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서 론
Ⅱ 본 론
1. 사역과 본문 비평을 통한 본문 접근.
2. 본문에 대한 분석
3. 각 절에 대한 주석적 고찰 : 어휘와 어구에 대한 간단한 해설
4. 본문에 대한 해석학적 고찰
5. 설교를 만든다면?
Ⅲ 결 론.
Ⅱ 본 론
1. 사역과 본문 비평을 통한 본문 접근.
2. 본문에 대한 분석
3. 각 절에 대한 주석적 고찰 : 어휘와 어구에 대한 간단한 해설
4. 본문에 대한 해석학적 고찰
5. 설교를 만든다면?
Ⅲ 결 론.
본문내용
다. 어둠이 빛을 이겨본 적이 없다(요 1,9). 예수님은 세상의 빛이시다. 이 빛에서만 사람은 선한 일과 하나님께로 가는 길을 발견할 수 있다.
) Ibid.
5. 설교를 만든다면?
1) 명제는? : "예수님은 우리의 구주(빛)이시다."
2) 주제는? : 많은 사람들이 메시야 기다렸지만, 예수 그리스도를 메시야로 알아보지 못했다. 그중 경건한 몇몇 의인들은 약속을 기다렸으니, 시므온이 그러한 사람이다. 시므온은 아기 예수 속에서 '하나님의 구원'을 보았다. 우리도 삶의 기쁘고 힘든 상황들 속에서 우리의 빛이 되시고 구원의 주님 되시는 예수를 바라보자.(믿음)
3) 짜임새는?
(1) 서론 :
-"우리의 구주는 누구십니까?": 정말로 자신의 삶에 예수님이 주인이지 실존적 질문을 던짐.
- 본문 접근 :시므온이 그의 평생을 메시야를 기다리며 사는 모습을 묘사하며 구약으로부터 예수 시대까지 유대인들의 메시야 대망을 설명함.
- 주제 부상 :그렇게 메시야만을 기다려 온 시므온이 한 아기를 보았을 때, 어떻게 실망하지 않을 수 있었을까? 그가 그 아기 속에서 무엇을 보았기에 평생 그것을 기다리며 죽지 않고 기다렸을까?
(2) 본문
- "주님이 우리의 구원(빛)"라는 의미가 무엇일까요? - '구주'의 정의
- 왜 주님이 우리의 구원(빛)일까요? - '빛'의 필요성.
- 주님은 어떻게 우리의 구원(빛)이 되실까요?
- 우리는 어떻게 주님과 함께 그 빛 가운데 거할 수 있을까요?
- 하나님의 구원(빛)가운데 거하면 어떻게 될까요?
(3) 결론
Ⅲ 결 론.
지금까지 누가복음 2,22-35의 문학적 형태, 역사적 배경 등을 중심으로 연구하면서 마태복음과의 기술의 다른점, 그렇게 다른, 누가복음의 신학적 이유들을 기술했다. 또한 누가복음 2,22-35에서 의문시 되는 점들을 하나씩 살펴보며 주석하고, 본문에서 나타난 '구원'-'빛'의 개념을 좀 더 깊이 살펴보았다.
누가복음 2,22-35은 누가가 예수님에 관하여 차례대로 써 가는 글(누가복음)중 전반부에 해당되는 부분으로 세례요한의 탄생, 예수님의 탄생 뒤에 나오는 예수님의 어린시절에 관한 기록이다. 예수님의 탄생과 어린 시절에 관한 기록은 예수님의 역사성을 증명하는 좋은 자료들이 된다. 누가는 본문을 통해서 하나님의 아들 되신 예수께서 죄악된 인간의 몸을 입으시고, 죄도 없으시면서 정결례를 하는 인간의 율법을 철저히 순종하는 율법 아래 계셨음을 보여준다. 그리고 시므온의 등장으로 평범한 인간 같지만, 평범하지 않은 하나님의 아들 예수를 발견케 해 준다. 시므온은 많은 사람들이 메시야를 기다리기를 더 이상 포기하고 싶어하는 힘들어하는 상황에서도 메시야를 보게 되리라는 하나님의 약속만을 믿으며 소망하며 의롭고 경건하게 살아왔고, 성령의 감동하심 가운데 있었다. 시므온은 구약을 대표하는 의인으로 시므온과 아기 예수와 만남은 구약의 약속들과 율법과 예수님과의 만남을 의미하기도 하는 것이다. 또한 본 글에서는 시므온이 아기 예수 속에서 본 "구원"의 의미들 "이방인의 빛"이요, "이스라엘의 영광"이 무엇인지 살펴보았다.
