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32
-
33
-
34
-
35
-
36
-
37
-
38
-
39
-
40
-
41
-
42
-
43
-
44
-
45
-
46
-
47
-
48
-
49
-
50
-
51
-
52
-
53
-
54
-
55
-
56
-
57
-
58
-
59
-
60
-
61
-
62
-
63
-
64
-
65
-
66
-
67
-
68
-
69
-
70
-
71
-
72
-
73
-
74
-
75
-
76
-
77
-
78
-
79
-
80
-
81
-
82
-
83
-
84
-
85
-
86
-
87
-
88
-
89
-
90
-
91
-
92
-
93
-
94
-
95


목차
제 1 장 서 론
제1절 연구의 동기 및 목적
제2절 연구의 범위
제3절 연구의 방법
제 2 장 기업자원봉사에 관한 이론적 고찰
제1절 기업의 사회적 의의
1. 기업의 개념과 본질
2. 기업의 사회적 책임
제2절 기업자원봉사의 의의
1. 기업자원봉사의 개념
2. 기업자원봉사의 목적 및 중요성
3. 기업자원봉사의 제 이론
4. 기업자원봉사의 유형과 영역
제3절 기업자원봉사의 역사와 발전과정
1. 외국의 기업자원봉사 역사와 발전과정
2. 국내의 기업자원봉사 역사와 발전과정
제 3 장 사회복지시설과 기업자원봉사
제1절 사회복지시설의 개념 및 종류
제2절 사회복지시설의 기능과 역할
제3절 사회복지시설의 현황 및 문제점
제4절 사회복지시설에서의 기업자원봉사 활용의 필요성
제 4 장 기업자원봉사의 현황 및 활용의 문제점
제1절 기업자원봉사의 활동현황
1. 주요기업 및 단체의 기업자원봉사 활동현황
2. 국내기업의 사회공헌활동 지출규모 분석
3. 기업자원봉사의 사내체제 및 제도 도입현황
제2절 사회복지시설의 기업자원봉사 활용의 문제점
1. 기업의 문제
2. 사회복지시설의 문제
3. 중개조직의 문제
4. 관련법규 및 지원부서·단체의 문제
제 5 장 사회복지시설에서의 기업자원봉사 활용방안
제1절 기업과의 전략적 파트너십
1. 마케팅기법의 활용
2. 인터넷의 활용
3. 벤처기업의 활용
제2절 정보네트워크의 공유
1. 자원봉사센터의 효과적 활용
2. 정부 및 사회복지 지원조직과의 연계
제3절 사회복지시설의 체제정비
1. 관리자 교육 및 인식개선
2. 기업자원봉사 관리프로그램의 정립
3. 사회복지시설의 홍보전략 수립
제 6 장 결론 및 제언
제1절 연구의 동기 및 목적
제2절 연구의 범위
제3절 연구의 방법
제 2 장 기업자원봉사에 관한 이론적 고찰
제1절 기업의 사회적 의의
1. 기업의 개념과 본질
2. 기업의 사회적 책임
제2절 기업자원봉사의 의의
1. 기업자원봉사의 개념
2. 기업자원봉사의 목적 및 중요성
3. 기업자원봉사의 제 이론
4. 기업자원봉사의 유형과 영역
제3절 기업자원봉사의 역사와 발전과정
1. 외국의 기업자원봉사 역사와 발전과정
2. 국내의 기업자원봉사 역사와 발전과정
제 3 장 사회복지시설과 기업자원봉사
제1절 사회복지시설의 개념 및 종류
제2절 사회복지시설의 기능과 역할
제3절 사회복지시설의 현황 및 문제점
제4절 사회복지시설에서의 기업자원봉사 활용의 필요성
제 4 장 기업자원봉사의 현황 및 활용의 문제점
제1절 기업자원봉사의 활동현황
1. 주요기업 및 단체의 기업자원봉사 활동현황
2. 국내기업의 사회공헌활동 지출규모 분석
3. 기업자원봉사의 사내체제 및 제도 도입현황
제2절 사회복지시설의 기업자원봉사 활용의 문제점
1. 기업의 문제
2. 사회복지시설의 문제
3. 중개조직의 문제
4. 관련법규 및 지원부서·단체의 문제
제 5 장 사회복지시설에서의 기업자원봉사 활용방안
제1절 기업과의 전략적 파트너십
1. 마케팅기법의 활용
2. 인터넷의 활용
3. 벤처기업의 활용
제2절 정보네트워크의 공유
1. 자원봉사센터의 효과적 활용
2. 정부 및 사회복지 지원조직과의 연계
제3절 사회복지시설의 체제정비
1. 관리자 교육 및 인식개선
2. 기업자원봉사 관리프로그램의 정립
3. 사회복지시설의 홍보전략 수립
제 6 장 결론 및 제언
본문내용
설에로의 적립유도라든가 ②사회복지시설의 사업홍보 및 사회복지사업과 관련한 각종 프로젝트에 필요한 인적, 물적자원의 협조체계의 구축 ③자원봉사모집에 있어 수요와 공급을 연결하는 역할을 맡기는 사항 등은 최근의 인터넷 열풍에 힘입어 얼마든지 활용 가능한 것이다.
