요트선수들의 정신력 요인에 관한 연구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Ⅰ. 서 론

Ⅱ. 연구방법

Ⅲ. 결과 및 논의

Ⅳ. 결과 및 제언

참고문헌

본문내용

행된 연구(남: 17.2, 여:17.9)와 탁구선수들 대상으로 수행된 연구(남: 21.12, 여 :19.68)와 송은섭과 강신형에 의하여 검도선수들을 대상으로 수행된 연구 (고교 :21.0)보다도 높은 결과이다. 이러한 사실은 경기에서 승리하려는 의지와 자신의 종목에서 성공하려는 의욕이 높은 수준의 태도조절을 보이기 때문이라고 생각된다. 태도조절 능력이란 선수들의 사고 습관, 훈련에 임하는 자세 등을 반영한 것으로, 태도조절 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긍정적, 부정적 태도를 구별할 수 있는 능력을 키우도록 하며 모범적인 선수의 태도를 배우도록 하는 방법 등을 활용하여야 할 것이다.
본 연구에서 수집된 자료들을 분석한 결과를 종합하여 보면 일반적으로 요트선수들은 각성조절, 주의조절에서 낮은 수준을 나타냈다. 반면에 자신감, 시각 및 이미지, 동기수준, 긍정적 에너지, 태도조절 능력은 상대적으로 높은 것으로 드러났다. 모든 정신력 요인에서 고교선수와 대학 및 일반선수들간에 동기 수준요인을 제외하고 차이가 일관성 있게 나타났다. 특히 각성조절, 주의조절, 시각 및 이미지 조절 요인에서는 많은 차이를 보이고 있다. 대체적으로 고등학교 선수들이 대학 및 일반선수들에 비하여 현저하게 낮은 정신력 수준을 나타냈다.
특히 선수로서 성공을 거두려는 의욕과 자기 종목에 대한 즐거움, 기쁨 등과 같은 긍정적인 요인은 좋은 반면, 경기전이나 경기중에 느끼는 불안과 스트레스 또한 노여움, 좌절등과 경기자체에 대하여 계속적으로 정신적인 초점을 유지할 수 없는 광의적인 주의조절 능력 부족은 운동수행에 좋지 않은 영향을 줄 것으로 사료된다.
각성 조절 능력과 주의조절능력의 불균형은 자신의 실력이나 심리적 상태를 넘어서는 의욕으로 경기상황에서 과도한 긴장을 유발하여 경기력을 저하시키며 성공이나 승리를 위해서 반칙이나 약물복용 등과 같은 비스포츠맨적인 행동도 유발시킬 수도 있다고 판단된다. 따라서 요트선수들은 경기수행에 필요한 심리적 기술을 강화시키기 위한 훈련을 체계적으로 실시하여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Ⅳ. 결과 및 제언
1. 결 론
요트선수들의 집단별 정신력 수준을 파악하기 위하여 고등학교선수 48명, 대학 및 일반 선수 52명을 대상으로 정신력 수준을 검사하였다. 각 요인을 집단별로 분석하여 얻은 결론은 다음가 같다.
1) 정신력의 7개 요인중에서 각성조절, 주의조절 요인이 15~18점 대로 매우 낮게 나타났다.
2) 고등학교 선수들과 대학 및 일반선수들의 시각 및 이미지, 동기수준, 긍정적 에너지, 태도조절은 비교적 높은 수준을 보였고 동기수준을 제외하고 모든 요인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는 젓으로 나타났다.
2. 제 언
1) 실제 시합에서 경기력에 직접적인 영향이 있는 각성조절과 주의조절 수준이 매우 낮제 나타난 것은 경기력 향상에 매우 좋지 않은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사료된다. 따라서 현장 지도자들은 경기력 향상을 위해 선수들을 지도함에 있어 반복적인 신체훈련과 함께 정신력 특히 각성조절과 주의조절 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프로그램을 적용해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2) 본 연구의 대상은 선수층이 제한되어 있어 고등학교 선수와 대학 및 일반 선수들로 국한시켰는데 추후 연구에서는 성별 및 기능별로 대상을 더욱 확대, 세분화 하여 선수들에게 이상적인 모델을 제시할 필요가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참고문헌
김승철, 하형주(1995). 유도선수들의 정신력 요인에 관한 연구. 한국스포츠 심리학회지. 제6권 제2호, 101-110.
이강헌, 이에리사(1997). 탁구 국가대표 후보선수와 일반선수들의 정신력분석검사. 경남체육학회지. 제 2권 2호, 15-2.
송은섭, 강신형(1995). 검도 선수들의 정신력 요인에 관한 연구. 우석대학교 체육과학 연구소 논문집, 제 2호, 15-28.
Loehr. J.E.(1982). Athletic Excellence : Mental Toughness Training for Sports. Denver: Colorado. Forum Publishing Company.
Suinn. R.M.(1980). Psychology in Sports: Methods and Applica- tions. Burgess Publishers Company.
ABSTRACT
A Descriptive Study of Yacht Player`s Mental-Toughness
Song, Eun-Seob
This Study examined the relations ship among Mental Toughness (self-confidence, Arousal control, Attitude control, Visualization and Imagery control, Motivation positive Energy, Attitude control) for Yacht Players.
The Mental Toughness was measured by MTT(Mental Toughness Test) Which was developed by Loeher(1982).
Subjects(n=100)consist of high school(48), university and general(52) player.
Each player`s mean and standard deviation of mental Toughness Test were calculated T-Test were used for statistical analysers.
1. The results are followings Arousal control, attention control was low (m=16~19).
2. The level of Self-Confidence, Visual & Imagery control was very nearly high, especially self-confidence Visual & Imagery control, Positive energy Attitude control was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class level (high, university and general).
  • 가격1,300
  • 페이지수10페이지
  • 등록일2002.10.19
  • 저작시기2002.10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207259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