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제1장 언어와 언어학
제2장 음성학
제3장 음운론(음소)
제4장 형태론
제5장 통사론 (Syntex)
제6장 문법범주와 기능
제7장 의미론
제2장 음성학
제3장 음운론(음소)
제4장 형태론
제5장 통사론 (Syntex)
제6장 문법범주와 기능
제7장 의미론
본문내용
존재하지 않는다. 예) 창공과 하늘 세상과 천하 buy, purchase
사실상 엄밀히 동의어는 다른 레지스터에 속하는 것이다 ( 통합적 관계가 다르기 때문에)
예) 그는 자동차를 부수었다. ( * 깨뜨렸다.)
2)반의 관계 ; 단어의 의미가 서로 반대되거나 상호 양립될 수 없는 두 단어의 관계
ㄱ) 상보적 반의 ; 한 의미의 부정은 반드시 다른 의미의 긍정을 가져온다.
예) 남자와 여자, 진과 위, 죽다와 살다, 같다와 다르다,
ㄴ) 상호적 반의 ; 관점의 차이에서 상호반대방향으로 기술될 때
예) 사다와 팔다, 부모와 자식, 주다와 받다, 아내와 남편
ㄷ) 계층적 반의 ; 상대적이어서 두 의미가 척도의 양극에 위치하는 반의관계
예) 뜨겁다와 차다, 높다와 낮다, 사랑하다와 미워하다.
( 차다 - 시원하다 - 미지근하다 - 따뜻하다 - 뜨겁다)
3)상위와 하위 : 하위어는 상위어를 함의하지 하지만 상위어는 반드시 하위어를 함의 하는 것이 아니다.
포함관계 => 동물 > 암소, 꽃과 장미, 가구와 책상
2. 통합적 관계
병치 ; 문장내에서 어떤 어휘가 다른 어휘들과 전형적이고 습관적으로 결합될 때 이들 어휘들의 의미사이에 어떤 관계가 있는 것인가 하는 문제로 이러한 관계를 병치라고 한다.
통사; 개별어휘가 속하는 일반적인 문법부류에 관심
병치; 개별어휘의 의미관계에 관심
예) 손으로 '잡다' , 눈으로 '보다', 혀로 '핥다', 개가 '짖다', 발로 '차다' 등이 병치관계
7.5 의미장과 성분분석
7.5.1 의미장
① 구조의미론이란 : 한 언어의 어휘전체도 각 어휘의 의미가 상호 연관된 체계라는 생각
② 구조의미론의 원리는 ' 의미장의 형태'로 연구 → 초기 ' 연상장' → 심리적연상에 의해 환기가 되는 모든 어휘들이 갖는 전체(소쉬르의 영향)
예) read ; 형식적; reed,red
의미적; peruse, write, book,..
형식/의미적; reader, reading, readable, reread
③ 의미론 : 각 개별어휘와 한 언어의 어휘전체 사이에 존재하는 동질적 어휘들의 부류로 가정, 이 의미장내에서 어휘들은 상호 유기적인 연관성을 맺고 있으며, 이러한 의미장들은 다시금 한 언어 전체어휘의 구조를 결정한다는 것
7.5.2 성분분석 ; 의미를 보다 일반적인 의미자질로 분석하는 것
어휘의 의미를 일련의 의미자질들의 총화로 간주하고 이들에 의해서 단어의 관계를 기술하려는 것
예) 아버지 - 생물 - 사람 - 남성 - 어른 - 기혼 - 자녀있음
어머니 - 생물 - 사람 - 여성 - 어른 - 기혼 - 자녀있음 ; 여기서 남성과 여성 이 의미자질이다
유럽에서는 의미자질을 의미소성이라고 한다. → 음운론의 변별 자질에 대응
참고) 미국의 카츠 포더의 성분분석 방식
어휘 = 의미표지 + 식별소
ex) boy-noun(통사표지) - ANIMALE(의미표지) - HUMAN(의미표지) - MALE(변별표지: 식 별소) -YOUNG
girl - noun - ANIMALE - HUMAN - FEMALE - YOUNG
여기서 noun(통사표지). ANIAMLE-HUMAN(의미표지), MALE,FEMALE(변별표지며, 식별소)
7.6 문장의 의미
7.6.1 양립가능성과 양립불가능성
서로 양립이 가능할 때 유의미한 문장이 된다.