한가지 예를 들면 기업들로 하여금 자사 홈페이지에 사회복지시설 및 사회복지관련 단체들의
) 배너(banner)란 원래는 홍보용 현수막을 가리키는 말이지만, 월드 와이드 웹 (www)이 보편화된 요즘에는 인기있는 웹 페이지의 한쪽에 특정 웹사이트의 이름이나 내용을 홍보하는 그래픽 이미지를 의미한다.
이러한 것들을 흔히 배너 광고라고 하는데, 대개 미리 정해진 규격에 animated GIF 파일 등을 이용하여 광고를 내고, 소정의 광고료를 지불하는 형태이다. 광 고 사이트에서는 광고효과 분석을 위해 배너가 사용자들에게 보여진 횟수나 일정기간동안 배너그래픽이 다운로드된 횟수를 세어 광고주에게 알려주기도 한다.
배너(banner)를 달게 하여 다양한 효과를 기대할 수 있는데 그곳을 오고가는 방문객들이 배너를 클릭 함으로서 해당 사회복지시설 및 관련단체의 인터넷 홈페이지로 쉽게 이동되어 그곳의 운영동향과 소식을 볼 수 있고 자원봉사와 관련한 수요와 공급의 연결도 가능하며, 자연스럽게 시설을 홍보할 수 있는 것이다.
이렇듯 국내 사회복지시설 및 단체들이 무료 "배너(banner) 달아주기 운동"을 전개하여 기업의 동참을 유도한다면, 오늘날 국내 1천만명 이상되는 인터넷 사용자수를 감안할 때 그 기대 효과는 상당하리라 본다.
셋째, 기업과 정부의 자원봉사 관리부서, 민간 사회복지단체, 자원봉사센터, 그리고 사회복지시설들을 서로 연결하여 데이터베이스를 공유할 수 있는 정보네트워크의 구축은 필수적으로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이를 위해서는 사회복지시설의 홈페이지 구축, 자원봉사센터의 자원봉사 전산프로그램(VDMS)의 설치·운영, 자원봉사 전용전화 (국번없이 0000)의 센터별 설치, 통합자료를 서로 공유하고 신속한 연결을 해줄 "종합자원봉사센터"의 설치, 정보체계구축 및 관리에 필요한 전문인력의 육성배치 등은 21세기 정보화시대를 살아감에 있어 필수적 구비요소라 할 수 있다.
참 고 문 헌
● 공병호, 최승노. 1996. <기업윤리강령과 기업의 사회적 책임>
● 김미숙, 김유경, 김성희. 1999. <자원봉사센터의 현황과 효율적 운영방안> 한국보건사회연구원, 보건복지포럼 1999. 1월호.
● 박태영. 1993. <사회복지시설 자원봉사활동의 문제점과 개선점>
한국사회복지협의회, 사회복지통권 100호.
● 성민선, 1996. <기업의 자원봉사> 카톨릭대학교 사회복지연구소.
