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일에 관한 설문조사
본 자료는 6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해당 자료는 6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6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1. 조사목적
통일문제에 대한 중·고교생들의 의견을 수렴하여 통일교육정책 추진에
필요한 사항을 도출하는 한편, 통일교육의 실효성을 고양하기 위함

2. 조사기간 : 2002. 6월

3. 조사대상 : 2002 중·고교생 통일교육 참여 중·고등학생

4. 분석대상 : 취합된 설문지중 유효 설문지 1,400부를 표본추출하여
(학교별·지역별) 자체분석
(서울/인천/경기/강원 420부, 대전/충청 230부, 광주/전라 290부,
대구/경북 200부, 부산/울산/경남 260부)

5. 조사내용
o 통일관, 통일의지, 통일이후 미래상
o 북한실상 및 북한주민에 대한 견해
o 대북정책에 대한 견해
o 학교통일교육 등

본문내용

터넷 채팅
②예술,
체육활동
③학술,
문예활동
④유적답사,
수학여행
전체
44.9
14.4
4.9
34.7
중학생
48.5
12.9
5.2
32.7
고등학생
40.4
16.8
4.5
38.4
12. 학교 통일의 문제점
학교에서 받고 있는 통일교육의 문제점은 무엇이라 생각하나요?
구분
①관심이 부족하다
②자료가 부족하다
③시간이 부족하다
④선생님의 설명이 충분하지 않다
⑤내용이 어렵다
⑥기타
전체
55.4
44.5
27.1
23.1
21.5
8.0
중학생
58.1
43.0
30.4
22.6
23.7
8.8
고등학생
51.5
46.6
22.4
23.8
18.2
6.7
13. 통일교육 내용중 가장 배우고 싶은 것
통일교육 내용중 가장 배우고 싶은 것은 무엇인가요?
구분
①북한의 실상
②남북한의 비교
③통일의 필요성,
당위성
④국내외 정세
⑤우리정부의
대북정책
⑥기타
전체
73.1
38.8
27.4
22.2
11.1
5.2
중학생
70.1
41.0
32.1
18.9
11.7
6.8
고등학생
77.2
35.6
20.7
26.9
10.2
3.0
14. 민주평통의 '통일교육'프로그램
민주평화통일자문회의 주최 '통일교육'프로그램에 대해 어떻게 느꼈나요?
구분
①매우
유익했다
②대체로 유익한편이다
①+②
③별로 유익하지 않은 편이다
④전혀 유익하지 않다
③+④
전체
9.3
48.4
57.7
30.9
9.7
40.6
중학생
12.2
50.9
63.1
26.9
8.6
35.5
고등학생
5.2
45.7
50.9
37.5
11.6
49.1
III. 분석 및 평가
중·고생 통일관
o 조사에 참여한 중·고등학생중 58.5%만이 통일문제에 관심이 있고, 41.4%는 관심이 없다고 응답, 통일문제에 대해 낮은 관심도를 보임
o 남북한 통일에 대해서는 통일후 남북경제의 차이로 북한지역을 지원해야
하므로 통일을 원하지 않는다는 의견(34.3%)보다 그렇지 않다(65.7%)는
의견이 우세하여, 상당수의 청소년이 통일후 북한지역을 지원하게 되더라도 통일을 원하는 것으로 나타남.
o 통일의 진행속도에 대해서는 '점진적으로 이루어져야 한다'는 응답이 가장
높고(37.4%), '가능한 빨리 이루어져야 한다'(27.4%)와 '반드시 이룰 필요는
없으며 현재의 상태가 좋다'는 의견(23.9%)이 비슷하게 나옴
- 반드시 통일을 이룰 필요는 없고, 현재의 상태가 좋다는 의견이 지난해
35.8%에 비해 23.9%로 줄어 청소년들의 통일의지가 지난해에 비해 높게
나타남
* 『중·고교생 통일문제 설문조사』, 민주평통, 2000. 12월, 중고생 1,000명
- 통일과정의 속도에 대해서, 중학생은 가능한 빨리 이루어져야 한다는
의견(35.0%)이 우세한 반면, 고등학생의 경우는 점진적으로 이루어져야
한다는 의견이 우세함(46.9%)