분석적 ; 항상 참일 때 ; 예) 코끼리는 코가 긴 동물이다.
종합적 ; 참일수도 거짓일수도 있다. 예) 철수는 학교에서 공부를 한다. → 일상생 활에서 일반적으로 사용
모순적 ; 항상 거짓일 때 ; 예) 코끼리는 해저에서 날아다닌다.
7.6.2 중의성 ; 문장이 서로 다른 두 가지 의미로 해석될 때.
①단어가 동형성이거나 다의어인 경우 ② 문법적 또는 구조의 중의성
철수는 잡았던 배를 놓았다. (먹는 배를 의미 ①의 경우)
7.6.3 환언과 모순
환언관계 ; 한 문장의 의미내용이 다른 문장의 의미 내용과 같을 경우 단어의 동의관계 와 동일하다.
예) 철수는 영희의 남편이다. 영희는 철수의 아내이다.
모순관계 ; 한 문장의 의미내용과 다른 문장의 의미내용이 동일한 상황에서 동시에 진(참)이 될 수 없는 관계
예) 이 개는 죽었다. 이 개는 살았다.(둘 중 하나가 참!)
7.6.4 함의와 전제
# 문장의 함의 관계 = 단어의 하위 관계에 문장의 환언 관계 = 단어의 동의 관계에 상 응함
함의 ; 한문장 X의 내용이 참이고, 이 문장에서 파생된 문장 Y가 반드시 참일 때, X는 Y를 함의함.
예) 철수는 영희를 죽였다. (참) => 영희는 죽었다. (참)
철수는 쇠고기를 먹었다. (참) => 철수는 고기를 먹었다. (참)
전제 ; 한 문장(X)의 의미내용의 진위여부에 상관없이 항상 참인 문장(Y)의 의미내용관계로서 X는 Y를 전제한다고 한다.
예) 철수가 결혼한 여자는 금발이다.( 그 여자가 금발이던 아니던)
철수는 어떤여자와 결혼했다.(어쨌든 철수는 여자와 결혼했다. 항상 참임)
나는 파리를 떠난 것이 후회스럽다.( 후회를 하던 아니하던 )
나는 파리를 떠났다. ( 나는 파리를 떠났다. 항상 참임)
7.7 언어행위; 우리가 적절한 상황에서 발화를 함으로써 행하는 어떤 종류의 행위 즉, 행동
; 화행이론, 화용론 ; 행위의 측면에서 언어연구
7.7.1 수행문과 확언문
수행문 ; 행위를 수행하면서 그 행위를 서술하는 발화체
예) 내일 책을 돌려 줄 것을 약속한다.(약속의 행위를 함) 즉 반드시 수행동사(서약하다, 맹세하다, 명명하다, 선고하다, 인정하다, 축하하다)가 필요함. 주어는, 인칭, 시계는 현재, 문장은 긍정문
그런데 수행문이 시제나 인칭이 달라지면 확언문이 된다.
확언문 ; 단언을 하나 실제로 행하고 있는 것은 아니다.
철수가 밥 먹는다. 영희가 잠을 잔다.
7.7.2 언표내적행위 → 화용론, 사회언어학의 주요연구대상
수행문과 밀접한 관계를 가지며, 발화를 함으로써 동시에 수행되는 어떤 유형의 행위 를 말한다. 잠재적인 의도가 내재되어 있다.
서법에 따른 언어행위 ; 평서문; 단언행위 의문문 ; 질문행위 명령문 ; 명령행위
예) 여기는 매우 춥군요. 지금 댁으로 가셔야만 합니까? 가까이 오지 마세요.
문을 닫자 가지말라! 경고
사실상 엄밀히 동의어는 다른 레지스터에 속하는 것이다 ( 통합적 관계가 다르기 때문에)
예) 그는 자동차를 부수었다. ( * 깨뜨렸다.)
