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서론
본론
1.생태계의 위기와 원인
2.창조 신학에 대한 성경적 이해
3.새로운 창조 신학
결론
본론
1.생태계의 위기와 원인
2.창조 신학에 대한 성경적 이해
3.새로운 창조 신학
결론
본문내용
야 하는 것은 온 세상을 창조하신 하나님이다.
호세아 선지자는 이스라엘 백성들에게 하나님께로 돌아가자(호 6:1)고 외쳤다.이런 외침은 모든 선지자들의 음성이었고,수 많은 하나님의 일꾼들의 한결같은 호소였다.이 자연과 역사의 주인공 이신 하나님
) 위의 책, p.211
께로 돌아가야 한다.신명기 기자는 "하늘과 모든 하늘의 하늘과 땅과 그 위의 만물은 본래 네 하나님 여호와께 속한 것(신 10:14)"이라고 말한다.시편의 기자는 "땅과 거기 충만한 것과 세계와 그중에 거하는 자가 다 여호와의 것이로다(시 24:1)"라고 선포하고 있다.하나님의 지으신 세계를 지키고 가꾸는 청지기로 부름 받았던 우리 인간들은 그동안 주인인 척하며 살아왔던 것이다.이제는 하나님의 주인되심을 인정해야한다.이제는 하나님 중심의 사고로 전환해야 한다.예수 그리스도로 하나님과 화해를 경험한 우리들은 하나님께로 돌아가야 하고,하나님 중심의 사고,하나님 중심의 삶으로 전환해야만 한다.이제는 본연의 청지기로 돌아가야 하는 시간이 된 것
) 문해연, 앞의 책, pp.50-51
이다.
C.창조 보전을 위한 노력
인간이 하나님의 형상으로서,하나님의 대리자로서 모든 만물을 잘 가꾸고 돌보아야할 책임이 있다는 것을 우리는 이미살펴 보았다.하나님의 창조 사역을 이땅 위에서 계속해야하는 청지기로서,하나님의 창조의 사역을 완성해야할 하나님의 동반자로서 인간이 해야할 일은 무엇일까?
우리는 새로운 생명운동을 전개해 나가야 한다.이미 이러한 움직임은 1983년 캐나다 뱅쿠버에서 열렸던 세계교회협의회(WCC)의 6차 대회에서 시작된 JPIC(Justice, Peace, Integrity of Creation)운동을 통해, 1989년 서울에서 열렸던 세계 개혁 교회총회에서 창조의 보존(Integrity of Creation)을 중요 주제로 삼음으로 해서 이미 시작되었다.하나님의 창조 사역의 동역자로서 인간들은 책임감을 가지고 창조의 질서를 보존해 나가는 것 이것이 바로 생명운동이다.엄밀하게 말한다면 성경은 여러 가지의 생명운동으로 가득차 있는 책이다.예수의 사역은 모든 것이 생명운동이었다
) 위의 책, p.58
.모세의 출애굽도,예언자들의 애타는 외침도 결국은 생명운동이었다.생명의 근원이신 하나님의 풍성한 생명을 고통받는 인간들에게, 파괴되어가고 신음하고 있는 자연에게 전해주는 것이 생명운동이다.하나님의 대리자로 자연을 섬기고 잘 가꾸어야 하는 사명이 우리 인간들에게 있다.주님은 이 일을 위해 오늘도 우리를 부르고 있는 것이다.
결 론
이상에서 우리는 생태계가 파괴되어가는 모습과 그 원인을 살펴보았고,새로운 창조신학을 위해 창조에 관한 성경의 증언의 참된 의미에 대해 살펴보았다.
하나님께서 권능으로 창조하신 이 세상 만물은 하나님의 형상으로 지음받은 우리 인간들이 가꾸고 사랑하고 보전 해야할 우리의 이웃이다.이땅에 있는 하나님의 대리인으로서, 완전한 창조 사역의 완성을 위한 하나님의 사역의 동역자로서 우리들은 하나님 중심적인 사고와 실천적인 노력들을 통해 창조질서를 보전해 가야할 것이다.
