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6), 일본 3위(105), 독일·이탈리아 5위(102), 중국·영국 11위(100)의 대동소이한 순위를 보여준다. 2004년 스위스 취리히대학 토머스 폴켄(Thomas Volken) 박사의 조사자료도 유사하다. 홍콩 1위(107), 한국 2위(106), 일본·북한 3위(105), 독일·이탈리아 6위(102), 중국·영국 13위(100), 미국·프랑스 21위(98), 러시아·베트남 34위(96), 인도 117위(81) 등이다. 이 세 자료들은 공히 한국민의 IQ가 106이고 순위는 세계 2위라고 보고하고 있다. 중국에 속한 홍콩을 빼면, 사실상 한국이 1위다. 땅이 좁고 자원이 적은 한국이 그간 비약적 발전을 이룩해온 저력도 바로 이 세계 1위의 IQ에서 나왔을 것이다.조선일보, 2008년 11월 4일자, A30면
우리 대한민국은 이처럼 어느 나라의 국민에 비교해서 뒤지지 않는 우수한 국민이다. 지금처럼 우리가 어려울 때 일수록 우리는 자신감을 가지고 나아가야 한다. 우리는 6.25를 딛고 산업화를 이룩하고 IMF 환란을 넘어 지식정보화를 이룩한 저력과 경험이 있다. 우리에게 비록 <탈무드>가 존재하지는 않지만 탈무드와 같은 우리만의 강력한 문화와 종교가 존재하고 있다. 예로 전통의 유불도 사상이 있으며 기독교 같은 경우에도 뒤늦게 새로이 유입된 종교지만 우리나라의 특성과 잘 어우러져 훌륭한 종교로서 역할을 하며 나아가고 있다고 생각된다. 우리는 결코 약소한 민족과 국민이 아니다. 우리는 강한 자신감을 가지고 세계의 중심에서 세계의 역사를 바로잡고 리더로서 리드할 수 있는 그러한 힘을 가지고 있음을 믿으며 그 곳을 향해 박차고 나아가야 한다고 생각한다.
※참고문헌※
정창영 엮음, 『탈무드』,(샴발라 총서3, 2000)
M. 토케이어/ 주덕명 편역, 『영원히 살 것처럼 배우고 내일 죽을 것처럼 살아라』(도서출판함께, 2004)
이희영, 『유대 5000년 불굴의 방패 탈무드 황금률 방법』(동서문화사, 2002)
A. 갤리언/ M. 토케이어, 『유태인의 지혜와 탈무드』(백양출판사, 2004)
M. 토케이어/김연희 옮김『탈무드』(하서출판사, 1998)
박종훈, “윤리문화연구의 방향”, 『윤리문화학회』 (화남, 2005)
www.naver.com
db.chosun.com 조선일보, 2008년 11월 4일자, A30면
<탈무드 독후감>
-우리가 나아가야 할 길-
학과:윤리문화학과
학번:2004110220
이름:박지영
우리 대한민국은 이처럼 어느 나라의 국민에 비교해서 뒤지지 않는 우수한 국민이다. 지금처럼 우리가 어려울 때 일수록 우리는 자신감을 가지고 나아가야 한다. 우리는 6.25를 딛고 산업화를 이룩하고 IMF 환란을 넘어 지식정보화를 이룩한 저력과 경험이 있다. 우리에게 비록 <탈무드>가 존재하지는 않지만 탈무드와 같은 우리만의 강력한 문화와 종교가 존재하고 있다. 예로 전통의 유불도 사상이 있으며 기독교 같은 경우에도 뒤늦게 새로이 유입된 종교지만 우리나라의 특성과 잘 어우러져 훌륭한 종교로서 역할을 하며 나아가고 있다고 생각된다. 우리는 결코 약소한 민족과 국민이 아니다. 우리는 강한 자신감을 가지고 세계의 중심에서 세계의 역사를 바로잡고 리더로서 리드할 수 있는 그러한 힘을 가지고 있음을 믿으며 그 곳을 향해 박차고 나아가야 한다고 생각한다.
※참고문헌※
정창영 엮음, 『탈무드』,(샴발라 총서3, 2000)
M. 토케이어/ 주덕명 편역, 『영원히 살 것처럼 배우고 내일 죽을 것처럼 살아라』(도서출판함께, 2004)
이희영, 『유대 5000년 불굴의 방패 탈무드 황금률 방법』(동서문화사, 2002)
A. 갤리언/ M. 토케이어, 『유태인의 지혜와 탈무드』(백양출판사, 2004)
M. 토케이어/김연희 옮김『탈무드』(하서출판사, 1998)
박종훈, “윤리문화연구의 방향”, 『윤리문화학회』 (화남, 2005)
www.naver.com
db.chosun.com 조선일보, 2008년 11월 4일자, A30면
<탈무드 독후감>
-우리가 나아가야 할 길-
학과:윤리문화학과
학번:2004110220
이름:박지영
추천자료
베버의 비서구권 종교와 경제 연구
대중 문화 속의 종교(원음방송 사례를 중심으로)
기독교교육과정분석 (종교교육과정분석 - 기독교교과목, 기독교대안학교)
포스트 모더니즘과 종교 다원주의
주 5일 근무제 실시와 종교의 세속화
[인문사회]종교의 정의
여호와 증인에 대한 사회적 인식조사(종교차이를 중심으로)
중국 정치와 종교문제
[식민지][식민지제국의식][식민지국가권력][민족주의]식민지와 식민지제국의식, 식민지와 식...
[식민지]일제강점기(일제, 식민지시대)의 종교정책, 기독교정책, 일제강점기(일제, 식민지시...
[한국불교][불교][한국불교 중요성][한국불교 전개][한국불교 전통윤리][한국불교 예불의식]...
그리스도교의 이해 <현대 한국 그리스도교의 왜곡> (그리스도교의 한국 전래, 천주교의 수용,...
[한국근대사] 한국근대사에 끼친 기독교의 영향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