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32
-
33
-
34
-
35
-
36
-
37
-
38
-
39
-
40
-
41
-
42
-
43
-
44
-
45
-
46


본문내용
로고스는 설득력을 지닌 논리 위에 선포되는 메시지 그 자체를 의미한다."
) Ibid,71
하나님으로부터 계시되어진 메시지가 설교자에게서 화신(化身)이 되고 언행심사가 농축되어 선포되어져야 한다.
4) 성경중심의 설교자
또한 하나님 앞에서의 설교자는 성경 중심의 설교자이어야 한다. 이중표는 이를 표현하여 "하나님의 마음으로부터의 설교"라고 하였다. 그리고 다음과 같이 기술한다.
누구나 하나님의 마음을 잘 알 수는 없다. 그러나 하나님의 말씀 자체가 하나님의 마음을 보여준다. 하나님의 말씀은 그 중심으로부터 말할 때 하나님의 마음이 된다.
) Ibid, 246
즉 하나님의 말씀인 성경을 많이 알고 성경 중심의 설교가 될 때 이것은 곧 하나님의 마음으로부터의 설교가 된다는 것이다. 그러므로 하나님의 말씀인 성경을 많이 읽고 연구하여서 내용을 잘 파악하여야 한다. 역대 유명한 설교가 들은 모두가 하나 같이 성경 중심에 성경적인 설교만 행하였다.
) 정장복, 『설교학 서설』, (서울:도서출판 엠마오,1992) : 277
2. 정보원으로서의 설교자
정보원으로서의 설교자에게 있어서는 언어를 가장 기본적인 매게 수단으로 삼는 자이다. 따라서 분명한 발음과 정확한 음절을 사용하여 전달하는 메시지여야 한다.
) 김완일, 『효과적인 설교 전달을 위한 기독교 커뮤니케이션의 방법론적 연구』,(서울:장로회신학대학,1988) : 37 - 38
설교자의 설득 언어는 분명하여야 한다. 특히 한국의 언어는 구어체로 이어져 나왔다. 따라서 술어 중심으로 주어의 생략이 보편화되었다. 이러한 언어로는 "사물의 표현과 시제 활용, 논리적인 전개 등에 충분하지 못하다"
) 정장복, 『예배와 설교 핸드북』, 67
는 평가를 받고 있다. 따라서 먼저 ①명료성과, ②정확성, 그리고 ③구체성이 있는 언어로 전달되어야 한다. 명료성이란 설교자가 문제에 대한 분명한 이해가 있으며 이를 체계적인 사고에서 선포할 때 되어지는 것이며, 정확성이란 문제에 대한 데이터나 자료 등이 확실할 때 주어지고, 이를 바탕으로 사고의 윤곽을 정확히 하므로 얻어지는 것이다. 마지막으로 설득 언어는 구체적인 성격을 배제시킬 수 없다. 설교자는 어떤 사물을 회중에게 이해시키려면 조리 있고 구체적인 묘사가 필요하다.
) 배종화, 『설득력 있는 설교에 관한 연구』, (대전:목원대학,1989) : 52 - 53
언어 선택에 있어서 설교자는 항상 좋은 국어, 표준어를 사용하는 것이 필요하다.
) 공수길, 『설교자의 언어 구사 방법론에 관한 연구』, (서울:서울신학대학, 1988) : 70
말은 사람의 인격을 평가하는 척도이므로 좋은 언어, 표준말을 사용하므로 설교자는 좋은 인격의 소유자로 평가받고, 따라서 존경도 받게 되는 것이다. 그러나 좋은 말, 고상한 말을 사용하기 위해서 다른 사람의 말을 많이 빌어다가 소화되지 않은 말이 될 때 또한 거북하며 회중들로 하여금 이해하지 못하게 되면 설득은 실패가 되고 마는 것이다.
) Ibid, 71
설교 언어는 일상적이며 명백한 것이어야 한다. 뿐만 아니라 환기 적이며 전적으로 포괄적인 언어이어야 한다. 특수한 말을 총동원하여 표현해서도 안되며 신학적인 용어를 선택하여서도 안된다. 오히려 신학적이고자 했던 율법사에게 단순하고 직접적이고 진지한 말을 하였던 예수님의 말씀처럼 쉽고 평이한 말을 하여야 설득이 이루어 질 수 있다.
) Charles L. Bartow. The Preaching moment..『설교의 실제』, 차호원역, (서울:도서출판 소망사,1993) : 15 - 17
잘 선택된 언어, 잘 짜여진 문장, 정확한 발음이 구비된 설교 전달이 될 때에 "회중들의 가슴에 전달되고 거기서 불이 붙어 타오를 때"
) 정장복, "언어와 언어 표현의 메커니즘", 『기독교사상』, (1981년 11월호) : 173
우리는 한편의 설교가 탄생되었고 설득이 이루어졌다고 말할 수 있다.
