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한국어 종결형 문장의 구조
1.1. 용언의 어간
1.2. Agr(일치소): ‘-시/∅-’
1.2.1. 찬성측
1.2.2. 반대측
1.2.3. 일치소 살리기
1.3. Tense(시제소): ‘-았-’
1.4. AsP(양상소): ‘-겠-’, ‘-더-’, ‘-는-’
1.5. Comp(보문소): ‘-다/느냐/어라/자’
2. 종결형의 형성
2.1. 어휘부 가설
2.2. 음운부 가설
2.3. 통사부 가설
1.1. 용언의 어간
1.2. Agr(일치소): ‘-시/∅-’
1.2.1. 찬성측
1.2.2. 반대측
1.2.3. 일치소 살리기
1.3. Tense(시제소): ‘-았-’
1.4. AsP(양상소): ‘-겠-’, ‘-더-’, ‘-는-’
1.5. Comp(보문소): ‘-다/느냐/어라/자’
2. 종결형의 형성
2.1. 어휘부 가설
2.2. 음운부 가설
2.3. 통사부 가설
본문내용
마지막으로 일본어와 한국어의 영 목적어의 해석을 둘러싼 현상을 토대로 이들 언어에서 동사의 이동이 있다고 주장한 Otani and Whitman(1991)의 논증을 들 수 있다. 이 논의들에 대한 구체적인 것은 이해가 확실히 가지 않는 부분으로 이 역시 직접적인 설명이 필요하리라 생각된다.
이 논문에서는 여러 논증에 대해 살펴보고 그 검토의 결과 종결형의 구조가 (3)과 같다고 보았다. 종결형에 대한 입장은 기본적으로 Sells(1995)류의 어휘적 접근법에 반하는 것으로 이런 구조에서는 어간과 기능핵들이 결합되는 절차가 필요한데 이 문제와 관련하여 본 논문은 통사부에서의 핵 이동을 설정하는 입장과 음운부에서의 병합을 설정하는 입장의 두 가지가 있음을 지적하고 있다. 이 논문의 논자는 지금까지 주어진 논증을 종합, 평가해 볼 때, 통사부 가설이 우세한 것으로 보고 있다. 통사부 가설에 대해 제기되었던 문제들은 대부분 접속문과 관련된 것으로 한국어 접속문의 구조에 대한 견해에 따라 심각한 문제가 아닌 것으로 판명될 수도 있는데 반해, 응답의 양상이나 용언반복구문의 반복의 양상 등은 이동을 설정하지 않는 음운부 가설에서 설명되기 어렵다고 보았기 때문이다.
이 논문에서는 여러 논증에 대해 살펴보고 그 검토의 결과 종결형의 구조가 (3)과 같다고 보았다. 종결형에 대한 입장은 기본적으로 Sells(1995)류의 어휘적 접근법에 반하는 것으로 이런 구조에서는 어간과 기능핵들이 결합되는 절차가 필요한데 이 문제와 관련하여 본 논문은 통사부에서의 핵 이동을 설정하는 입장과 음운부에서의 병합을 설정하는 입장의 두 가지가 있음을 지적하고 있다. 이 논문의 논자는 지금까지 주어진 논증을 종합, 평가해 볼 때, 통사부 가설이 우세한 것으로 보고 있다. 통사부 가설에 대해 제기되었던 문제들은 대부분 접속문과 관련된 것으로 한국어 접속문의 구조에 대한 견해에 따라 심각한 문제가 아닌 것으로 판명될 수도 있는데 반해, 응답의 양상이나 용언반복구문의 반복의 양상 등은 이동을 설정하지 않는 음운부 가설에서 설명되기 어렵다고 보았기 때문이다.
추천자료
언어의 통사론및 변형생성문법에 대하여
한국어 통사론 연구사 정리
통사론이란
통사론으로 본 국어 높임법 연구
[언어학개론] 언어학개론 요점정리 노트
(영어학의이해) 통사론 의미론 형태론 음운론 사회언어학 심리언어학
언어학의 의의, 언어학의 필요성, 텍스트 언어학의 형태, 광고의 텍스트언어학, 일간지의 텍...
[국어][국어교육][국어과]국어 동사의 통사론(구문론, 문장론), 국어 조사의 통사론(구문론, ...
[통사론][구문론][문장론][문법범주][이다][통사구조]통사론(구문론, 문장론)의 문장 구성, ...
[독어][독일어]독어(독일어)의 모국어론, 독어(독일어)의 최적성 통사론, 독어(독일어)의 어...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