 은 채색 벽돌로 모양을 냈다. 하층부는 검은색 벽돌로 상층부는 빨간색 벽돌로 축조 되 어 있었다.
-구조물의 모든 벽은 약간 볼록한 곡선을 이루고 있는데 그것은 거대한 물체의 윤곽선이 너무 직선일 경우 상부 무게감에 눌려 휜 것처럼 보이지 않게 하는 효과(엔타시스원리) 를 준다.
*고대 그리스의 건축에서 기둥의 시각적 좌굴 현상을 막기 위해 배흘림 기둥을 썼는데 이것을 엔타시스 원리라고 한다.
우르시의 전경
유적지
-각 모서리가 동서남북 각 향을 향하도록 배치가 됐다 특히 동쪽 모서리는 춘분 추분 일출 지점과 일치하는데 이것으로 보아 천문 관측 용도로도 쓰인 걸로 추측된다.
배치도
(3)초가 잔빌의 지구라트
-현존하는 최대의 지구라트
-BC 1200년 엘람에 의해 건립 길이 102m 높이 24m
-순례자는 1단까지 오르는 것이 허용되었고 상층부는 신관만의 영역이었다.
지구라트 조사보고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