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32
-
33
-
34
-
35
-
36
-
37
-
38
-
39
-
40
-
41
-
42


목차
I. 들어가기에 앞서
II. 커뮤니케이션 연구의 진행
III.학문하는 태도 - Conceptualization
IV. 대중사회이론 1th
V. 효과론 1th
VI. 커뮤니케이션과 권력
VII. Habermas
VIII. 대중사회이론(C.Wright Mills) 2nd
IX. Marxism, 문화주의
X. F.S.Siebert, T.Peterson, W.Schramm의 ‘Four Theories of the Press’
XI. Organization
XII. 매스미디어의 사회적 성격
XIII. 미디어의 내용(Content Analysis)
XIV. Audience
XV. 효과 이론 II
XVI. Information
II. 커뮤니케이션 연구의 진행
III.학문하는 태도 - Conceptualization
IV. 대중사회이론 1th
V. 효과론 1th
VI. 커뮤니케이션과 권력
VII. Habermas
VIII. 대중사회이론(C.Wright Mills) 2nd
IX. Marxism, 문화주의
X. F.S.Siebert, T.Peterson, W.Schramm의 ‘Four Theories of the Press’
XI. Organization
XII. 매스미디어의 사회적 성격
XIII. 미디어의 내용(Content Analysis)
XIV. Audience
XV. 효과 이론 II
XVI. Information
본문내용
society'라는 말보다 Post-industrial society'라는 말을 선호하였
다.
인류의 역사는 Pre-industrial society에서 Industrial society로, 또 Post-
industrial society로 흘러 왔다.
# Pre-industrial society : 자연계를 인간이 약탈하는 방식. 수탈경제
# Industrial society : 기계기술'이 중심
지식이나 정보는 개인의 소유물이 아니고 사회의 소유물이다. 즉
한번 생산되면 사회성원 모두가 소비가 가능하다.
# Compunication : Computer + Communication
사회적 하부구조를 구축. 인간의 지식형태도 상품경제학'에서 정보
경제학'으로 이동. 여기서 지식 계급'의 확산이 이루어 진다. 서비스
산업의 확대. 작업형태 변화(여성인력의 자립). 사회구조가 수직적
(situses)이 된다. 이에 비해 산업시대에는 수평적 사회구조를 이루었
다.
Bolter : 어떤 사회를 정의하는, 그 시대의 문명을 대표하는 테크놀로지가 있다.
① 시계 : synchronizing'시킴
② 증기 : 산업혁명을 이끔. 수송,기계를 발전시켰다. 공업사회의 특징
③ 컴퓨터 : 과정'이 중심. 정보사회의 특징. 자본과 노동이 주요소가 아니다.
정보와 지식(소모가 되지 않는다)이 이를 대체.
정보의 역할이 핵심적 부분을 차지. 정보가치설' 주장.
2) 좌파사회학자들은 Bell의 가정(정보의 확산)은 인정하면서도, 정보는 사회적 조건과 시
스템에 의거하여 상품화(valorization)되고, 정부와 중앙에 의해 통제되기 때문에 그들이
말하는 장미빛 미래는 오지 않는다고 주장하였다.
* Ekecrantz. Robins and Webster. Orwell. 미셸 푸코.
정보는 결코 공동체 이익에 기여하지 않는다. 미래사회가 정보사회라는 것도 맞고 정보
의 복제능력은 인정하며 사회전체 정보량은 증가한다는 사실도 인정하지만, 사회적 요소
에 의해 누구나 접근할 수 있다는 사실은 부정한다. 이 때문에 정보의 분배문제가 발생
한다고 주장하였다. 즉 정보의 분배 불평등은 계급간의 차이를 발생시킨다고 보았다.
* Katzman : 정보사회에서 새로운 정보 gap의 재생산이 이루어 진다. 계급 불평등이 사라
지는 것이 아니라 형태가 바뀌는 것이다. 정보부문도 사회적 분업의 형태가 이루어 진다.
