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32
-
33
-
34
-
35
-
36
-
37
-
38
-
39
-
40
-
41
-
42
-
43
-
44
-
45
-
46
-
47
-
48
-
49
-
50
-
51
-
52
-
53
-
54
-
55
-
56
-
57
-
58
-
59
-
60
-
61
-
62
-
63
-
64
-
65
-
66
-
67
-
68
-
69
-
70
-
71
-
72
-
73
-
74
-
75
-
76
-
77
-
78
-
79


본문내용
다. 즉 참여하는 만큼 배우고, 배운 만큼 수용하고 수용한 만큼 변화를 얻게 된다. 어떤 사람을 변화의 과정에 관련되게 할 때 그는 스스로를 설득시켜 나갈 것이다. 그러나 함께 참여하지 않는 한 커뮤니케이션은 일어나지 않을 것이다. 따라서 평신도가 참여할 수 있는 길은 어떤 방법들이 있는가 그 방법에는 평신도가 직접 참여하도록 만들어야 한다. 그 방법이라는 것은 곧 능동적인 평신도를 만들어야 할 것이다.
평신도들이 설교의 본문으로 택하여지는 성서 구절을 미리 공부하도록 부탁을 하여야 한다.
Reuel L. Howe, 정장복역, 『설교의 파아트너』, 94
이러한 활동들이 도움이 되는 것은 당연하다. 막연히 앉아 있어서 설교를 듣기보다는 미리 설교되어질 본문을 읽고 묵상하던지, 더 깊이 구절 구절을 묵상한 후 설교에 참여한다든지, 하여튼 방법은 여러 가지이나 평신도들이 성경을 미리 접하여서 설교를 들을 때 설득되는 성향이 높을 수 있다.
3 . 수용자들의 참여 방법 제시
수용자들이 성경을 미리 읽고 묵상하도록 자료를 제시해 줌으로서 제시된 자료를 처리해 가는 중 설교를 듣는 준비를 하도록 하는 방법이다. 주보를 이용하는 것이 가장 좋은 방법이고 아니면 다른 지면을 이용하는 방법도 좋을 듯하다.
1) 주보에 설교 내용을 싣는다.
현재 많이 실시하고 있는 방법이다. 이에는 설교의 내용 전체를 주보의 한 면에 싣는 방법이 있는가 하면, 그 내용을 요약하여 요약 설교를 싣는 방법이 있다. 어느 방법이라도 좋다. 그러나 이 기록된 설교를 얼마나 읽고, 준비를 하는가 이다. 그리고 주보에 기록된 설교가 예배 시간 직전에 배부가 되므로 읽고 묵상할 시간적 여유가 없어서 미리 읽기보다는 지난 후 확인하는 방법이든지 아니면 읽어지지도 않고 버려지는 경우가 많다. 또 이 설교 내용이 지난주 설교가 실리는 방법도 있어서 이것은 설교를 준비하는데 있어서는 아무런 도움을 주지 못하게 되는 것이다. 나아가 한 주일 전에 요약된 설교가 제시되는 것도 바람직한 방법 같으나 이미 읽어 버린 설교를 다시 들을 필요성을 얼마나 느끼며, 오히려 설교를 소홀히 할 수 있는 소지가 된다.
2) 주보에 다음 주일 설교할 내용을 중심으로 성경 문제를 싣는다.
한 주일 전에 미리, 다음주에 설교되어질 성경 본문을 문제 형식으로 출제하여 그 성경 문제를 풀도록 한다. 이때 주어진 자료에 의하여 미리 성경의 본문을 탐구하고 중요 구절을 탐구하며 묵상해 보는 방법이다. 단 이 방법을 택하려면 설교되어질 본문이 적어도 설교되어질 약 10일 전에 미리 정하여 지고 그리고 설교 준비가 되어진 상태에서 그 방향에 맞게 문제를 만들 수 있도록 준비되어져야 한다. 설교자의 미리 미리 준비하는 준비성과 부지런함이 따라야 한다. 그러나 미리부터 본문을 선택하여 묵상하고 준비하는 설교이며 회중들은 성경문제를 풀어 가는 중 말씀을 묵상하였기 때문에 설교 전달이나, 설득에 있어서 더 많은 효과를 거둘 수 있는 방법이라 본다.