● 신섭중, 1993. <신복지정책의 방향과 과제 - 사회복지>
한국사회복지협의회.
● 신유근, 한정화. 1990. <한국기업의 사회참여 활동>
전국 경제인 연합회 경제사회개발원.
● 양용희. 1998. <자원봉사자 모집을 위한 홍보와 효과적인 관리방안>
자원봉사정보안내센터, 자원봉사업무의 효율적 관리를 위한 기술
(6개시·도 자원 봉사관리자 교육교재) 별첨자료.
● 이강현. 1995. <선진기업의 자원봉사활동> 삼성사회봉사단.
● 이강현. 1997. <한국기업자원봉사의 과제와 전략>
한국자원봉사포럼.
● 이성록. 1998. <자원봉사활동지원법 제정에 대한 제언> 볼런타스, 1998. 여름호.
● 이영희. 1994.. <사회복지시설행정> 대구대학교 출판부, 1994..
● 이재규. 1997. <피터드러커가 말하는 사회속에서 기업의 역할>
삼성사회공헌활동백서.1997.
● 이창호. 1997. <기업자원봉사의 과제와 전략> 한국자원봉사포럼.
● 정구현. 2000. <정보지식시대의 기업과 사회-기업사회공헌활동의 새로운 방향> 1999 기업·기업재단 사회공헌백서, 전국경제인연 합회, 2000.
● 정구현, 이혜경. 1995. < 한국공익재단의 환경변화와 발전방향>
● 조상미. 1996. <기업임직원의 자원봉사태도에 영향을 미치는 제 요 인에 관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 조휘일. 1995. <기업자원봉사활동의 배경과 방향> 서울사회복지 연구 창간호, 서울특별시 사회복지협의회.
● 주성수. 2000. <기업 사회봉사 모델과 프로그램> 기업 사회공헌과 사 회봉사, 전국경제인연합회, 2000. 4월 세미나자료집.
● 최일섭 외. 1996. <미국의 자원 봉사 유래와 현황> 한국사회복지 관협회.
● 황창순. 1999. <기업과 사회복지-제4분과> 제10회 전국사회복지 대회 발표자료.
● Mary Galligan Mathieu. 1997. <미국의 기업자원봉사 프로그램>
기업자원봉사의 과제와 전략 ,한국자원봉사포럼 전문가 토론회.
● <1999 기업·기업재단 사회공헌백서> 2000. 전국경제인연합회.
● <1997~9 삼성사회공헌활동백서> 1998~2000.삼성사회봉사단.
● <기업의 사회봉사> 1984. 한국경제연구원.
● <기업 사회공헌활동에 관한 연구> 1996. 한백연구재단.
● <볼런티어 활동을 추진하기 위해 당면 방침> 1994. 사회복지협의회, 사무국장세미나
● <사랑의 빛 나눔의 별> 1995. 삼성사회공헌팀.
● <사회복지법전> 1997. 한국사회복지협의회, 한국사회복지협의회 출판부.
● <사회복지시설 운영 내실화방안> 1996. 보건복지부, 보건사회참 고자료.
● <자원봉사프로그램백과1,2> 1997. 한국사회복지협의회.
● <자원봉사정보안내센터 이런 일도 합니다.> 1998. 자원봉사정보. 안내센터, 한국사회복지협의회.
● <주요행정통계> 2000. 보건복지부.
● 중 앙 일 보 1994년 8월24일자.
● 매일경제신문 2000년 1월12일자.
● 매일경제신문 2000년 1월30일자.
● 한겨레신문 2000년 2월19일자.
● 한국경제신문 2000년 2월26일자.
● 한국경제신문 2000년 3월 3일자.
● 중 앙 일 보 2000년 4월17일자.
● 조 선 일 보 2000년 4월23일자.
● 중소기업청, 공보담당관실 ,벤쳐기업국, 벤쳐정책과 ,보도자료, 2000.4.
한가지 예를 들면 기업들로 하여금 자사 홈페이지에 사회복지시설 및 사회복지관련 단체들의
) 배너(banner)란 원래는 홍보용 현수막을 가리키는 말이지만, 월드 와이드 웹 (www)이 보편화된 요즘에는 인기있는 웹 페이지의 한쪽에 특정 웹사이트의 이름이나 내용을 홍보하는 그래픽 이미지를 의미한다.