개인적으로 '성서학'을 가장 좋아하며, 깊이 공부하고 싶었는데, 결혼 등 여러 가지 사정으로 더 깊이 있게 연구하지 못한 것이 아쉽다. 비평과 주석 부분에 많이 관심을 기울이며 연구하다 보니, 해석학적 연구 부분이 미비하게 보인다. 연구하는 중에 완전하신 의인이시면서 인간들이 지키는 율법에 철저히 순종하시는 그리스도의 겸손과 온 삶을 주인 되신 하나님의 약속만을 믿으며 그리스도를 대망하며 의롭고 경건하게 성령의 감화하심 가운데 있는 시므온을 만날 수 있어서 무엇보다 기뻤다.★★
참고 도서 목록
1. 석의에 필요한 책
1) 문법책 :
박창완, 신약성서 희랍어 교본, 서울:대한 기독교 서회, 1997.
2) 사전
고영민, 신약성서 헬라어 사전, 서울:기독 교문사, 1987.
기독교 대백과 사전, 서울:기독교문사, 1980.
아가페 성경사전, 서울:아가페 출판사, 1991.
3) 신약 개론, 석의 방법론, 중간사를 위한 서적
박수암, 신약연구개론, 서울:장로회 신학대학교 출판부, 1998.
성종현, 신약 총론, 서울:장로회 신학대학교 출판부, 1994.
박창건, 신약성서 주석 방법론, 서울:목양서원 아카데미아, 1991.
김철손 외, 신약성서개론, 서울:대한 기독교 서회, 1972.
E. Lohse, 박창건 역, 신약성서 배경사, 서울:목양서원, 1991.
2. 석의 본문에 대한 학문적인 주석/전통적인 주석 각기 세 권 이상
I.Howard Marshall, 국제성서 주석, 서울:한국 신학 연구소, 1983.
메튜 헨리, 누가복음(상), 서울:기독 교문사, 1976(초판) .1987.(8판)
죤 칼빈, 죤 칼빈 성경주석 출판 위원회 역, 칼빈 성경 주석, 한국:성서 교재 간행사, 1995.
김득중, 대한 기독교 서회 창립 100주년 기념 성서 주석 - 누가복음, 1993.
박윤선, 신약주석 공관복음(상), 서울:영음사, 1990.
이상근, 신약주해 누가복음, 서울:총회교육부, 1997.
홍성철, 이강천, 풀핏 성경 주석 누가복음, 대구:보문출판사, 1980.
Joseph a Fitzmyer, S.J. ,The Anchor Bible Luke, USA:The Anchor Bible doubleday, 1985.
R.C.H.lenski, The Interpretation of St.Luke's Gospel, USA:Augusburg publishing house,
1946.
John Nolland, WBC 35A, Word books, Publisher Dallas, Texas, 1993.
3. 석의 본문에 관련된 서적과 논문
김득중, 누가의 신학, 서울:컨콜디아사, 1991.
채 위, 누가복음(선교 70주년 기념 성서주석), 서울:대한 기독교 서회, 1980.
미카엘 윌콕, 김남수 역, 누가복음, 서울:두란노 서원, 1987.
황종구, 누가복음 1∼2장 찬가연구, 석사학위논문, 장로회신학대학교 대학원, 1994.
임학중, 유아설화(눅 1:5∼2:52)의 신학과 누가 신학의 통일성에 관한 연구, 1994.
) Ibid.
5. 설교를 만든다면?
1) 명제는? : "예수님은 우리의 구주(빛)이시다."
2) 주제는? : 많은 사람들이 메시야 기다렸지만, 예수 그리스도를 메시야로 알아보지 못했다. 그중 경건한 몇몇 의인들은 약속을 기다렸으니, 시므온이 그러한 사람이다. 시므온은 아기 예수 속에서 '하나님의 구원'을 보았다. 우리도 삶의 기쁘고 힘든 상황들 속에서 우리의 빛이 되시고 구원의 주님 되시는 예수를 바라보자.(믿음)
3) 짜임새는?
(1) 서론 :
-"우리의 구주는 누구십니까?": 정말로 자신의 삶에 예수님이 주인이지 실존적 질문을 던짐.
- 본문 접근 :시므온이 그의 평생을 메시야를 기다리며 사는 모습을 묘사하며 구약으로부터 예수 시대까지 유대인들의 메시야 대망을 설명함.
- 주제 부상 :그렇게 메시야만을 기다려 온 시므온이 한 아기를 보았을 때, 어떻게 실망하지 않을 수 있었을까? 그가 그 아기 속에서 무엇을 보았기에 평생 그것을 기다리며 죽지 않고 기다렸을까?
(2) 본문
- "주님이 우리의 구원(빛)"라는 의미가 무엇일까요? - '구주'의 정의
- 왜 주님이 우리의 구원(빛)일까요? - '빛'의 필요성.
- 주님은 어떻게 우리의 구원(빛)이 되실까요?
- 우리는 어떻게 주님과 함께 그 빛 가운데 거할 수 있을까요?
- 하나님의 구원(빛)가운데 거하면 어떻게 될까요?
(3) 결론
Ⅲ 결 론.
지금까지 누가복음 2,22-35의 문학적 형태, 역사적 배경 등을 중심으로 연구하면서 마태복음과의 기술의 다른점, 그렇게 다른, 누가복음의 신학적 이유들을 기술했다. 또한 누가복음 2,22-35에서 의문시 되는 점들을 하나씩 살펴보며 주석하고, 본문에서 나타난 '구원'-'빛'의 개념을 좀 더 깊이 살펴보았다.