3) 설교 본문을 구역 교제로 직접 작성하여 구역예배 때에 공부하도록 한다. 2)번의 방법과 동일한 내용으로 3)번은 더 적극적이며, 구체적으로 하는 방법이다. 다음에 설교되어질 내용을 바탕으로 구역예배를 위한 교제를 직접 설교자가 만드는데, 설교되어질 본문의 배경과 내용 분해 등등의 방법으로 만들어 수요일 저녁 예배 후 구역 예배 인도자들을 가르치던가, 아니면 금요일 권찰 교육을 통하여 교육을 실시하고, 여기서 교육을 받은 자들이나가 구역예배를 인도하도록 하는 방법이다. 이 방법은 2)번의 방법보다 더 효과적이라 본다. 그것은 더 많은 사람이 참여하는 구역예배를 통하여 말씀들을 준비를 하게 하는 방법이다. 주보에 문제만 제출하면 적은 인원이 참석하는 것이 단점이다. 따라서 많이 참석을 하도록 유도하면 3)번보다 효과적일 수 있다. 구역예배 교제로 만들어 내어 놓을 때는 더 많은 회중들이 이 본문을 미리 준비된 상황에 따라서 듣고 미리 묵상하게 될 수 있다. 그러나 구역원들이 듣지 않으면 역시 아무런 효과가 없고 또 구역예배 교제를 만드는 일들이 힘이 들고 많은 준비성을 요하는 일이라 본다.
4) 설교되어질 본문을 성경의 차례대로 설교하여 간다.
매주일 선택되어지는 설교 본문이 성경의 순서대로 하는 방법이다. 예를 들어서 지난 주일에 창세기 3장을 설교하였으면 금주에는 창세기 4장을 설교하는 방법이다. 그리고 그 1장을 중심으로 1주일간 새벽 기도회를 인도한다. 이것도 역시 좋은 방법이다. 설교할 본문을 골라 택하여야 하는 수고로움도 없고, 늘 정해진 본문에 의하여 설교만 열심히 준비하면 되는 것이다. 따라서 회중들도 매주일 다음 장을 읽어 오면 되는 것이다. 그러나 막연히 성경을 매주일 1장씩 읽는다는 것은 여간 인내를 요하는 일이라 아니할 수 없다. 어떤 지침이 주어지면 더욱 좋겠다고 본다.
5) 설교 세미나를 개최하는 방법
설교되어질 본문이 평신도들에게 전달되어 평신도들이 이 본문을 가지고 나름대로 준비하여 세미나를 개최하면 그 세미나 장소에 설교자는 인도자가 아닌 관람객으로 참여하여 평신도들끼리 주고받는 대화를 소재로 설교를 작성하는 방법이다. 적어도 2주일 전에 다음 주일에 설교되어질 본문이 평신도, 즉 발표할 연사에게 전달되고 준비된 연사 ― 설교자의 지도 없이 평신도 자기들 나름대로 준비한 내용 ― 가 화요일쯤 설교 회중이 모인 곳에서 발표를 하게 된다. 그러면 그 때 발표되고 질문되어진 내용들을 설교자는 잘 듣고 정리하여 다음주일 설교 준비에 들어가는 것이다. 회중들의 욕구와 관심을 밝히 알 수 있어서 설득력 있는 설교를 만들 수 있을 것이다. 그러나 이 방법은 미국 교회에서 실시하는 것들로서 아직은 한국 교회에 실시하기는 여건상 맞지 않은 부분들이 많이 있음은 주지의 사실이다.
또 다른 방법들은 설교를 한 후 설교에 대하여 질문의 시간을 갖는 것도 좋은 방법이라 본다. 혹은 질문 시간은 아닐지라도 설교 후에 설교에 대한 평신도들의 말을 들을 줄 아는 설교자가 되는 것도 중요하다. 아무튼 설교자는 어떤 방법으로든 수용자들을 설교 안으로 이끌어 들이는 것이 설득을 높이는 방법이라 본다.
평신도들이 설교의 본문으로 택하여지는 성서 구절을 미리 공부하도록 부탁을 하여야 한다.
