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주요 내용의 요약 비교
2. 유사점과 차이점 비교
3. 모압비문의 역사적 의의
2. 유사점과 차이점 비교
3. 모압비문의 역사적 의의
본문내용
놀란 것은 사실이다. 솔직한 마음은 아직까지 고대근동 문학 속에 나타나는 종교적인 사상이나 모습과 이스라엘의 그것 사이에 나타나는 질적 차이에 대해서 확신하기에는 아직 부족하다는 생각이며, 또 한편으로는 어렴풋이나마 그 차이에 대해서 떠올려지기도 하지만 어쨌든 지금의 나로서는 신앙고백적 차원에서 양자를 구본하고 있는 수준이라고 밝히고 싶다.
그리고 이런 작업을 하면 할수록 하나님께서 각 시대마다 각 시대의 사고방식에 입각하여 역사를 주관해 가시는 그런 모습을 통하여 하나님의 숨소리를 생생히 들을 수 있을 것이라는 생각이다. 살아계신 하나님의 모습을 만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앞으로도 시간이 허락되는 대로 이런 작업에 더욱 열심히 하고 싶은 마음이 간절할 뿐이다. 하나님을 만나고 싶은 마음으로. 끝.
그리고 이런 작업을 하면 할수록 하나님께서 각 시대마다 각 시대의 사고방식에 입각하여 역사를 주관해 가시는 그런 모습을 통하여 하나님의 숨소리를 생생히 들을 수 있을 것이라는 생각이다. 살아계신 하나님의 모습을 만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앞으로도 시간이 허락되는 대로 이런 작업에 더욱 열심히 하고 싶은 마음이 간절할 뿐이다. 하나님을 만나고 싶은 마음으로. 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