테크놀로지 = 유토피아'의 가정은 정보가 독립된 실체라고 보았기 때문이며 이는 잘못
된 것이다.
왜냐하면 정보도 사회 구성 요소의 하나이며, 특히 자본에 예속되기 때문이다. 즉 자본축
적 논리의 자기표현에 불과하다고 보았으며 본질에 있어 변화는 없다고 주장하였다.
합리적 사회 메카니즘의 토대로서의 정보의 존재를 인식하였으며, 정보상품화를 언급.
3) 정보는 사회변동의 원인인가 결과인가?
① Technological Determinism (기술 결정론) : 기술의 발달이 사회의 다른 부문의 발달
의 유도한다.
# Herold Innis (캐나다 경제적 종속 분석, 커뮤니케이션 연구) : 종교와 권력을 비교하여
시간과 공간에 편견된 문화를 구별
1. Time-biased Culture : 시간적 지속성 강조, 공동체적 가치 확산 기능을 한다.
탈집중적이고 약한 조직력을 갖고 있다.
2. Space-biased Culture : 공간에 집중, 현재에 집착하고 영토확장과 세속적 권력확장
에 집중
이런 미디어의 성격에 따라 다음과 같은 시간 공간형 문화가 성립되었다.
1. 돌, 진흙, 양피지 : 내구성 높고 이동 어려움. Time - biased
2. 종이, 파피루스 : 손상되기 쉽고 이동 쉬움. Space - biased
커뮤니케이션 기술이 사회의 특정 제도와 관련되어 사회 발전의 경로 결정
# McLuhan
# Marx, McMurtry : 생산력,생산관계가 사회적 제도 법칙을 결정한다.(생산우위론)
기술을 하부구조로 인식
② Social Determinism (사회결정론)
# R.Williams : 어떤 사회에서 기술이 생산, 확산되는 것은 사회적 욕구,목적,실천이 이미
마음속에 내재되어 있기 때문이다. 단지 사람은 이를 조직화 해내는 감각
이 있다. ex. 군사 기술
# J.Beniger : control revolution 정보 테크놀로지의 발달은 초기 자본주의의 사회 통제
력 강화에서 나온다. 사회를 테크놀로지 차원에서 봄.
③ 복합 결정론
# J.Slack : 특정 기술이 사회질서를 창조하지 못한다. 그렇다고 사회가 기술을 결정한다
고 보기도 어렵다. 새로운 기술들은 종합,복합적 사회체제의 한 부분이며, 특
정 사회체제와의 관계를 살피는 것이 중요하다. 이는 서로 유기적 관계를 이
루기 때문이다. 그 속에서 어떻게 인류의 진보를 논의할 수 있는 것인가가
중요하다.
4) Issue 구축 : 노동문제에 있어서의 정보 테크놀로지 발전은 어떤 의미를 가지는가?
① Harry Braverman : 특정 노동현장에서 노동자에게 필요한 기술수준이 낮아지고 있다.
즉 de-skilling'되고 있는 것이다. 이로 인해 보다 값이 싸게 노
동력은 자본의 더 강력화된 통제력 하에 놓이게 된다.
생산영역에서의 conception / execution(구성과 집행)의 분리'라
는 문제가 발생한다. execution은 하부구조로서 전락하게 되고 노
동자의 힘이 약화되는 반면에 자본의 힘은 강화된다.
② Herbert Schiller : 정보사회가 진행될수록 사회조직 원리에서의 변화가 발생.
기존의 사회가 사회성 파괴를 무릅쓰고 기업의 사적 이익을 증대시
키는 것(정보부문에 있어서의 privatization)이 목적인 반면에, 정보
사회는 공동체 지향적인 기업 이윤추구를 하게 된다.
③ 정보 테크놀로지는 세계 열강들의 세계지배의 축으로 사용
제 3세계 민족주의 운동을 억압하고 감시하는 데에 사용되어서 자본축적의 원리를 실
현하는 데 도구가 되고 있다.