Reuel L. Howe, 정장복역, 『설교의 파아트너』, 94
이러한 활동들이 도움이 되는 것은 당연하다. 막연히 앉아 있어서 설교를 듣기보다는 미리 설교되어질 본문을 읽고 묵상하던지, 더 깊이 구절 구절을 묵상한 후 설교에 참여한다든지, 하여튼 방법은 여러 가지이나 평신도들이 성경을 미리 접하여서 설교를 들을 때 설득되는 성향이 높을 수 있다.
3 . 수용자들의 참여 방법 제시
수용자들이 성경을 미리 읽고 묵상하도록 자료를 제시해 줌으로서 제시된 자료를 처리해 가는 중 설교를 듣는 준비를 하도록 하는 방법이다. 주보를 이용하는 것이 가장 좋은 방법이고 아니면 다른 지면을 이용하는 방법도 좋을 듯하다.
1) 주보에 설교 내용을 싣는다.
현재 많이 실시하고 있는 방법이다. 이에는 설교의 내용 전체를 주보의 한 면에 싣는 방법이 있는가 하면, 그 내용을 요약하여 요약 설교를 싣는 방법이 있다. 어느 방법이라도 좋다. 그러나 이 기록된 설교를 얼마나 읽고, 준비를 하는가 이다. 그리고 주보에 기록된 설교가 예배 시간 직전에 배부가 되므로 읽고 묵상할 시간적 여유가 없어서 미리 읽기보다는 지난 후 확인하는 방법이든지 아니면 읽어지지도 않고 버려지는 경우가 많다. 또 이 설교 내용이 지난주 설교가 실리는 방법도 있어서 이것은 설교를 준비하는데 있어서는 아무런 도움을 주지 못하게 되는 것이다. 나아가 한 주일 전에 요약된 설교가 제시되는 것도 바람직한 방법 같으나 이미 읽어 버린 설교를 다시 들을 필요성을 얼마나 느끼며, 오히려 설교를 소홀히 할 수 있는 소지가 된다.
2) 주보에 다음 주일 설교할 내용을 중심으로 성경 문제를 싣는다.
한 주일 전에 미리, 다음주에 설교되어질 성경 본문을 문제 형식으로 출제하여 그 성경 문제를 풀도록 한다. 이때 주어진 자료에 의하여 미리 성경의 본문을 탐구하고 중요 구절을 탐구하며 묵상해 보는 방법이다. 단 이 방법을 택하려면 설교되어질 본문이 적어도 설교되어질 약 10일 전에 미리 정하여 지고 그리고 설교 준비가 되어진 상태에서 그 방향에 맞게 문제를 만들 수 있도록 준비되어져야 한다. 설교자의 미리 미리 준비하는 준비성과 부지런함이 따라야 한다. 그러나 미리부터 본문을 선택하여 묵상하고 준비하는 설교이며 회중들은 성경문제를 풀어 가는 중 말씀을 묵상하였기 때문에 설교 전달이나, 설득에 있어서 더 많은 효과를 거둘 수 있는 방법이라 본다.
3) 설교 본문을 구역 교제로 직접 작성하여 구역예배 때에 공부하도록 한다. 2)번의 방법과 동일한 내용으로 3)번은 더 적극적이며, 구체적으로 하는 방법이다. 다음에 설교되어질 내용을 바탕으로 구역예배를 위한 교제를 직접 설교자가 만드는데, 설교되어질 본문의 배경과 내용 분해 등등의 방법으로 만들어 수요일 저녁 예배 후 구역 예배 인도자들을 가르치던가, 아니면 금요일 권찰 교육을 통하여 교육을 실시하고, 여기서 교육을 받은 자들이나가 구역예배를 인도하도록 하는 방법이다. 이 방법은 2)번의 방법보다 더 효과적이라 본다. 그것은 더 많은 사람이 참여하는 구역예배를 통하여 말씀들을 준비를 하게 하는 방법이다. 주보에 문제만 제출하면 적은 인원이 참석하는 것이 단점이다. 따라서 많이 참석을 하도록 유도하면 3)번보다 효과적일 수 있다. 구역예배 교제로 만들어 내어 놓을 때는 더 많은 회중들이 이 본문을 미리 준비된 상황에 따라서 듣고 미리 묵상하게 될 수 있다. 그러나 구역원들이 듣지 않으면 역시 아무런 효과가 없고 또 구역예배 교제를 만드는 일들이 힘이 들고 많은 준비성을 요하는 일이라 본다.
4) 설교되어질 본문을 성경의 차례대로 설교하여 간다.