이러한 것들을 흔히 배너 광고라고 하는데, 대개 미리 정해진 규격에 animated GIF 파일 등을 이용하여 광고를 내고, 소정의 광고료를 지불하는 형태이다. 광 고 사이트에서는 광고효과 분석을 위해 배너가 사용자들에게 보여진 횟수나 일정기간동안 배너그래픽이 다운로드된 횟수를 세어 광고주에게 알려주기도 한다.
배너(banner)를 달게 하여 다양한 효과를 기대할 수 있는데 그곳을 오고가는 방문객들이 배너를 클릭 함으로서 해당 사회복지시설 및 관련단체의 인터넷 홈페이지로 쉽게 이동되어 그곳의 운영동향과 소식을 볼 수 있고 자원봉사와 관련한 수요와 공급의 연결도 가능하며, 자연스럽게 시설을 홍보할 수 있는 것이다.
이렇듯 국내 사회복지시설 및 단체들이 무료 "배너(banner) 달아주기 운동"을 전개하여 기업의 동참을 유도한다면, 오늘날 국내 1천만명 이상되는 인터넷 사용자수를 감안할 때 그 기대 효과는 상당하리라 본다.
셋째, 기업과 정부의 자원봉사 관리부서, 민간 사회복지단체, 자원봉사센터, 그리고 사회복지시설들을 서로 연결하여 데이터베이스를 공유할 수 있는 정보네트워크의 구축은 필수적으로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이를 위해서는 사회복지시설의 홈페이지 구축, 자원봉사센터의 자원봉사 전산프로그램(VDMS)의 설치·운영, 자원봉사 전용전화 (국번없이 0000)의 센터별 설치, 통합자료를 서로 공유하고 신속한 연결을 해줄 "종합자원봉사센터"의 설치, 정보체계구축 및 관리에 필요한 전문인력의 육성배치 등은 21세기 정보화시대를 살아감에 있어 필수적 구비요소라 할 수 있다.
참 고 문 헌
● 공병호, 최승노. 1996. <기업윤리강령과 기업의 사회적 책임>
● 김미숙, 김유경, 김성희. 1999. <자원봉사센터의 현황과 효율적 운영방안> 한국보건사회연구원, 보건복지포럼 1999. 1월호.
● 박태영. 1993. <사회복지시설 자원봉사활동의 문제점과 개선점>
한국사회복지협의회, 사회복지통권 100호.
● 성민선, 1996. <기업의 자원봉사> 카톨릭대학교 사회복지연구소.
● 신섭중, 1993. <신복지정책의 방향과 과제 - 사회복지>
한국사회복지협의회.
● 신유근, 한정화. 1990. <한국기업의 사회참여 활동>
전국 경제인 연합회 경제사회개발원.
● 양용희. 1998. <자원봉사자 모집을 위한 홍보와 효과적인 관리방안>
자원봉사정보안내센터, 자원봉사업무의 효율적 관리를 위한 기술
(6개시·도 자원 봉사관리자 교육교재) 별첨자료.
● 이강현. 1995. <선진기업의 자원봉사활동> 삼성사회봉사단.
● 이강현. 1997. <한국기업자원봉사의 과제와 전략>
한국자원봉사포럼.
● 이성록. 1998. <자원봉사활동지원법 제정에 대한 제언> 볼런타스, 1998. 여름호.
● 이영희. 1994.. <사회복지시설행정> 대구대학교 출판부, 1994..
● 이재규. 1997. <피터드러커가 말하는 사회속에서 기업의 역할>
삼성사회공헌활동백서.1997.
● 이창호. 1997. <기업자원봉사의 과제와 전략> 한국자원봉사포럼.
● 정구현. 2000. <정보지식시대의 기업과 사회-기업사회공헌활동의 새로운 방향> 1999 기업·기업재단 사회공헌백서, 전국경제인연 합회, 2000.