④ Arriaga : 지나친 정보부문 확산은 서비스산업의 증가(비생산부문의 비대화)를 야기한
다.
⑤ 기술부문에서의 경제적 종속
다.
인류의 역사는 Pre-industrial society에서 Industrial society로, 또 Post-
industrial society로 흘러 왔다.
# Pre-industrial society : 자연계를 인간이 약탈하는 방식. 수탈경제
# Industrial society : 기계기술'이 중심
지식이나 정보는 개인의 소유물이 아니고 사회의 소유물이다. 즉
한번 생산되면 사회성원 모두가 소비가 가능하다.
# Compunication : Computer + Communication
사회적 하부구조를 구축. 인간의 지식형태도 상품경제학'에서 정보
경제학'으로 이동. 여기서 지식 계급'의 확산이 이루어 진다. 서비스
산업의 확대. 작업형태 변화(여성인력의 자립). 사회구조가 수직적
(situses)이 된다. 이에 비해 산업시대에는 수평적 사회구조를 이루었
다.
Bolter : 어떤 사회를 정의하는, 그 시대의 문명을 대표하는 테크놀로지가 있다.
① 시계 : synchronizing'시킴
② 증기 : 산업혁명을 이끔. 수송,기계를 발전시켰다. 공업사회의 특징
③ 컴퓨터 : 과정'이 중심. 정보사회의 특징. 자본과 노동이 주요소가 아니다.
정보와 지식(소모가 되지 않는다)이 이를 대체.
정보의 역할이 핵심적 부분을 차지. 정보가치설' 주장.
2) 좌파사회학자들은 Bell의 가정(정보의 확산)은 인정하면서도, 정보는 사회적 조건과 시
스템에 의거하여 상품화(valorization)되고, 정부와 중앙에 의해 통제되기 때문에 그들이
말하는 장미빛 미래는 오지 않는다고 주장하였다.
* Ekecrantz. Robins and Webster. Orwell. 미셸 푸코.
정보는 결코 공동체 이익에 기여하지 않는다. 미래사회가 정보사회라는 것도 맞고 정보
의 복제능력은 인정하며 사회전체 정보량은 증가한다는 사실도 인정하지만, 사회적 요소
에 의해 누구나 접근할 수 있다는 사실은 부정한다. 이 때문에 정보의 분배문제가 발생
한다고 주장하였다. 즉 정보의 분배 불평등은 계급간의 차이를 발생시킨다고 보았다.
* Katzman : 정보사회에서 새로운 정보 gap의 재생산이 이루어 진다. 계급 불평등이 사라
지는 것이 아니라 형태가 바뀌는 것이다. 정보부문도 사회적 분업의 형태가 이루어 진다.
테크놀로지 = 유토피아'의 가정은 정보가 독립된 실체라고 보았기 때문이며 이는 잘못
된 것이다.
왜냐하면 정보도 사회 구성 요소의 하나이며, 특히 자본에 예속되기 때문이다. 즉 자본축
적 논리의 자기표현에 불과하다고 보았으며 본질에 있어 변화는 없다고 주장하였다.
합리적 사회 메카니즘의 토대로서의 정보의 존재를 인식하였으며, 정보상품화를 언급.
3) 정보는 사회변동의 원인인가 결과인가?
① Technological Determinism (기술 결정론) : 기술의 발달이 사회의 다른 부문의 발달
의 유도한다.
# Herold Innis (캐나다 경제적 종속 분석, 커뮤니케이션 연구) : 종교와 권력을 비교하여
시간과 공간에 편견된 문화를 구별
1. Time-biased Culture : 시간적 지속성 강조, 공동체적 가치 확산 기능을 한다.
탈집중적이고 약한 조직력을 갖고 있다.
2. Space-biased Culture : 공간에 집중, 현재에 집착하고 영토확장과 세속적 권력확장
에 집중
이런 미디어의 성격에 따라 다음과 같은 시간 공간형 문화가 성립되었다.
