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밀한 관계를 반영하고 있다. 때때로 이 법들은 주로 하나님의 법으로서 간략하게 경솔하게 언급되었다. 그러나 다음에 지적하는 점들은 알트의 논문이 발표된 이래 증명된 것으로 이해되어 왔다:(1) 이러한 법들은 이스라엘의 것도 야웨적인 것도 아니지만 다른 곳에서 발견된다 - 메소포타미아와 힛타이트 문헌들에서 혹은 심지어 전 셈족 세계
) G. J. Botterweck, "form- und Ueberlieferungsgeschichtliche Studie zum Dekalog," Concilium, I (1965), 392-401; F. C. Fensham, "The Possibility of the Presence of Cauistic Legal Material at the Making of the Covenant at Sinai," PEQ, XCIII (1961), 143-46; C. Feucht, Untersuchungen zum Heiligkeitsgesetz, 1964; E. Gernstenberger, Wesen und Herkunft des "apodiktischen Rechts," 1965; G. Heinemann, Untersuchungen zum apodiktischen Recht, dissertation, Hamburg, 1958; R. Hentxchke, "Erwaegungen zur israeltischen Rechtsgeschichte," Theologia viatorum, X (165/66), 108-33; R. Killian, "Apodiktisches und kauistisches Recht im Licht aeyptischer Analogien," BZ, NF VII (1963), 185-202.
를 통해서 부족 정신(ethos)의 표현으로서 혹은 보편적으로는 인간의 법의 형으로서 나타난다; (2) 고대 근동의 유목민과 반유목민 사이에서(cf. 레 18:7ff; §2.4) 열 가지 요소에 대한 증거로서 일련의 명령들과 금지 조항들의 계속되는 구조로서 이해할 수 있는 증거들이 있다 (3) 이러한 시리즈들은 실제로 의무에 대한 법들이 아니라 규칙들을 포함하고 있다; 이와 같이 이러한 시리즈들은 법의 종교가 아닌 하나님의 뜻을 표현하는 희생된 규칙들에 따라 삶의 종교로서 야웨 종교의 특징들 중의 하나로 일치한다.
) G. Fohrer.
물론 심지어 필연적인 형식 가운데 삶과 의무에 대한 단순한 규칙에 대해서 어떤 확신을 가진채 모세를 묘사하는 것은 불가능하다. 소위 윤리적인 십계명이라는 것은(출 20:1-17) 자주 이러한 연결점을 가지고 인용되지만 - 이후 어떤 긴장감을 제거하는 것을 분리할 수 없다 - 대부분의 선택은 두 개의 단어들로 구성된 각각의 계명들이 짧은 교정을 이루거나
) B. Couroyer, L'Exode, 1952, 97.
혹은 짧은 금지 조항들이 확장되고 계명들이 바뀌어지면서 좀 더 긴 교정의 형식을 가진 채 본래 열 개의 계명으로 구성된 원 십계명을 만들어낸 본문 가운데서 취해져야만 한다.
) A. Alt and K. Rabast (n. 38).
그 십계명이 이차적인 것으로 추측하는 가정이 대부분인데 이것은 아마 E 전승에 의한 것이며 이것은 또 다른 세 개의 시리즈로부터 선택된 자료들이다.
) G. Fohrer; S-F, § 8.2.
처음으로 나타나는 세 개의 금지 조항들은 아마 모세 당시에 나타난 것처럼 보인다:
너는 다른 신들을 섬기지 말라
) 지금 이 문장에서 사용되고 있는 "내 앞에" 와 "내 옆에"라는 말은 이후에 첨가되었다.
너는 너 자신을 위하여 새긴 우상을 만들지 말라.
너는 야웨 이름을 헛되이 취하지 말라.
종교 의식의 구성요소로서 유아 희생 제의, 주술 그리고 남색을 금지하는 규칙들은 또한 모세까지 거슬러 올라간다. 그러나 의무 조항에 대한 대부분의 필연적인 규칙들은 모세의 무리들에 의해서 팔레스타인으로 유입된 것이 아니고 오히려 레위기 18:7ff에서 비야웨적인 유목민의 환경과 야웨 종교로 통합되거나 혹은 고대 형식의 시작처럼 팔레스타인에 정착한 이후까지는 존재하지 않았다는 가능성을 판단하고 있어야 한다.
어쨋든, 이러한 규칙들은 하나의 목적을 이끄는 길을 따라 갈 때 모세가 거의 마음에 깊이 새기지 못한 첫 번째 단계들로 구성되어 있다: 계명들과 법에 대한 유대교와 같이 국가와 개인의 전 생활에 대해서 규칙적인 법 조항들의 포괄적인 시스템은 계획되어 있다.