o 또한, '통일이 되면 경제적으로 풍요한 선진강국이 될 것인가'라는 질문에
59.5%가 동의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나, 지난해 12월 조사와 비교 다소 증가하였음(50.3% 59.5%)
- 이는 통일이후의 미래상에 대한 청소년들의 인식이 긍정적으로 변모하고
있음을 보여주고 있음
북한에 대한 견해
o 상당수의 응답자(63%)가 '북한실상에 대해 알지 못하고 있다'고 응답한 반면, 북한주민을 같은 동포로 생각하느냐에 대해서는 64.4%가 같은 동포로 생각한다고 응답함
- 중학생의 60.8%가 같은 동포로 인식하고, 고등학생의 69.5%가 같은 동 포로 생각한다고 응답해 고등학생의 경우가 더 높은 민족 동질감을 가 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남
우리정부와 미국의 대북정책에 대한 견해
o 우리 정부의 대북 햇볕정책에 대해서는 공감한다는 의견이 65.4%이나, 미국 부시행정부의 대북정책에 대해서는 56.3%가 공감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남
- 핵, 미사일 무기의 개발중단을 강하게 요구하는 미국의 대북정책에 대하 여 공감한다는 의견도 43.3%로 비교적 높게 나타난 것은, 학생들의 안보 의식이 반영된 것으로 보임
o 인도적 차원의 대북지원에 대해 현재보다 규모는 줄이되 지속해야 한다는
의견이 41.5%이고, 현 수준에서 지속해야 한다는 의견이 32.1%로 대북지원 에 대해 73.6%가 찬성함
- 반면 북한주민에게 실질적 도움이 안되므로 전면 중단해야 한다는 의 견도 20.6%로 나타나 대북지원의 실효성에 대해 우리 사회에서 일고 있는 비판적 의견을 수용한 것으로 보임
o 금강산으로 수학여행을 가는 것에 대해 대다수의 학생들(81.8%)이 찬성하 고, 특히 44.7%의 학생들이 적극 찬성함
- 청소년을 대상으로 실시한 올 6월의 온라인 여론 조사에서도 판문점 (18.9%)이나 땅굴(16.6%)등의 분단현장 견학보다는 금강산 방문(48.5%)을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남.
*『청소년 통일의식 조사』, P&P 리서치, 2002. 6월, 전국 중고생 1,200명
o 남북한 청소년 교류가 실현될 경우 참여하고 싶은 활동으로는 편지교환, 인터넷 채팅이 44.9%로 가장 높게 나타났고, 다음으로 유적답사·수학여행이 34.7%, 예술·체육활동이 14.4%의 순으로 나타남
학교 통일교육에 대한 견해
o 학교에서 받고 있는 통일교육의 문제점으로는 스스로의 관심부족 원인이 55.4%이고, 그외 자료가 부족하다(44.5%), 시간이 부족하다(27.1%), 선생님의 설명이 충분하지 않다(23.1%), 내용이 어렵다(21.5%)는 의견순으로 통일관련 정보제공이 교사, 학생 모두에게 충분하지 않음을 보여줌
- 통일교육에 관심부족이나 기타의견의 '지루하다'는 응답 등은 여전히 통일 교육이 학생들의 실생활과 동떨어져 스스로 흥미를 유발시키지 못함을 나 타냄
o 통일교육 내용중 가장 배우고 싶은 것으로는 북한의 실상이 73.1%로 가장 높았으며 남북한의 비교(38.8%), 통일의 필요성,당위성(27.4%), 국내외 정세(22.2%), 우리정부의 대북정책(11.1%), 기타(5.2%)순으로 응답함
민주평통 실시 통일교육에 대한 견해
o 민주평통 실시 '통일교육'프로그램에 대해서는 유익했다는 긍정적 의견이 57.7%인 반면, 유익하지 않다는 의견도 40.6%로 통일교육 프로그램의 내실을 다질 필요성이 있음***
  • 가격2,300
  • 페이지수18페이지
  • 등록일2002.10.21
  • 저작시기2002.10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207642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