1. 돌, 진흙, 양피지 : 내구성 높고 이동 어려움. Time - biased
2. 종이, 파피루스 : 손상되기 쉽고 이동 쉬움. Space - biased
커뮤니케이션 기술이 사회의 특정 제도와 관련되어 사회 발전의 경로 결정
# McLuhan
# Marx, McMurtry : 생산력,생산관계가 사회적 제도 법칙을 결정한다.(생산우위론)
기술을 하부구조로 인식
② Social Determinism (사회결정론)
# R.Williams : 어떤 사회에서 기술이 생산, 확산되는 것은 사회적 욕구,목적,실천이 이미
마음속에 내재되어 있기 때문이다. 단지 사람은 이를 조직화 해내는 감각
이 있다. ex. 군사 기술
# J.Beniger : control revolution 정보 테크놀로지의 발달은 초기 자본주의의 사회 통제
력 강화에서 나온다. 사회를 테크놀로지 차원에서 봄.
③ 복합 결정론
# J.Slack : 특정 기술이 사회질서를 창조하지 못한다. 그렇다고 사회가 기술을 결정한다
고 보기도 어렵다. 새로운 기술들은 종합,복합적 사회체제의 한 부분이며, 특
정 사회체제와의 관계를 살피는 것이 중요하다. 이는 서로 유기적 관계를 이
루기 때문이다. 그 속에서 어떻게 인류의 진보를 논의할 수 있는 것인가가
중요하다.
4) Issue 구축 : 노동문제에 있어서의 정보 테크놀로지 발전은 어떤 의미를 가지는가?
① Harry Braverman : 특정 노동현장에서 노동자에게 필요한 기술수준이 낮아지고 있다.
즉 de-skilling'되고 있는 것이다. 이로 인해 보다 값이 싸게 노
동력은 자본의 더 강력화된 통제력 하에 놓이게 된다.
생산영역에서의 conception / execution(구성과 집행)의 분리'라
는 문제가 발생한다. execution은 하부구조로서 전락하게 되고 노
동자의 힘이 약화되는 반면에 자본의 힘은 강화된다.
② Herbert Schiller : 정보사회가 진행될수록 사회조직 원리에서의 변화가 발생.
기존의 사회가 사회성 파괴를 무릅쓰고 기업의 사적 이익을 증대시
키는 것(정보부문에 있어서의 privatization)이 목적인 반면에, 정보
사회는 공동체 지향적인 기업 이윤추구를 하게 된다.
③ 정보 테크놀로지는 세계 열강들의 세계지배의 축으로 사용
제 3세계 민족주의 운동을 억압하고 감시하는 데에 사용되어서 자본축적의 원리를 실
현하는 데 도구가 되고 있다.
④ Arriaga : 지나친 정보부문 확산은 서비스산업의 증가(비생산부문의 비대화)를 야기한
다.
⑤ 기술부문에서의 경제적 종속
추천자료
[사회과학] 정치와 언론
인터넷을 기반으로 한 멀티미디어와 언론
신문에 대한 이해와언 한국 언론의 문제점과 발전방향
[법과대중매체]명예훼손과 언론의 자유
온라인 저널리즘은 익명성으로 인해 대안언론으로써의 기능을 상실하고 있다는 전제로 익명성...
대구 지역축제의 커뮤니케이션적 성격과 지역언론의 올바른 역할
(정책학원론) 정책과정에서 언론기관의 역할
동아, 조선일보의 창간과 언론활동의 평가
자유주의의 이론적 특징 및 언론적 관점에서의 이론 고찰
[세상읽기와논술/2학년D형]우리나라 언론의 문제점을 자신이 경험한 구체적인 보도사례를 중...
김대중정부(국민의 정부) 언론개혁,경영개혁, 김대중정부(국민의 정부) 경제개혁(경제혁신),...
세계 한민족 네트워크,언론인 네트워크,과학기술 네트워크,인적 네트워크,교류현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