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육심리 인지적 학습에의 접근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Ⅰ. 서론


Ⅱ.본론

(1) piaget의 인지발달이론

1) 개념
2) 단계

(2) 인지론

(3) 창의성의 개념

(4) 교육으로 접근

(1) 놀이를 통한 학습

1) 생각 놀이
2) 동작 놀이
3) 감각 놀이

(2) 창조성 교육을 위한 부모와 교사의 역할

1) 부모의 역할
2) 창의력을 촉진시키는 교사의 역할

Ⅲ. 결론


⊙ 참고 문헌

본문내용

긍정적인 자아개념을 형성할 수 있다.
넷째, 생활의 여러 요소와 재료를 탐색하고 느껴 볼 수 있다.
(2) 창조성 교육을 위한 부모와 교사의 역할
1) 부모의 역할
태아가 태어나서 3년의 교육은 일생동안의 습관과 생각능력과 방향 등 고립이나 성격이 완성되는 시기이다. 어떠한 교육환경 생활환경에서 부모의 어떠한 교육을 받았는가에 따라서 일생을 결정짓는다. 3살 버릇이 80살까지 간다는 속담과 같이 0세에서 3세 사이의 습관이나 버릇, 생각, 고집, 판단력은 평생의 습관 버릇, 판단력등 정신력을 지배하게 되는 결정적 요인을 교육한다. 이야기하는 방법, 행동과 습관, 듣는 자세, 옷 입고 정리하기 등 모든 것들을 보고 들은 대로 실천한다. 창조성 교육을 위하여 부모가 먼저 보여 주고 들여 주는 제시교육을 한다. 유아에게 흥미롭고 재미있는 놀이나 연극, 동화, 동요 등을 보여주고 들려주어 호기심과 의구심을 자극하여 각자의 잠재된 능력을 개발한다.
유아 언어교육 - 창조적 이야기 들려주기, 단어 잇기, 단어 바꾸기, 이야기듣기, 언어표현(말하기)
유아 행동교육 - 행동 표현하기, 솔직한 행동, 바른 자세 익히기, 인사하기 예의와 예절 익히기
유아 형태교육 - 옷 깨끗이 입기, 정리정돈하기 제자리 놓기, 물건 아끼기., 환경 익히기, 감각 익히기
유아 리듬교육 - 노래하기, 음악 듣기, 연주 학기, 악보 보기, 감각 익히기, 감정표현
유아 색상교육 - 색 구별하기, 색칠하기, 색 혼합하기, 감각 익히기
유아 동기유발 - 그림 찾기, 책 찾기, 단어 찾기, 물건 찾기. 듣고 말하기, 보고 집기, 던지기, 받기
유아 정보관리 - 같은 것끼리 정리정돈하기, 맞추기, 꾸미기, 구별하기, 비교하기
2) 창의력을 촉진시키는 교사의 역할
지금까지 많은 교사들이 창의적인 학생들을 수업의 방해꾼으로 생각하여 그들을 억제하거나 거부하는 것에 대하여 설명하였다. 그러나 창의적인 학생들을 인정 할 뿐만 아니라 그들의 생각을 지지하는 교사들도 있다. 이러한 교사를 창의력을 촉진시키는 교사라 지칭한다.
창의적인 학생들은 기존의 마찰 없이 잘 진행되는 수업에 대한 방해의 원천이 될 수 있다. 그들은 세상을 교사와는 다른 측면에서 보고자하며, 어떤 목표가 가치 있고 지향해야 하는지에 대한 설교를 하고 어떤 면에서 교사보다 더 신속하기 때문에 교사들을 혼란스럽게 할 수도 있다.
창의력보다 권위를 선호하는 교사에게는 창의적인 태도가 자주 반항적으로 보이기에 창의적인 사고 표현을 전혀 틀리게 이해할 수도 있으나 교사가 이 두 가지 태도를 구분할 수 있다 하더라도 창의적인 학생의 태도는 수업을 방해할 수 있다.
· 수업에서 방해가 되는 요소들 (수업에 있어서 비창의적인 요소들)
① 정확한 것에 대한 일방적인 강조
② 외적인 평가
③ 교사의 조급함
④ 적응에 대한 압력
⑤ 노동과 놀이의 엄격한 구분
·수업이 제공해야 하는 것