4. 더 많은 발전: 기본적인 가나안적인 그리고 유목적인 요소들에 따라 모세의 야웨 종교는 이스라엘 종교사의 첫 번째 영향을 미쳤다. 이것은 이후 광범위한 동화(同化)에 대한 모든 시도들과는 반대되는 두 가지의 이전 요소들의 내용을 가지고 있는 종교를 형성하였다. 첫 째는 작은 유목 집단의 신앙이었다; 그러나 이것은 생생하면서도 원기가 넘치는 것이었기 때문에 곧 팔레스타인에서는 이스라엘의 충절을 가져다 주었다.
그러나 가장 큰 힘은 서서히 발달해 갔다. 반면에 이러한 제의는 순수한 제의로서 야웨 종교의 성장에 대한 출발점을 제공하였다; 반면에, 비교적 제의에 의해 제공된 상대적으로 작은 역할은 제의 축제 가운데 어떤 목적을 나타내지 않는 신앙의 가능성을 열어두었다. 이러한 축제는 하나님의 영역 안으로 들어감으로써 매일 매일 요구되는 것을 초월하였지만 야웨의 본성의 윤리적인 원리에 따라 매일의 삶 속에서 하나님의 의지에 항복하는 것이다. 게다가 필연적인 규칙들의 수단에 의해서 삶의 질서는 필연적으로 법적인 종교로 이끌어지지는 않았다. 대개 부정적인 면에서 금지 조항들은 이스라엘에게 하나님의 의지의 전체성을 표현하는 커다란 긍정적인 요구 가운데서 하나의 원리에 집중할 수 있도록 용기를 주었다. 또 다른 면에서는 먼저 작은 집단들은 두 번째 과정을 쫓아야 했지만 위대한 개인적인 예언자들은 먼저 목적을 분별하고 도달하려고 하였다. 다른 요소들과 더불어 야웨 종교 자신의 적절한 과정과 갈등의 계속되는 요소를 추적하는 역동성은 이스라엘 도시 국가 이전 그리고 군주 시기 동안까지 팔레스타인에서 야웨 종교의 역사의 특징으로 이루어져 있다.
) G. J. Botterweck, "form- und Ueberlieferungsgeschichtliche Studie zum Dekalog," Concilium, I (1965), 392-401; F. C. Fensham, "The Possibility of the Presence of Cauistic Legal Material at the Making of the Covenant at Sinai," PEQ, XCIII (1961), 143-46; C. Feucht, Untersuchungen zum Heiligkeitsgesetz, 1964; E. Gernstenberger, Wesen und Herkunft des "apodiktischen Rechts," 1965; G. Heinemann, Untersuchungen zum apodiktischen Recht, dissertation, Hamburg, 1958; R. Hentxchke, "Erwaegungen zur israeltischen Rechtsgeschichte," Theologia viatorum, X (165/66), 108-33; R. Killian, "Apodiktisches und kauistisches Recht im Licht aeyptischer Analogien," BZ, NF VII (1963), 185-202.
를 통해서 부족 정신(ethos)의 표현으로서 혹은 보편적으로는 인간의 법의 형으로서 나타난다; (2) 고대 근동의 유목민과 반유목민 사이에서(cf. 레 18:7ff; §2.4) 열 가지 요소에 대한 증거로서 일련의 명령들과 금지 조항들의 계속되는 구조로서 이해할 수 있는 증거들이 있다 (3) 이러한 시리즈들은 실제로 의무에 대한 법들이 아니라 규칙들을 포함하고 있다; 이와 같이 이러한 시리즈들은 법의 종교가 아닌 하나님의 뜻을 표현하는 희생된 규칙들에 따라 삶의 종교로서 야웨 종교의 특징들 중의 하나로 일치한다.
) G. Fohrer.
물론 심지어 필연적인 형식 가운데 삶과 의무에 대한 단순한 규칙에 대해서 어떤 확신을 가진채 모세를 묘사하는 것은 불가능하다. 소위 윤리적인 십계명이라는 것은(출 20:1-17) 자주 이러한 연결점을 가지고 인용되지만 - 이후 어떤 긴장감을 제거하는 것을 분리할 수 없다 - 대부분의 선택은 두 개의 단어들로 구성된 각각의 계명들이 짧은 교정을 이루거나
) B. Couroyer, L'Exode, 1952, 97.
혹은 짧은 금지 조항들이 확장되고 계명들이 바뀌어지면서 좀 더 긴 교정의 형식을 가진 채 본래 열 개의 계명으로 구성된 원 십계명을 만들어낸 본문 가운데서 취해져야만 한다.
) A. Alt and K. Rabast (n. 38).