3. 사람 앞에서의 설교자
이중표는『교회 성장과 케리그마 설교』에서 서교자의 위치를 다음과 같이 기술한다. 즉 하나님 앞에서는 믿음으로, 사람앞에서는 행함으로 서 있어야 한다는 것이다.
설교자는 하나님 앞에 서 있으며 동시에 사람 앞에 서 있게 된다. 보이지 않는 하나님 앞에 믿음과 마음으로 서 있다면 사람 앞에는 행위의 인격자로 서게 된다.
) 이중표, 『교회 성장과 케리그마설교』, 247
따라서 설교자는 사람 앞에서 말만 늘어놓고 말 자랑을 하는 말쟁이가 아니다. 설교자는 그들이 곧 메시지임을 자각하고 선포한 말씀을 따라 살기 위해서는 부단한 연구와 노력을 하여야 한다. 오늘날 설교자들이 저지르는 실수는 빈틈이 없이 준비하고 연구하지만, 그 설교대로 빈틈없이 살기 위해서는 조금도 노력을 하거나 연구하지 않는다는 점이다. 그러므로 설교자는 설득을 잘하기 위하여는 부지런히 연구해야 하지만, 또 어떻게 구체적으로 살 것인가에 관하여도 열심히 연구해야만 한다.
) Richard Baxter, The Reformed Paster 이중표 『교회 성장과 케리그마설교』, 248 에서 재인용.
따라서 설교자에게 있어서 가장 중요한 문제는 설교자가 자기의 설교처럼 살고 있는가? 하는 문제이다.
설교자는 책임 있는 선포 자가 되어야 한다. 설교자는 정보를 소개하는 소개자가 아니다. 또한 단순히 제시하는 연설가도 아니다. 오직 신앙에 근거하여 "증언"하는 자이다. 따라서 이 증언에는 삶이 동반되어진 진실성에 기초하여야 한다. 즉 강단에서 진실하게 증언하여야 하고, 또한 강단 밖에서는 자신이 설교한 말에 대하여 책임을 지고 그대로 살아가야 하기 때문이다. 다시말 하면 설교자는 두 가지 진실하여야 한다.
) 정성구 『개혁주의 설교학』(서울:총신대학출판부,1991) : 237
증언과 삶이 일치하는 그때에, 선포한 메시지와 생활이 일치하는 때에 강한 설득력을 지니게 될 것이다.
하나는 강단에서 하나님 앞에서 진실해야 하며, 다른 하나는 사람 앞에서 그의 삶이 참되고 진실하여야 한다. 따라서 선포와 행동이 일치하는 때에 강력한 설득력을 지니게 될 것이다.
)염필형, 『현대신학과 설교형성』(서울:감리교신학대학출판부, 1991) : 195
) Ibid,71
하나님으로부터 계시되어진 메시지가 설교자에게서 화신(化身)이 되고 언행심사가 농축되어 선포되어져야 한다.
4) 성경중심의 설교자
또한 하나님 앞에서의 설교자는 성경 중심의 설교자이어야 한다. 이중표는 이를 표현하여 "하나님의 마음으로부터의 설교"라고 하였다. 그리고 다음과 같이 기술한다.
누구나 하나님의 마음을 잘 알 수는 없다. 그러나 하나님의 말씀 자체가 하나님의 마음을 보여준다. 하나님의 말씀은 그 중심으로부터 말할 때 하나님의 마음이 된다.
) Ibid, 246
즉 하나님의 말씀인 성경을 많이 알고 성경 중심의 설교가 될 때 이것은 곧 하나님의 마음으로부터의 설교가 된다는 것이다. 그러므로 하나님의 말씀인 성경을 많이 읽고 연구하여서 내용을 잘 파악하여야 한다. 역대 유명한 설교가 들은 모두가 하나 같이 성경 중심에 성경적인 설교만 행하였다.
) 정장복, 『설교학 서설』, (서울:도서출판 엠마오,1992) : 277
2. 정보원으로서의 설교자
정보원으로서의 설교자에게 있어서는 언어를 가장 기본적인 매게 수단으로 삼는 자이다. 따라서 분명한 발음과 정확한 음절을 사용하여 전달하는 메시지여야 한다.
) 김완일, 『효과적인 설교 전달을 위한 기독교 커뮤니케이션의 방법론적 연구』,(서울:장로회신학대학,1988) : 37 - 38
설교자의 설득 언어는 분명하여야 한다. 특히 한국의 언어는 구어체로 이어져 나왔다. 따라서 술어 중심으로 주어의 생략이 보편화되었다. 이러한 언어로는 "사물의 표현과 시제 활용, 논리적인 전개 등에 충분하지 못하다"
) 정장복, 『예배와 설교 핸드북』, 67
는 평가를 받고 있다. 따라서 먼저 ①명료성과, ②정확성, 그리고 ③구체성이 있는 언어로 전달되어야 한다. 명료성이란 설교자가 문제에 대한 분명한 이해가 있으며 이를 체계적인 사고에서 선포할 때 되어지는 것이며, 정확성이란 문제에 대한 데이터나 자료 등이 확실할 때 주어지고, 이를 바탕으로 사고의 윤곽을 정확히 하므로 얻어지는 것이다. 마지막으로 설득 언어는 구체적인 성격을 배제시킬 수 없다. 설교자는 어떤 사물을 회중에게 이해시키려면 조리 있고 구체적인 묘사가 필요하다.