2)반의 관계 ; 단어의 의미가 서로 반대되거나 상호 양립될 수 없는 두 단어의 관계
ㄱ) 상보적 반의 ; 한 의미의 부정은 반드시 다른 의미의 긍정을 가져온다.
예) 남자와 여자, 진과 위, 죽다와 살다, 같다와 다르다,
ㄴ) 상호적 반의 ; 관점의 차이에서 상호반대방향으로 기술될 때
예) 사다와 팔다, 부모와 자식, 주다와 받다, 아내와 남편
ㄷ) 계층적 반의 ; 상대적이어서 두 의미가 척도의 양극에 위치하는 반의관계
예) 뜨겁다와 차다, 높다와 낮다, 사랑하다와 미워하다.
( 차다 - 시원하다 - 미지근하다 - 따뜻하다 - 뜨겁다)
3)상위와 하위 : 하위어는 상위어를 함의하지 하지만 상위어는 반드시 하위어를 함의 하는 것이 아니다.
포함관계 => 동물 > 암소, 꽃과 장미, 가구와 책상
2. 통합적 관계
병치 ; 문장내에서 어떤 어휘가 다른 어휘들과 전형적이고 습관적으로 결합될 때 이들 어휘들의 의미사이에 어떤 관계가 있는 것인가 하는 문제로 이러한 관계를 병치라고 한다.
통사; 개별어휘가 속하는 일반적인 문법부류에 관심
병치; 개별어휘의 의미관계에 관심
예) 손으로 '잡다' , 눈으로 '보다', 혀로 '핥다', 개가 '짖다', 발로 '차다' 등이 병치관계
7.5 의미장과 성분분석
7.5.1 의미장
① 구조의미론이란 : 한 언어의 어휘전체도 각 어휘의 의미가 상호 연관된 체계라는 생각
② 구조의미론의 원리는 ' 의미장의 형태'로 연구 → 초기 ' 연상장' → 심리적연상에 의해 환기가 되는 모든 어휘들이 갖는 전체(소쉬르의 영향)
예) read ; 형식적; reed,red
의미적; peruse, write, book,..
형식/의미적; reader, reading, readable, reread
③ 의미론 : 각 개별어휘와 한 언어의 어휘전체 사이에 존재하는 동질적 어휘들의 부류로 가정, 이 의미장내에서 어휘들은 상호 유기적인 연관성을 맺고 있으며, 이러한 의미장들은 다시금 한 언어 전체어휘의 구조를 결정한다는 것
7.5.2 성분분석 ; 의미를 보다 일반적인 의미자질로 분석하는 것
어휘의 의미를 일련의 의미자질들의 총화로 간주하고 이들에 의해서 단어의 관계를 기술하려는 것
예) 아버지 - 생물 - 사람 - 남성 - 어른 - 기혼 - 자녀있음
어머니 - 생물 - 사람 - 여성 - 어른 - 기혼 - 자녀있음 ; 여기서 남성과 여성 이 의미자질이다
유럽에서는 의미자질을 의미소성이라고 한다. → 음운론의 변별 자질에 대응
참고) 미국의 카츠 포더의 성분분석 방식
어휘 = 의미표지 + 식별소
ex) boy-noun(통사표지) - ANIMALE(의미표지) - HUMAN(의미표지) - MALE(변별표지: 식 별소) -YOUNG
girl - noun - ANIMALE - HUMAN - FEMALE - YOUNG
여기서 noun(통사표지). ANIAMLE-HUMAN(의미표지), MALE,FEMALE(변별표지며, 식별소)
7.6 문장의 의미
7.6.1 양립가능성과 양립불가능성
서로 양립이 가능할 때 유의미한 문장이 된다.
분석적 ; 항상 참일 때 ; 예) 코끼리는 코가 긴 동물이다.
종합적 ; 참일수도 거짓일수도 있다. 예) 철수는 학교에서 공부를 한다. → 일상생 활에서 일반적으로 사용
모순적 ; 항상 거짓일 때 ; 예) 코끼리는 해저에서 날아다닌다.
