댄스스포츠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32
  • 33
  • 34
  • 35
  • 36
  • 37
  • 38
  • 39
  • 40
  • 41
  • 42
  • 43
  • 44
  • 45
  • 46
해당 자료는 10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0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Ⅰ.댄스 스포츠의 정의 ···· 1
1. 춤의 유래 ···· 2
2. 사회 문화적 효과 ···· 2
3. 댄스 스포츠의 운동효과 ···· 2
4. 국제 경기의 규정 종목 ···· 2

Ⅱ. 댄스 스포츠의 역사 ···· 3
1. 한국 댄스 스포츠의 역사 ···· 3
2. 댄스 스포츠의 현 위치 ···· 4

Ⅲ. 댄스 스포츠의 특성 ···· 5
1. 스포츠적 특성 ···· 5
2. 예술적 특성 ···· 5
3. 운동 생리학적 특성 ···· 6
4. 레크레이션적 특성 ···· 6

Ⅳ. 댄스 스포츠의 상식 ···· 7
1. 댄스 스포츠 예절 ···· 7
2. 댄스 스포츠 의상 ···· 9
3. 댄스 스포츠 음악 ···· 11

Ⅴ. 댄스의 기초 지식 ···· 12
1. 기본자세(Poise) ···· 12
2. 홀드(Hold) ···· 12
3. 춤의 진행방향(L.O.D) ··· 13
4. 신체의 방향과 스텝의 위치 ···· 14
5. 스텝의 방향 ···· 14
6. 후트 워크(Footwork) ···· 14
7. 회전량(Amount of turn) ···· 14
8. 라이즈와 폴(Rise and Fall) ···· 15
9. 스웨이(Sway) ···· 15
10. 아말가메이션(Amalgamation) ···· 16
11. 반동운동(C.B.M) ···· 16
12. 리드와 폴로우(Lead and Follow) ···· 16

Ⅵ. 기초 스텝의 연습 ···· 17
1. 워크 (Walk) ···· 17
2. 스퀘어 (Square) ···· 17
3. 샷세 (Chasse) ···· 18

Ⅶ. 댄스 스포츠의 종류 ····19
1. 모던 볼륨 댄스 ···· 19
1) 모던댄스의 발달과정 ···· 19
2) 왈츠 ···· 20
3) 탱고 ···· 22
4) 퀵스텝 ···· 24
5) 비엔나 왈츠 ···· 26
6) 폭스트로트 ···· 27
2. 라틴 아메리카 댄스 ···· 29
1) 라틴댄스의 발달과정 ···· 29
2) 자이브 ···· 30
3) 룸바 ···· 31
4) 파소도블레 ···· 34
5) 쌈바 ···· 35
6) 차차차 ···· 37

