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어 통사론 연구사 정리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1. 언어이론 수용의 양상

2. 전통문법 이론과 통사론 연구

3. 기술문법 이론과 통사론 연구

4. 변형생성문법 이론과 통사론 연구

5. 한국어 통사론 연구의 방향

본문내용

맹목적 추구가 방법론적인,
그리고 대상론적인 결함을 그대로 수용한 결과를 남겼다.
㈁ 언어보편성의 문제를 들 수 있다. 언어보편성 이론이 한국어에 그대로 적용될 수
있다는 생각에 입각해 보편성을 추구하다가 지나친 단순화의 방법론이 대두하였다.
㈂ 가설-검증, 수리-논리의 방법론적 문제를 들 수 있다. 이론적인 검토 없이 규칙을
설정하여 문장구조와 의미 관계를 설명하려 하였다.
② 연구대상론적 관점
㈀ 형태론이 경시되고, 통사론에 지나치게 치우친 연구가 되었다.
㈁ 특정 주제에 한정되어 연구하였다. 이것은 이론이 내적 요구에 의한 수용이 아니었 기 때문이다.
㈂ 통사 변화의 연구가 위축되었다. 변형생성문법 이론이 수용되면서 역사적인 연구는 상당히 위축되었다.
5. 한국어 통사론 연구의 방향
지난날 연구의 흐름을 되돌아보는 것은 단순히 그 성과를 소개하고 긍정적인 평가를 하는 데 있는 게 아니라, 오히려 한계와 문제점을 제시함으로써 앞으로의 연구에 적극적으로 기 여해야 한다. 이제 지금껏 살펴본 이론들을 바탕으로 한국어 통사론 연구가 지향해야 할 바람직한 방향을 연구방법론적 관점과 연구대상론적 관점에서 제시해 본다.
(2) 연구방법론적 관점 첫째, 변형생성문법 이론은 설명 중심의 이론이기 때문에 하루가 다르게 개발, 발전, 수정되므로 적절한 검토과정이 없는 무비판적 수용은 지양되어야
할 것이다.
둘째, 통사현상을 체계적으로 파악할 수 있어서 통사현상 전체의 모습을 체계적으로 나누는 기준을 설정하여 통사의 본질을 밝혀야 할 것이다.
셋째, 한국어 통사 특성을 밝히도록 보편성이 있어야 한다. 서로 다른 가치 체계를 함 께 체험하여, 교조적인 사고에 빠지지 말아야 할 것이다.
넷째, 문법 형태소(특히, 어미)에 바탕을 둔 연구방법론이어야 한다. 형태론적 현상의 정밀한 기술을 거쳐 각각 어미들이 가지는 통사 기능을 밝혀 그 어미들을 바탕으로 여 러 통사 특성의 관련성을 체계적으로 설명해야 한다.
(3) 연구대상론적 관점 첫째, 형태론 연구를 기반으로 한 토사론 연구가 이루어져야 한 다.
둘째, 통사현상 전반을 체계적으로 연구하여, 어느 특정분야만 연구되지 않도록 해야 한다.
셋째, 통사현상에 대하여 공시적 연구뿐만 아니라 통시적 연구도 함께 이루어져야 한 다.
**
통사론 연구사 정리
과목명 : 국어문법론
담당교수님 : 구현정 교수님
학과 : 국어국문학과
학번 : 200157137
이름 : 조수정
  • 가격1,300
  • 페이지수6페이지
  • 등록일2002.10.17
  • 저작시기2002.10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206851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