사고력을 기르는 수업은 학생들로 하여금 주어진 문제에 대한 여러 가지 해결 방안을 인식하고 새로운 것을 찾을 수 있도록 인도해야 한다. 수업은 교사와 교과서 위주의 권위주의를 타도해야 한다. 교사는 새롭고 지금까지 알려지지 않은 요소를 수업계획에 짜야 하며 스스로 혹은 교과서에 제시되어 있지 않은 아이디어들을 떠올려야 한다. 수업목표는 학생들에게 지식은 만들어지는 것이라는 느낌을 전달해 주어야 한다. 즉 그들을 창조적이고 지식에 대하여 유연하게 만들어야 한다는 것이다.
이에 따라 원칙적으로 교사의 임무는 학생이 권위주의를 넘어설 수 있는 준비성을 일깨워 주는데 있고 가장 바람직한 것은 학생이 학교학습에 있어서 새로운 문제를 발견하고 또 놀이를 할 때와 같은 풍부한 생각을 학교 수업에도 적용시킬 수 있는 능력과 준비성을 갖게 하는 것이다.
·교사가 창의력 촉진을 위해 실질적으로 적용할 수 있는 제안
① 창의적 사고를 중요시 여겨라.
② 사물과 생각을 실험할 수 있도록 격려해라.
③ 새로운 생각에 대하여 관대하게 대하여라.
④ 학생들에게 틀에 맞춘 생각을 요구하지 말아라.
⑤ 자신들의 창의적인 사고를 중요시 여기도록 가르쳐라.
⑥ 학습을 스스로 할 수 있도록 격려하라.
⑦ 자신의 생각을 완성할 수 있는 여건을 만들어 주어라.
⑧ 건설적인 비판을 하여라.
⑨ 여러 분야에서 지식을 획득할 수 있도록 격려하여라.
⑩ 스스로 모험에 대하여 열린 생각을 가져라.
Ⅲ. 결론
학습의 고유성 즉 성장기에 있는 아동들의 학습기능에 있어 배움은 개개인에 따라 다르고, 연령과 환경, 지적, 사회적, 정신적 성장에 따라 다르다고 보고 학생들의 연령과 학습능력에 맞게 교육을 시키면 학생들의 지적활동은 활발하게 발달할 수 있으며 직접참여 함으로써 더욱 개발되어 진다고 보았다.
가장 중요한 생후 3년 동안의 경험은 아동의 개성과 재능, 그리고 일생을 좌우한다. 아이들 스스로 선택하고, 경험하며, 표현할 수 있는 교육활동으로 아이들 내면에 숨어있는 무한한 가능성을 개발하고 표현할 수 있도록 돕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교사는 아이들의 재능을 맘껏 놀게 하면서 키워줄 수 있는 환경과 프로그램을 위해 언제나 노력하고, 아이들의 발달단계에 맞는 창의적이고 과학적인 프로그램을 제공해야 한다.
창의성 교육은 제시적인 교육이다. 암기식이나 주입식에서는 하나의 문제와 문제 답을 암기하거나 주입하는 교육으로 활용이나 응용이라는 단어를 상상적으로 생각하는 단계로 끝나지만 개방적이고 열린교육의 창의적 교육은 하나의 문제나 하나의 답을 찾는 것이 아니라 각자의 소질과 능력에 맞는 문제와 문제해결 방식으로 깨닫는 교육을 통하여 주어진 조건이나 환경 속에서 무엇을 어떻게 해결할 것인가를 이해하는데 있다.
⊙ 참고 문헌
교육심리학의 최근 동향-인지와 교육- / 노희관외 3명 / 교육과학사 /1998
창의력이 아이의 인생을 좌우한다 / 송순 번역 / 창담문화사 / 1997
교육과 창의성 / 김선 번역 / 집문당 / 1995
인지심리학 / 이정모 / 형성사 /2001
발달심리의 연구법 / 조복희 번역 / 교육과학사 /1990
http://sam.snut.ac.kr/∼jinpower

키워드

  • 가격1,300
  • 페이지수10페이지
  • 등록일2002.10.15
  • 저작시기2002.10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206627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