) 배종화, 『설득력 있는 설교에 관한 연구』, (대전:목원대학,1989) : 52 - 53
언어 선택에 있어서 설교자는 항상 좋은 국어, 표준어를 사용하는 것이 필요하다.
) 공수길, 『설교자의 언어 구사 방법론에 관한 연구』, (서울:서울신학대학, 1988) : 70
말은 사람의 인격을 평가하는 척도이므로 좋은 언어, 표준말을 사용하므로 설교자는 좋은 인격의 소유자로 평가받고, 따라서 존경도 받게 되는 것이다. 그러나 좋은 말, 고상한 말을 사용하기 위해서 다른 사람의 말을 많이 빌어다가 소화되지 않은 말이 될 때 또한 거북하며 회중들로 하여금 이해하지 못하게 되면 설득은 실패가 되고 마는 것이다.
) Ibid, 71
설교 언어는 일상적이며 명백한 것이어야 한다. 뿐만 아니라 환기 적이며 전적으로 포괄적인 언어이어야 한다. 특수한 말을 총동원하여 표현해서도 안되며 신학적인 용어를 선택하여서도 안된다. 오히려 신학적이고자 했던 율법사에게 단순하고 직접적이고 진지한 말을 하였던 예수님의 말씀처럼 쉽고 평이한 말을 하여야 설득이 이루어 질 수 있다.
) Charles L. Bartow. The Preaching moment..『설교의 실제』, 차호원역, (서울:도서출판 소망사,1993) : 15 - 17
잘 선택된 언어, 잘 짜여진 문장, 정확한 발음이 구비된 설교 전달이 될 때에 "회중들의 가슴에 전달되고 거기서 불이 붙어 타오를 때"
) 정장복, "언어와 언어 표현의 메커니즘", 『기독교사상』, (1981년 11월호) : 173
우리는 한편의 설교가 탄생되었고 설득이 이루어졌다고 말할 수 있다.
3. 사람 앞에서의 설교자
이중표는『교회 성장과 케리그마 설교』에서 서교자의 위치를 다음과 같이 기술한다. 즉 하나님 앞에서는 믿음으로, 사람앞에서는 행함으로 서 있어야 한다는 것이다.
설교자는 하나님 앞에 서 있으며 동시에 사람 앞에 서 있게 된다. 보이지 않는 하나님 앞에 믿음과 마음으로 서 있다면 사람 앞에는 행위의 인격자로 서게 된다.
) 이중표, 『교회 성장과 케리그마설교』, 247
따라서 설교자는 사람 앞에서 말만 늘어놓고 말 자랑을 하는 말쟁이가 아니다. 설교자는 그들이 곧 메시지임을 자각하고 선포한 말씀을 따라 살기 위해서는 부단한 연구와 노력을 하여야 한다. 오늘날 설교자들이 저지르는 실수는 빈틈이 없이 준비하고 연구하지만, 그 설교대로 빈틈없이 살기 위해서는 조금도 노력을 하거나 연구하지 않는다는 점이다. 그러므로 설교자는 설득을 잘하기 위하여는 부지런히 연구해야 하지만, 또 어떻게 구체적으로 살 것인가에 관하여도 열심히 연구해야만 한다.
) Richard Baxter, The Reformed Paster 이중표 『교회 성장과 케리그마설교』, 248 에서 재인용.
따라서 설교자에게 있어서 가장 중요한 문제는 설교자가 자기의 설교처럼 살고 있는가? 하는 문제이다.
설교자는 책임 있는 선포 자가 되어야 한다. 설교자는 정보를 소개하는 소개자가 아니다. 또한 단순히 제시하는 연설가도 아니다. 오직 신앙에 근거하여 "증언"하는 자이다. 따라서 이 증언에는 삶이 동반되어진 진실성에 기초하여야 한다. 즉 강단에서 진실하게 증언하여야 하고, 또한 강단 밖에서는 자신이 설교한 말에 대하여 책임을 지고 그대로 살아가야 하기 때문이다. 다시말 하면 설교자는 두 가지 진실하여야 한다.
) 정성구 『개혁주의 설교학』(서울:총신대학출판부,1991) : 237
증언과 삶이 일치하는 그때에, 선포한 메시지와 생활이 일치하는 때에 강한 설득력을 지니게 될 것이다.
하나는 강단에서 하나님 앞에서 진실해야 하며, 다른 하나는 사람 앞에서 그의 삶이 참되고 진실하여야 한다. 따라서 선포와 행동이 일치하는 때에 강력한 설득력을 지니게 될 것이다.
)염필형, 『현대신학과 설교형성』(서울:감리교신학대학출판부, 1991) : 19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