7.6.2 중의성 ; 문장이 서로 다른 두 가지 의미로 해석될 때.
①단어가 동형성이거나 다의어인 경우 ② 문법적 또는 구조의 중의성
철수는 잡았던 배를 놓았다. (먹는 배를 의미 ①의 경우)
7.6.3 환언과 모순
환언관계 ; 한 문장의 의미내용이 다른 문장의 의미 내용과 같을 경우 단어의 동의관계 와 동일하다.
예) 철수는 영희의 남편이다. 영희는 철수의 아내이다.
모순관계 ; 한 문장의 의미내용과 다른 문장의 의미내용이 동일한 상황에서 동시에 진(참)이 될 수 없는 관계
예) 이 개는 죽었다. 이 개는 살았다.(둘 중 하나가 참!)
7.6.4 함의와 전제
# 문장의 함의 관계 = 단어의 하위 관계에 문장의 환언 관계 = 단어의 동의 관계에 상 응함
함의 ; 한문장 X의 내용이 참이고, 이 문장에서 파생된 문장 Y가 반드시 참일 때, X는 Y를 함의함.
예) 철수는 영희를 죽였다. (참) => 영희는 죽었다. (참)
철수는 쇠고기를 먹었다. (참) => 철수는 고기를 먹었다. (참)
전제 ; 한 문장(X)의 의미내용의 진위여부에 상관없이 항상 참인 문장(Y)의 의미내용관계로서 X는 Y를 전제한다고 한다.
예) 철수가 결혼한 여자는 금발이다.( 그 여자가 금발이던 아니던)
철수는 어떤여자와 결혼했다.(어쨌든 철수는 여자와 결혼했다. 항상 참임)
나는 파리를 떠난 것이 후회스럽다.( 후회를 하던 아니하던 )
나는 파리를 떠났다. ( 나는 파리를 떠났다. 항상 참임)
7.7 언어행위; 우리가 적절한 상황에서 발화를 함으로써 행하는 어떤 종류의 행위 즉, 행동
; 화행이론, 화용론 ; 행위의 측면에서 언어연구
7.7.1 수행문과 확언문
수행문 ; 행위를 수행하면서 그 행위를 서술하는 발화체
예) 내일 책을 돌려 줄 것을 약속한다.(약속의 행위를 함) 즉 반드시 수행동사(서약하다, 맹세하다, 명명하다, 선고하다, 인정하다, 축하하다)가 필요함. 주어는, 인칭, 시계는 현재, 문장은 긍정문
그런데 수행문이 시제나 인칭이 달라지면 확언문이 된다.
확언문 ; 단언을 하나 실제로 행하고 있는 것은 아니다.
철수가 밥 먹는다. 영희가 잠을 잔다.
7.7.2 언표내적행위 → 화용론, 사회언어학의 주요연구대상
수행문과 밀접한 관계를 가지며, 발화를 함으로써 동시에 수행되는 어떤 유형의 행위 를 말한다. 잠재적인 의도가 내재되어 있다.
서법에 따른 언어행위 ; 평서문; 단언행위 의문문 ; 질문행위 명령문 ; 명령행위
예) 여기는 매우 춥군요. 지금 댁으로 가셔야만 합니까? 가까이 오지 마세요.
문을 닫자 가지말라! 경고
추천자료
2009년 1학기 국문학개론 출석대체시험 핵심체크
2008년 2학기 구비문학개론 중간시험과제물 공통(구비문학작품 보고서)
2008년 1학기 유아교육개론 중간시험과제물 공통(유아교육의 중요성 및 교사역할)
2007년 2학기 구비문학개론 중간시험과제물 공통(A-E형)
2006년 2학기 구비문학개론 중간시험과제물 A-E공통(곰나루설화)
2010년 1학기 일본학개론 출석대체시험 핵심체크
2010년 1학기 행정학개론 출석대체시험 핵심체크
2010년 1학기 경영학개론 출석대체시험 핵심체크
2010년 1학기 사회복지개론 중간시험 핵심체크
2010년 1학기 일본학개론 기말시험 핵심체크
2010년 1학기 행정학개론 기말시험 핵심체크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