Ⅷ. 댄스 스포츠가 나아가야 할 방향····38
참고문헌 ···· 41
부 록 ···· 42

본문내용

지하고 있는 발을 축으로 회전을 행하는 것이다. 피봇에서는 보통 1/2내지 그 이하의 회전을 행하고 거의 연속해서 회전하는 것은 없다. 만약 연속하는 것이 있으면 체중의 지지발, 즉 회전축이 되는 발은 한번 회전할 때 마다 바뀌는 것이다.
·포인팅(pointing)
상체의 방향과 일치하지 않은 방향으로 발을 향하는 경우에 Alignment를 나타낼 때 이용하는 언어이다.
·포지션 오브 후트(position of foot)
한방향의 발에 대해서 다른방향의 발의 위치. “오른발 전진” 이든가 “왼쪽 옆으로” 써서 나타내고 있지만 경우에 따라서는 “외측”으로, “P.P”로, “C.B.M.P”로, “F.A”로 등이 부가되는 것이다.
·풀 스텝(pull step)
이 동작은 일종의 힐턴이다. 힐턴과의 차이는 한쪽발의 뒤꿈치로 회전을 행할 때 한쪽발을 더 천천히 끌어오고 거의 회전이 완료한 쯤에 옆으로 약간 떨어뜨려 놓고, 거기에서 체중을 옮겨 체중을 지지하여 회전한 발이 다음 스텝으로 들어가는 것이다. 항상 이 회전은 뒤꿈치로 회전을 하는 것이지만, 강하게 3/8이상 회전을 하는 경우는 볼로 회전한 후에 뒤꿈치에 체중을 옮겨 계속한다.
·프롬나드 포지션(promenade position)
약어로 P.P라고 부르며, 남성의 상체의 우측과 여성의 좌측을 접촉, 또는 남성의 왼쪽어깨나 허리와 여성의 오른쪽어깨나 허리쪽이 떨어져 V자형으로 열린상태이다. 남성은 왼쪽, 여성은 오른쪽에 위치해 서로 바깥쪽의 어깨를 45。로 모은후 시선은 L.O.D를 향한 자세.
·리버스 턴(reverse turn)
왼쪽으로 방향을 전환하는 것을 일컫는다.
·라이즈와 폴(rise & fall)
발과 다리와 몸통을 통해서 행하여지는 신체의 상승과 하강. 즉 춤을 출 때에 상체가 올라가고 내려가는 동작을 일컫는다. 올라가고 내려감에 따라서 동작의 연결이 부드럽게 되도록 하여야 우아함이 더욱 돋보인다.
·루틴(routine)
데몬스트레이션, 경기회 등 특정의 목적을 위해 수종의 휘겨나 베리에이션으로 짜 맞추는 것.
·쇼울더 리드(shoulder lead)
오른쪽어깨 리드와 왼쪽어깨 리드로 한다. 스텝하는 발과 같은쪽의 어깨를 선행시켜 스텝하는 것.
·스핀(spin)
보통 회전하는 것을 일컫는 것으로서 Pivot과 Step으로 회전하는 것을 말한다. 피봇이 완료된 후 체중을 지지하고 있는 발의 볼로 먼저 회전을 계속하는 것이 좋다.
·스핀 턴(spin turn)
스핀을 이용하여 방향을 전환하는 것으로서 주로 남자의 전진스텝에서 시작된다. 2보를 가지고 전회전 또는 그 이하의 회전을 행하는 동작이다. 스핀은 보통 휘겨의 일부로 사용되어지는 일이 많지만, 만약 이것을 단독으로 행할 때는 오른발을 뒤꿈치 로 전진, 다음에 볼로 체중을 옮겨 회전을 행하고, 그때 왼발은 시계추처럼 외측을 회전해서 옆으로 딛고, 계속해서 그발의 볼 내지 오른발 뒤꿈치로 동시에 회전을 계속, 마지막에 양발이 교차한 상태가 되었을 때, 뒤꿈치로 회전한 오른발을 전방으로 바꾸어 딛고 다시 왼발에 의해서 외측으로 시계추처럼 회전이 되풀이 되는 것이다. 여자는 남자가 시계추처럼 회전을 행할 때 양발을 바꾸어서 회전하고, 계속해서 남자 가 양발을 교차하면서 회전할 때 여자가 시계추처럼 다른발을 외측으로 스윙해서 회전을 행하는 것이다.
·스타카토(staccato)
음과 음을 계속해서 연주한다. 짧게 분명하게 잘라서 연주하는 것이다. 탱고를 연주할 때 많이 쓰인다.
·스텝(step)
스텝이란 발 하나의 움직임이지만 댄스에서는 전·후·좌·우의 어떤쪽의 방향으로 1보 딛는 것을 스텝이라 칭한다. 단 2보 이상의 스텝에서 할 수 있는 휘겨도 간단하게 스텝이라 불리어 지고 있다.
·리듬스텝(step of rhythm)
댄스에 있어서 Slow(S), Quick(Q), 또는 1.2.3 라는 것은 4박자의 음악에서는 2박자를 S의 시간으로 치고, 각 1박자를 Q의 시간으로 친다. 1.2.3 은 3박자 음악, 즉 왈츠의 리듬이다.
·스윙(swing)
브랑고가 움직일 때와 같이 조용히 움직이기 시작. 다음 제2가속도를 증가해 자연스럽게 움직이는 상태 를 말한다. 상체 또는 다리를 스윙한다는 의미는 움직이는 것이다.
·스위블(swivel)
체중을 지탱하고 있는 쪽의 한쪽발로 회전하는 것.
·신코페이션(syncopation)
음악에 있어서는 강박의 위치를 변하게 하기도 하고, 댄스의 스텝 위에서는 “S.Q.Q”을 “S.Q.S”와 위치를 바꾸기도 하고 “1.2.3”을 “1.2.&.3”로 하는 등 정상적인 리듬을 변화시키는 경우를 말한다.
·스웨이(sway)
무도중 전신을 일직선으로 하고 오른쪽 또는 왼쪽으로 약간 경사지게 하는 것을 말하며 일명 보디 스웨이라고 한다.
·템포(tempo)
음악이 연주되는 속도로 매 1분시에 있는 소절수를 가지고 표시한다.
·타임(time)
음악의 1소절 내에는 박자수 2/4, 3/4, 4/4로 표시한다.
·토 피봇(toe pivot)
양발을 대고 회전하지만 한쪽발의 볼만으로 회전하며, 체중을 회전하는 발에다 둔 다음 맞대고 있는 발에 체중을 옮기지 않도록 하는 회전방법이다. 더블 리버스 스핀에서 남자의 제2 제3보가 이것이다.
·트위스트(twist)
양발을 교대로 비틀듯하는 동작으로 비교적 예리하게 회전하는 것이 있고, 탱고의 내추럴 트위스트 턴(natural twist turn)과 같이 양발을 같은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경우와 쿠반 룸바의 힙 트위스트(hip twist) 등에 쓰이는 허리를 꼬는 방법이 있다.
·업(up)
rise의 가장 높은 정점을 뜻한다. 즉 양발을 펴고 상체를 끌어올리고 발의 뒤꿈치 를 바닥에서 떼어 위로 세우는 동작이다. 폭스 트롯과 퀵 스텝에 많이 사용된다.
·베리에이션(variation)
베이식 휘겨보다 더욱 변화를 준 기술적으로 높은 정도의 휘겨이다.
·워킹(walking)
앞으로 직진을 하여 나아가거나 뒤로 후진을 하여 나아가는 가장 간단한 댄스의 진행방법으로 Slow. Slow. Quick. Quick.(S.S.Q.Q)으로 스텝하는 것을 의미한다.
  • 가격3,300
  • 페이지수46페이지
  • 등록일2002.10.15
  • 저작시기2002.10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206605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