누가복음 2,22-35은 누가가 예수님에 관하여 차례대로 써 가는 글(누가복음)중 전반부에 해당되는 부분으로 세례요한의 탄생, 예수님의 탄생 뒤에 나오는 예수님의 어린시절에 관한 기록이다. 예수님의 탄생과 어린 시절에 관한 기록은 예수님의 역사성을 증명하는 좋은 자료들이 된다. 누가는 본문을 통해서 하나님의 아들 되신 예수께서 죄악된 인간의 몸을 입으시고, 죄도 없으시면서 정결례를 하는 인간의 율법을 철저히 순종하는 율법 아래 계셨음을 보여준다. 그리고 시므온의 등장으로 평범한 인간 같지만, 평범하지 않은 하나님의 아들 예수를 발견케 해 준다. 시므온은 많은 사람들이 메시야를 기다리기를 더 이상 포기하고 싶어하는 힘들어하는 상황에서도 메시야를 보게 되리라는 하나님의 약속만을 믿으며 소망하며 의롭고 경건하게 살아왔고, 성령의 감동하심 가운데 있었다. 시므온은 구약을 대표하는 의인으로 시므온과 아기 예수와 만남은 구약의 약속들과 율법과 예수님과의 만남을 의미하기도 하는 것이다. 또한 본 글에서는 시므온이 아기 예수 속에서 본 "구원"의 의미들 "이방인의 빛"이요, "이스라엘의 영광"이 무엇인지 살펴보았다.
개인적으로 '성서학'을 가장 좋아하며, 깊이 공부하고 싶었는데, 결혼 등 여러 가지 사정으로 더 깊이 있게 연구하지 못한 것이 아쉽다. 비평과 주석 부분에 많이 관심을 기울이며 연구하다 보니, 해석학적 연구 부분이 미비하게 보인다. 연구하는 중에 완전하신 의인이시면서 인간들이 지키는 율법에 철저히 순종하시는 그리스도의 겸손과 온 삶을 주인 되신 하나님의 약속만을 믿으며 그리스도를 대망하며 의롭고 경건하게 성령의 감화하심 가운데 있는 시므온을 만날 수 있어서 무엇보다 기뻤다.★★
참고 도서 목록
1. 석의에 필요한 책
1) 문법책 :
박창완, 신약성서 희랍어 교본, 서울:대한 기독교 서회, 1997.
2) 사전
고영민, 신약성서 헬라어 사전, 서울:기독 교문사, 1987.
기독교 대백과 사전, 서울:기독교문사, 1980.
아가페 성경사전, 서울:아가페 출판사, 1991.
3) 신약 개론, 석의 방법론, 중간사를 위한 서적
박수암, 신약연구개론, 서울:장로회 신학대학교 출판부, 1998.
성종현, 신약 총론, 서울:장로회 신학대학교 출판부, 1994.
박창건, 신약성서 주석 방법론, 서울:목양서원 아카데미아, 1991.
김철손 외, 신약성서개론, 서울:대한 기독교 서회, 1972.
E. Lohse, 박창건 역, 신약성서 배경사, 서울:목양서원, 1991.
2. 석의 본문에 대한 학문적인 주석/전통적인 주석 각기 세 권 이상
I.Howard Marshall, 국제성서 주석, 서울:한국 신학 연구소, 1983.
메튜 헨리, 누가복음(상), 서울:기독 교문사, 1976(초판) .1987.(8판)
죤 칼빈, 죤 칼빈 성경주석 출판 위원회 역, 칼빈 성경 주석, 한국:성서 교재 간행사, 1995.
김득중, 대한 기독교 서회 창립 100주년 기념 성서 주석 - 누가복음, 1993.
박윤선, 신약주석 공관복음(상), 서울:영음사, 1990.
이상근, 신약주해 누가복음, 서울:총회교육부, 1997.
홍성철, 이강천, 풀핏 성경 주석 누가복음, 대구:보문출판사, 1980.
Joseph a Fitzmyer, S.J. ,The Anchor Bible Luke, USA:The Anchor Bible doubleday, 1985.
R.C.H.lenski, The Interpretation of St.Luke's Gospel, USA:Augusburg publishing house,
1946.
John Nolland, WBC 35A, Word books, Publisher Dallas, Texas, 1993.
3. 석의 본문에 관련된 서적과 논문
김득중, 누가의 신학, 서울:컨콜디아사, 1991.
채 위, 누가복음(선교 70주년 기념 성서주석), 서울:대한 기독교 서회, 1980.
미카엘 윌콕, 김남수 역, 누가복음, 서울:두란노 서원, 1987.
황종구, 누가복음 1∼2장 찬가연구, 석사학위논문, 장로회신학대학교 대학원, 1994.
임학중, 유아설화(눅 1:5∼2:52)의 신학과 누가 신학의 통일성에 관한 연구, 199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