<참고 문헌>
출판 도서
1) 김명용, 현대의 도전과 오늘의 조직신학 (서울:장신대출판부,1997)
2) 고용수, 만남의 기독교 교육 사상 (서울:장신대출판부,1993)
3) 김균진, 생태학의 위기와 신학 (서울:대한기독교서회, 1991)
4) 이정배 편저, 생태학과 신학:생태학적 정의를 향하여 (서울:종로서적, 1989)
학위논문
1) 손병렬, "창조질서의 보전을 위한 교회의 새로운 과제" (장신대 신대원, 1991)
2) 문해연, "생태학적 위기에 대한 새로운 창조신학의 모색" (장신대 신대원, 1993)
3) 김은득, "창조질서 보전에 관한 고찰"(서울신대 대학원,1991)
잡지 기사
1) 김영한, "개혁주의 생태신학,어떻게 할 것인가" 목회와 신학 51호, 1993년 9월호
2) 목창균, "생태학적 신학과 창조신학" 목회와 신학 38호, 1992년 8월호
3) 김명용, "전통적 창조신학과 새로운 창조신학" 교육교회 204호, 1993년 7월
4) 강사문, "창세기 1장 26-28절의 생태신학적 이해" 이종성박사 고희 기념 논문집 (서 울:대한기독교서회,1992)
5) 황승룡, "개발 이데올로기와 창조질서 보존" 목회와 신학, 1993년 9월호
6) 윤철호, "환경문제에 대한 교회적 대응" 교육교회, 204호, 1993년 7월호
7) 임창복, "창조 환경 보존을 위한 교회교육" 교육 교회, 204호, 1993년 7월호
호세아 선지자는 이스라엘 백성들에게 하나님께로 돌아가자(호 6:1)고 외쳤다.이런 외침은 모든 선지자들의 음성이었고,수 많은 하나님의 일꾼들의 한결같은 호소였다.이 자연과 역사의 주인공 이신 하나님
) 위의 책, p.211
께로 돌아가야 한다.신명기 기자는 "하늘과 모든 하늘의 하늘과 땅과 그 위의 만물은 본래 네 하나님 여호와께 속한 것(신 10:14)"이라고 말한다.시편의 기자는 "땅과 거기 충만한 것과 세계와 그중에 거하는 자가 다 여호와의 것이로다(시 24:1)"라고 선포하고 있다.하나님의 지으신 세계를 지키고 가꾸는 청지기로 부름 받았던 우리 인간들은 그동안 주인인 척하며 살아왔던 것이다.이제는 하나님의 주인되심을 인정해야한다.이제는 하나님 중심의 사고로 전환해야 한다.예수 그리스도로 하나님과 화해를 경험한 우리들은 하나님께로 돌아가야 하고,하나님 중심의 사고,하나님 중심의 삶으로 전환해야만 한다.이제는 본연의 청지기로 돌아가야 하는 시간이 된 것
) 문해연, 앞의 책, pp.50-51
이다.
C.창조 보전을 위한 노력
인간이 하나님의 형상으로서,하나님의 대리자로서 모든 만물을 잘 가꾸고 돌보아야할 책임이 있다는 것을 우리는 이미살펴 보았다.하나님의 창조 사역을 이땅 위에서 계속해야하는 청지기로서,하나님의 창조의 사역을 완성해야할 하나님의 동반자로서 인간이 해야할 일은 무엇일까?
우리는 새로운 생명운동을 전개해 나가야 한다.이미 이러한 움직임은 1983년 캐나다 뱅쿠버에서 열렸던 세계교회협의회(WCC)의 6차 대회에서 시작된 JPIC(Justice, Peace, Integrity of Creation)운동을 통해, 1989년 서울에서 열렸던 세계 개혁 교회총회에서 창조의 보존(Integrity of Creation)을 중요 주제로 삼음으로 해서 이미 시작되었다.하나님의 창조 사역의 동역자로서 인간들은 책임감을 가지고 창조의 질서를 보존해 나가는 것 이것이 바로 생명운동이다.엄밀하게 말한다면 성경은 여러 가지의 생명운동으로 가득차 있는 책이다.예수의 사역은 모든 것이 생명운동이었다
) 위의 책, p.58
.모세의 출애굽도,예언자들의 애타는 외침도 결국은 생명운동이었다.생명의 근원이신 하나님의 풍성한 생명을 고통받는 인간들에게, 파괴되어가고 신음하고 있는 자연에게 전해주는 것이 생명운동이다.하나님의 대리자로 자연을 섬기고 잘 가꾸어야 하는 사명이 우리 인간들에게 있다.주님은 이 일을 위해 오늘도 우리를 부르고 있는 것이다.