그 십계명이 이차적인 것으로 추측하는 가정이 대부분인데 이것은 아마 E 전승에 의한 것이며 이것은 또 다른 세 개의 시리즈로부터 선택된 자료들이다.
) G. Fohrer; S-F, § 8.2.
처음으로 나타나는 세 개의 금지 조항들은 아마 모세 당시에 나타난 것처럼 보인다:
너는 다른 신들을 섬기지 말라
) 지금 이 문장에서 사용되고 있는 "내 앞에" 와 "내 옆에"라는 말은 이후에 첨가되었다.
너는 너 자신을 위하여 새긴 우상을 만들지 말라.
너는 야웨 이름을 헛되이 취하지 말라.
종교 의식의 구성요소로서 유아 희생 제의, 주술 그리고 남색을 금지하는 규칙들은 또한 모세까지 거슬러 올라간다. 그러나 의무 조항에 대한 대부분의 필연적인 규칙들은 모세의 무리들에 의해서 팔레스타인으로 유입된 것이 아니고 오히려 레위기 18:7ff에서 비야웨적인 유목민의 환경과 야웨 종교로 통합되거나 혹은 고대 형식의 시작처럼 팔레스타인에 정착한 이후까지는 존재하지 않았다는 가능성을 판단하고 있어야 한다.
어쨋든, 이러한 규칙들은 하나의 목적을 이끄는 길을 따라 갈 때 모세가 거의 마음에 깊이 새기지 못한 첫 번째 단계들로 구성되어 있다: 계명들과 법에 대한 유대교와 같이 국가와 개인의 전 생활에 대해서 규칙적인 법 조항들의 포괄적인 시스템은 계획되어 있다.
4. 더 많은 발전: 기본적인 가나안적인 그리고 유목적인 요소들에 따라 모세의 야웨 종교는 이스라엘 종교사의 첫 번째 영향을 미쳤다. 이것은 이후 광범위한 동화(同化)에 대한 모든 시도들과는 반대되는 두 가지의 이전 요소들의 내용을 가지고 있는 종교를 형성하였다. 첫 째는 작은 유목 집단의 신앙이었다; 그러나 이것은 생생하면서도 원기가 넘치는 것이었기 때문에 곧 팔레스타인에서는 이스라엘의 충절을 가져다 주었다.
그러나 가장 큰 힘은 서서히 발달해 갔다. 반면에 이러한 제의는 순수한 제의로서 야웨 종교의 성장에 대한 출발점을 제공하였다; 반면에, 비교적 제의에 의해 제공된 상대적으로 작은 역할은 제의 축제 가운데 어떤 목적을 나타내지 않는 신앙의 가능성을 열어두었다. 이러한 축제는 하나님의 영역 안으로 들어감으로써 매일 매일 요구되는 것을 초월하였지만 야웨의 본성의 윤리적인 원리에 따라 매일의 삶 속에서 하나님의 의지에 항복하는 것이다. 게다가 필연적인 규칙들의 수단에 의해서 삶의 질서는 필연적으로 법적인 종교로 이끌어지지는 않았다. 대개 부정적인 면에서 금지 조항들은 이스라엘에게 하나님의 의지의 전체성을 표현하는 커다란 긍정적인 요구 가운데서 하나의 원리에 집중할 수 있도록 용기를 주었다. 또 다른 면에서는 먼저 작은 집단들은 두 번째 과정을 쫓아야 했지만 위대한 개인적인 예언자들은 먼저 목적을 분별하고 도달하려고 하였다. 다른 요소들과 더불어 야웨 종교 자신의 적절한 과정과 갈등의 계속되는 요소를 추적하는 역동성은 이스라엘 도시 국가 이전 그리고 군주 시기 동안까지 팔레스타인에서 야웨 종교의 역사의 특징으로 이루어져 있다.
추천자료
기독교-성서속의 예언,예언서,예언자
` 계명은 복음이다 ` 를 읽고
911 테러
성서가 된 신화를 읽고
[의학약학]간호관리학[간호의역사]
수니파와 시아파 분쟁
고대 근동의 창조 설화와 홍수설화
다윗계약
[A+]참된 믿음을 가지려면 을 읽고-기독교의 이해 (추가레포트)
탈무드 독후감
진실된 선지자와 거짓 선지자는 어떻게 구분하는지를 구약성경을 근거로 쓰라.
[유대교][교리][율법][의미론][유다이즘][유일신 신앙][묵시사상]유대교의 교리, 유대교의 율...
하나님의 계시에 대한 구약적 연구 (앤더슨: 구약신학)(브레바드 S. 차일즈: 구약신학)
신명기사가적인 역사서와 역대기사가적인 역사서 중심으로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