매주일 선택되어지는 설교 본문이 성경의 순서대로 하는 방법이다. 예를 들어서 지난 주일에 창세기 3장을 설교하였으면 금주에는 창세기 4장을 설교하는 방법이다. 그리고 그 1장을 중심으로 1주일간 새벽 기도회를 인도한다. 이것도 역시 좋은 방법이다. 설교할 본문을 골라 택하여야 하는 수고로움도 없고, 늘 정해진 본문에 의하여 설교만 열심히 준비하면 되는 것이다. 따라서 회중들도 매주일 다음 장을 읽어 오면 되는 것이다. 그러나 막연히 성경을 매주일 1장씩 읽는다는 것은 여간 인내를 요하는 일이라 아니할 수 없다. 어떤 지침이 주어지면 더욱 좋겠다고 본다.
5) 설교 세미나를 개최하는 방법
설교되어질 본문이 평신도들에게 전달되어 평신도들이 이 본문을 가지고 나름대로 준비하여 세미나를 개최하면 그 세미나 장소에 설교자는 인도자가 아닌 관람객으로 참여하여 평신도들끼리 주고받는 대화를 소재로 설교를 작성하는 방법이다. 적어도 2주일 전에 다음 주일에 설교되어질 본문이 평신도, 즉 발표할 연사에게 전달되고 준비된 연사 ― 설교자의 지도 없이 평신도 자기들 나름대로 준비한 내용 ― 가 화요일쯤 설교 회중이 모인 곳에서 발표를 하게 된다. 그러면 그 때 발표되고 질문되어진 내용들을 설교자는 잘 듣고 정리하여 다음주일 설교 준비에 들어가는 것이다. 회중들의 욕구와 관심을 밝히 알 수 있어서 설득력 있는 설교를 만들 수 있을 것이다. 그러나 이 방법은 미국 교회에서 실시하는 것들로서 아직은 한국 교회에 실시하기는 여건상 맞지 않은 부분들이 많이 있음은 주지의 사실이다.
또 다른 방법들은 설교를 한 후 설교에 대하여 질문의 시간을 갖는 것도 좋은 방법이라 본다. 혹은 질문 시간은 아닐지라도 설교 후에 설교에 대한 평신도들의 말을 들을 줄 아는 설교자가 되는 것도 중요하다. 아무튼 설교자는 어떤 방법으로든 수용자들을 설교 안으로 이끌어 들이는 것이 설득을 높이는 방법이라 본다.
추천자료
미디어의 특성, 미디어의 종류와 활용, 미디어의 장단점, 미디어산업의 범위, 미디어산업의 ...
[TQM]TQM(총체적 품질관리)의 정의와 특징 및 효과, TQM(총체적 품질경영)의 적용 절차 분석,...
토론학습(토론수업, 토의학습)의 유형, 토론학습(토론수업, 토의학습)의 특성, 토론학습(토론...
문제중심학습(문제기반학습, PBL)의 정의와 특성, 문제중심학습(문제기반학습, PBL)의 중요성...
웹캐스팅(인터넷방송)의 의미와 유형, 웹캐스팅(인터넷방송)의 특징과 현황, 웹캐스팅(인터넷...
E비즈니스(E-BIZ, 이비즈니스, 인터넷비즈니스)의 정의, 특징, 분류, E비즈니스(E-BIZ, 이비...
[영유아프로그램개발과평가] 발도르프 프로그램 - 발도르프 프로그램의 교육과정, 발도르프 ...
[가족치료의 이해] 우리나라 가족의 대표적 문제 가운데 하나는 고부갈등 혹은 결혼 후에도 ...
<소비자 태도 및 구매 분석> 고객의 구매 전(다속성 태도모델, HEIDER 균형이론 이론, Katz의...
초중고학생의 게임중독증에 대한 보건교육-개별적으로 개인이나 집단을 정하고, 선택대상에 ...
[고용보험]고용보험(실업보험)과 산재보험의 내용, 기본보험료, 고용보험(실업보험)과 산재보...
[간호이론D형]압델라의 환자중심간호접근법과 관련해 작성하시오-<주요개념, 만성질환자 1인...
[간호이론 A형] 매슬로의 욕구위계론과 관련해 작성. 1) 주변의 만성질환자 1인을 선정하여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