● 정구현, 이혜경. 1995. < 한국공익재단의 환경변화와 발전방향>
● 조상미. 1996. <기업임직원의 자원봉사태도에 영향을 미치는 제 요 인에 관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 조휘일. 1995. <기업자원봉사활동의 배경과 방향> 서울사회복지 연구 창간호, 서울특별시 사회복지협의회.
● 주성수. 2000. <기업 사회봉사 모델과 프로그램> 기업 사회공헌과 사 회봉사, 전국경제인연합회, 2000. 4월 세미나자료집.
● 최일섭 외. 1996. <미국의 자원 봉사 유래와 현황> 한국사회복지 관협회.
● 황창순. 1999. <기업과 사회복지-제4분과> 제10회 전국사회복지 대회 발표자료.
● Mary Galligan Mathieu. 1997. <미국의 기업자원봉사 프로그램>
기업자원봉사의 과제와 전략 ,한국자원봉사포럼 전문가 토론회.
● <1999 기업·기업재단 사회공헌백서> 2000. 전국경제인연합회.
● <1997~9 삼성사회공헌활동백서> 1998~2000.삼성사회봉사단.
● <기업의 사회봉사> 1984. 한국경제연구원.
● <기업 사회공헌활동에 관한 연구> 1996. 한백연구재단.
● <볼런티어 활동을 추진하기 위해 당면 방침> 1994. 사회복지협의회, 사무국장세미나
● <사랑의 빛 나눔의 별> 1995. 삼성사회공헌팀.
● <사회복지법전> 1997. 한국사회복지협의회, 한국사회복지협의회 출판부.
● <사회복지시설 운영 내실화방안> 1996. 보건복지부, 보건사회참 고자료.
● <자원봉사프로그램백과1,2> 1997. 한국사회복지협의회.
● <자원봉사정보안내센터 이런 일도 합니다.> 1998. 자원봉사정보. 안내센터, 한국사회복지협의회.
● <주요행정통계> 2000. 보건복지부.
● 중 앙 일 보 1994년 8월24일자.
● 매일경제신문 2000년 1월12일자.
● 매일경제신문 2000년 1월30일자.
● 한겨레신문 2000년 2월19일자.
● 한국경제신문 2000년 2월26일자.
● 한국경제신문 2000년 3월 3일자.
● 중 앙 일 보 2000년 4월17일자.
● 조 선 일 보 2000년 4월23일자.
● 중소기업청, 공보담당관실 ,벤쳐기업국, 벤쳐정책과 ,보도자료, 2000.4.
추천자료
각국의 자원봉사 활동과 기업의 사회공헌 활동
사회복지기관을 선택하여 기관을 소개하고(실습이나 자원봉사를 한 기관이면 좋으나, 홈페이...
[시민운동단체 및 자원봉사단체] 시민단체와 사회복지, NGO와 NPO
사회복지실천 1차 현장 - 예 : 종합사회복지관, 장애인종합복지관, 노인종합복지관, 노인시설...
사회복지공헌 기업 - 대학당안경봉사단 소개
사회복지실천 1차 현장(예 : 종합사회복지관, 장애인종합복지관, 노인종합복지관, 노인시설, ...
내 주변에 있는 사회복지기관 및 시설을 찾아 자원봉사활동을 해 보고 활동소감문을 작성하여...
국가 및 지역사회 각 기관 단체(법인, 민간) 기업, 병원등에서 시행하고 있는 사회복지서비스...
사회복지관의 자원봉사자 발굴방안
[인적자원관리론] 복리후생의 필요성과 내용 및 복리후생의 효율적 운영과 기업복지제도의 발...
자원봉사조직에서 자원봉사자와 직원과의 관계, 자원봉사자와 클라이언트간의 관계에서 갈등...
기업의 자원봉사 활동과 사회단체의 자원봉사활동의 활성화 방안에 대해 비교
[자원봉사의 이해] 금융기업의 자원봉사 현황과 문제점 및 기업의 사회공헌 증진방안 (기업의...
[자원봉사론] 기업의 자원봉사에 대해서 아는 대로 서술하시오 - 기업자원봉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