결 론
이상에서 우리는 생태계가 파괴되어가는 모습과 그 원인을 살펴보았고,새로운 창조신학을 위해 창조에 관한 성경의 증언의 참된 의미에 대해 살펴보았다.
하나님께서 권능으로 창조하신 이 세상 만물은 하나님의 형상으로 지음받은 우리 인간들이 가꾸고 사랑하고 보전 해야할 우리의 이웃이다.이땅에 있는 하나님의 대리인으로서, 완전한 창조 사역의 완성을 위한 하나님의 사역의 동역자로서 우리들은 하나님 중심적인 사고와 실천적인 노력들을 통해 창조질서를 보전해 가야할 것이다.
<참고 문헌>
출판 도서
1) 김명용, 현대의 도전과 오늘의 조직신학 (서울:장신대출판부,1997)
2) 고용수, 만남의 기독교 교육 사상 (서울:장신대출판부,1993)
3) 김균진, 생태학의 위기와 신학 (서울:대한기독교서회, 1991)
4) 이정배 편저, 생태학과 신학:생태학적 정의를 향하여 (서울:종로서적, 1989)
학위논문
1) 손병렬, "창조질서의 보전을 위한 교회의 새로운 과제" (장신대 신대원, 1991)
2) 문해연, "생태학적 위기에 대한 새로운 창조신학의 모색" (장신대 신대원, 1993)
3) 김은득, "창조질서 보전에 관한 고찰"(서울신대 대학원,1991)
잡지 기사
1) 김영한, "개혁주의 생태신학,어떻게 할 것인가" 목회와 신학 51호, 1993년 9월호
2) 목창균, "생태학적 신학과 창조신학" 목회와 신학 38호, 1992년 8월호
3) 김명용, "전통적 창조신학과 새로운 창조신학" 교육교회 204호, 1993년 7월
4) 강사문, "창세기 1장 26-28절의 생태신학적 이해" 이종성박사 고희 기념 논문집 (서 울:대한기독교서회,1992)
5) 황승룡, "개발 이데올로기와 창조질서 보존" 목회와 신학, 1993년 9월호
6) 윤철호, "환경문제에 대한 교회적 대응" 교육교회, 204호, 1993년 7월호
7) 임창복, "창조 환경 보존을 위한 교회교육" 교육 교회, 204호, 1993년 7월호
추천자료
[정보화시대][행정환경][행정개혁]정보화 시대의 행정환경 변화와 행정개혁 추진 방향 심층 ...
[발명교육][외국의 발명교육 사례][발명][창조성][창의성][학교교육]발명교육의 필요성, 발명...
짝수CH+부교재 - 성공전술과 면접스킬(박재호교수님) 족보+강의컨텐츠+부교재(창조의 심리학)-
[아동복지]아동의 발달적 특성과 복지환경의 관계를 설명하고, 복지환경의 중요성에 대해 논...
[경영전략]화장품 산업 아모레퍼시픽 외부환경, 핵심역량, 외부환경분석, 내부환경분석, 비젼...
글로벌 환경 변화와 마케팅 (단수산업,소프트산업,글로벌마케팅,글로벌환경변화,글로벌화,한...
내부환경분석,기업의내부능력분석,닌텐도내부환경분석,LG전자내부환경분석,애플내부환경분석
아들러 Alfred Adler (생애, 개인심리학, 인간관, 열등감과보상, 우월성, 생활양식, 창조적자...
[경영학의 이해] 경영환경 - 경영환경의 개념, 일반 환경요인, 우리나라의 연령별 인구구조...
보육학개론 - 유아에게 놀이의 중요성, 놀이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성, 연령, 가정환경, 교육...
기업의 과업환경_ 과업환경의 특성, 경쟁환경, 기술환경
경영통제와 혁신경영 (경영통제, 기능경영자의 업무활동, 창조적 혁신경영).ppt
[원서번역] Social Work Practice - A Generalist Approach A Generalist Approach (저자- Lo...
[국제경제환경론 공통] 다민족 시대의 문화적 환경의 중요성에 대하여 논함 : 문화적 환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