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과학] 정치와 언론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사회과학] 정치와 언론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머리말

Ⅱ. 언론, 민주주의, 그리고 한국정치
1. 언론의 감시견 역할의 문제
2. 언론의 권력기구화의 문제
3. 언론 민주화의 문제

Ⅲ. 김영삼 정부시기의 정치와 언론
1. 언론과 김영삼 정부의 탄생
2. 언론과 김영삼 정부의 개혁
3. 언론과 김현철 사건

Ⅳ. 맺는말: 김영삼 정부와 언론의 총체적 분석

본문내용

전망은 기술과 자본의 부익부 빈익빈 현상이 적게 일어나는 조건을 우선 갖추어야만 현실화 될 수 있다. 민주적인 정치문화와 제도를 아직 구비하지 못하면서 언론 또는 미디어의 발달으로만 한 사회의 정치발전을 이룩할 수 있다는 환상에서 벗어나야 한다.
한국 정치의 진정한 발전과 개혁은 언론개혁으로부터 시작되어야 한다. 입에 단 것은 삼키고 쓴 것은 뱉겠다는 '선택적 자율론'의 분쇄야말로 언론 개혁의 과제일 것이다. 또한 한국 언론계의 고질병인 '침묵의 카르텔'을 해체시켜야 한다(강준만 1994, 61). 결국 한국 언론이 권력과 자본으로부터 얼마나 자유롭고 독립적인 언론을 창출하고 언론자체도 개혁되느냐는 문제는 결국 언론수용자인 일반 국민의 몫이다. 자율적 개혁으로는 언론의 상업화와 선정주의화도 막을 수 없다. 언론의 수용자인 일반인들은 헌법에 보장된 언론의 자유가 명실상부한 국민의 기본권이 될 수 있도록 강력한 연대와 조직으로서 수용자 운동을 전개할 필요가 있다.
참고문헌
강기태. 1997. "독립된 방송규제 기구가 방송정책 관장해야." 『바른 언론』(8월 30일), 6.
강상현. 1997. "'하이에나 언론'을 다시 보고 있다." 『저널리즘비평』 (5월), 8-9.
강준만. 1994. "김영삼 정부와 언론의 역할." 『21세기 나라의 길』 (4월), 53-61.
권정숙. 1997. "방송법 바꿔야 자율 공정성 높아져." 『한겨레신문』 (9월 6일), 20.
김대중. 1993a. "김대중칼럼." 『조선일보』 (5월 16일), 5.
. 1993b. "김대중칼럼." 『조선일보』 (8월 22일), 5.
. 1993c. "김대중칼럼." 『조선일보』 (9월 5일), 5.
김민남. 1995. "한국언론의 권력기관화." 방정배 김민남 편. 『언론과 현대사회』, 81-94. 서울: 나남.
김정탁. 1995. "김영삼 언론 이데올로기." 『저널리즘비평』 (12월), 25-9.
김주언. 1994. "언론, 어떻게 개혁할 것인가." 『21세기 나라의 길』 (1월), 73-9.
남충희. 1997. "미디어세력 정치세력 유착 우려." 『바른 언론』 (9월 13일), 6.
박권상. 1997. "독선, 위선 그리고 대세론." 『저널리즘비평』 (5월), 2-3.
백병규. 1977. "권력과 언론유착: 김영삼 정권과 언론." 『저널리즘비평』 (5월), 6-7.
변용식. 1993. "태평로." 『조선일보』 (8월 20일), 5.
성해영 윤순희 편. 1995. 『정치학 요점』 서울: 고시계.
유석진. 1997. "정보화와 민주주의." 전자민주주의 연구원 제1회 세미나 논문집. 『정보화시대 한국의 정치과정: 정치커뮤니케이션, 여론형성과 인터네트』, 1-21.
윤석년. 1996. "한국방송 발달사." 방정배 편. 『현대 매스미디어 원론』, 181-95. 서울: 나남출판.
이숭녕. 1996. 『새국어대사전』. 서울: 한국도서출판중앙회.
이홍종. 1996. "언론과 외교정책." 민만식 외. 『현대 미국정치의 쟁점과 과제』, 245-64. 서울: 전예원.
이효성. 1994. "언론 개혁을 위한 제도적 과제." 『21세기 나라의 길』 (1월), 62-72.
. 1996. 『한국언론의 좌표』. 서울: 커뮤니케이션북스.
(저자미상) 1993. "정부와 언론." 『조선일보』 (4월 7일), 3.
(저자미상) 1993. "정치개혁과 신문." 『동아일보』 (4월 7일), 3.
(저자미상) 1993. "권언유착의 새로운 가능성." 『한겨레신문』 (4월 9일), 2.
(저자미상) 1993. "언론의 자율과 김영삼 정권." 『한겨레신문』 (4월 30일), 2.
(저자미상) 1993. "「실명제 불경기」 장기화 조짐." 『조선일보』 (8월 17일), 1.
(저자미상) 1993. "만물상." 『조선일보』 (8월 18일), 1.
(저자미상) 1994. "방송사 재허가와 정부의 자세." 『한겨레신문』 (2월 19일), 3.
(저자미상) 1994. "권력과 언론/20억 송사와 '죽음의 단식'을 생각한다." 『한겨레신문』 (5월 5일), 1.
(저자미상) 1996. "국제사회에 비친 한국 언론." 『한겨레신문』 (3월 9일), 3.
(저자미상) 1997. "언론의 정도와 사회적 책임." 『세계일보』 (2월 1일), 2.
진성호. 1997. "선거방송 역기능 심각." 『조선일보』 (9월 10일), 42.
최성민. 1997. "다시 고개 드는 신한국 편들기." 『한겨레신문』 (9월 10일), 21.
최장집. 1994. "민주개혁과 언론." 『21세기 나라의 길』 (1월), 44-52.
홍사중. 1993. "홍사중 칼럼." 『조선일보』 (8월 18일), 5.
Bogart, L. 1995. Commercial Culture: The Media System and the Public Interest. New York: Oxford University Press.
Kraus, Sidney and Davis, Dennis. 1976. The Effects of Mass Communication on Political Behavior. University Park, Pa.: The Pennsylvania State University Press.
Laudon, Kenneth C. 1997. Communications, Technology and Democratic Participation. New York: Praeger.
Orren, Gary R. 1986. "Thinking about the Press and Government." Martin Linsky. Impact: How the Press Affects Federal Policamaking, 1-20. New York: W. W. Norton & Company.
Rivers, William L. 1982. The Other Government: Power & the Washington Media. New York: Universe Books.
Seymour-Ure, Colin. 1974. The Political Impact of Mass Media. Beverly Hills: Sage.

키워드

사회,   과학,   정치,   언론,   김영삼
  • 가격2,000
  • 페이지수11페이지
  • 등록일2003.10.22
  • 저작시기2003.10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226885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