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I. 선교와 교회개척
II. 교회개척에 대한 역사적 교훈
III. 제안
IV. 한국교회의 타문화권
II. 교회개척에 대한 역사적 교훈
III. 제안
IV. 한국교회의 타문화권
본문내용
교회(청지기직)
재정적자립 없이 자치는 실제적으로 힘들다. 재정적자립은 항상,현장수준으로 시작해야 한다. 경제적 수준이 향상된 후에 실천한다는 계획은 성사되기 어렵다. 어렵지만 그것이 교회를 건강하게 육성하는 방법이다.
c. 자전하는 교회(전도훈련과 실천)
교회는 처음부터 스스로 전도하는 교회가 되어야 한다. 예수를 믿고 바로 전도하는 교회로 훈련시켜 나가야 한다. 처음부터 전도하지 않는 교회를 후에 전도하게 하는 것은 매우 어렵다.
4. 모델(한국교회)
a.한국교회는 1890년에 네비우스가 3자원칙을 소개해준 뒤에 선교사들이 그의 원리를 적용하려고 노력했는데 다른 2가지 원칙에 비해 잘 적용된 편은 아니었어도(기간), 이미 자치단계에 이르렀다.
b.이 원리는 처음부터 강행되었다. 예를 들면, 평양에서 전도한 마포삼열은 미리 평양의 요지를 구입해 두었다가 후에 교회를 세우도록 했는데 그때마다 교회에 땅을 구이바도록 하였다. 다만, 자기가 산값만 받고 한국교회에 넘겨주어 한국교회로 하여금 자립하는 정신을 키웠다.
c.성경공부와 사경회 등을 통하여 전도의 사명과 열심을 가르치고 주입시켰다. 또한 세례문답 때에도 전도하는지 여부를 묻는 일도 있었다. 개인전도, 축호전도,노방전도 및 문서전도를 통하여 꾸준히 전도하는 교회로 육성되었다.
IV. 한국교회의 타문화권
선교는 특히 자립하는 교회개척에 큰 성과를 거두지 못하고 있다. 무비판적인 동정이나 선교사 업적 위주의 사역 때문에 적절한 곳에 적절한 방법을 따라 교회를 개척하지 못하고 돈으로 만은 교회들을 지원하는 것으로 개척과 선교를 대신하는 경우가 적지 않은데 그같은 안일하고 소모적인 교회개척과 선교는 지양되어야 한다.
II. 분과토의
2. 타문화권 선교전략
아시아 복음화를 위한 전략모색
안영권
아프리카 선교상황과 선교전략
강승삼
라틴 아메리카 선교 상황와 선교전략
김영화
이슬람권 선교방법
전재옥
소련선교실제와 문제점, 전망 그리고 과제
김영국
중국선교의 전망(1)
유전명
중국선교의 전망(2)
계화삼
북한선교전략(1)
유관지
북한선교전략(2)
문대연
유교와 조상숭배 문화권선교
이동주
정령숭배자들을 위한 복음화 전략
이재범
불교선교전략
신흥식
힌두(인도)복음화 선교전략
정윤진
힌두교 선교전략
이상진
타문화권에서의 교회개척
서정운
선교와 토착화
송용조
선교와 사회정의(해방신학 포함)
주진국
권위주의 정부하의 선교
정명헌
의료사역을 통한 선교전략
이명수
재정적자립 없이 자치는 실제적으로 힘들다. 재정적자립은 항상,현장수준으로 시작해야 한다. 경제적 수준이 향상된 후에 실천한다는 계획은 성사되기 어렵다. 어렵지만 그것이 교회를 건강하게 육성하는 방법이다.
c. 자전하는 교회(전도훈련과 실천)
교회는 처음부터 스스로 전도하는 교회가 되어야 한다. 예수를 믿고 바로 전도하는 교회로 훈련시켜 나가야 한다. 처음부터 전도하지 않는 교회를 후에 전도하게 하는 것은 매우 어렵다.
4. 모델(한국교회)
a.한국교회는 1890년에 네비우스가 3자원칙을 소개해준 뒤에 선교사들이 그의 원리를 적용하려고 노력했는데 다른 2가지 원칙에 비해 잘 적용된 편은 아니었어도(기간), 이미 자치단계에 이르렀다.
b.이 원리는 처음부터 강행되었다. 예를 들면, 평양에서 전도한 마포삼열은 미리 평양의 요지를 구입해 두었다가 후에 교회를 세우도록 했는데 그때마다 교회에 땅을 구이바도록 하였다. 다만, 자기가 산값만 받고 한국교회에 넘겨주어 한국교회로 하여금 자립하는 정신을 키웠다.
c.성경공부와 사경회 등을 통하여 전도의 사명과 열심을 가르치고 주입시켰다. 또한 세례문답 때에도 전도하는지 여부를 묻는 일도 있었다. 개인전도, 축호전도,노방전도 및 문서전도를 통하여 꾸준히 전도하는 교회로 육성되었다.
IV. 한국교회의 타문화권
선교는 특히 자립하는 교회개척에 큰 성과를 거두지 못하고 있다. 무비판적인 동정이나 선교사 업적 위주의 사역 때문에 적절한 곳에 적절한 방법을 따라 교회를 개척하지 못하고 돈으로 만은 교회들을 지원하는 것으로 개척과 선교를 대신하는 경우가 적지 않은데 그같은 안일하고 소모적인 교회개척과 선교는 지양되어야 한다.
II. 분과토의
2. 타문화권 선교전략
아시아 복음화를 위한 전략모색
안영권
아프리카 선교상황과 선교전략
강승삼
라틴 아메리카 선교 상황와 선교전략
김영화
이슬람권 선교방법
전재옥
소련선교실제와 문제점, 전망 그리고 과제
김영국
중국선교의 전망(1)
유전명
중국선교의 전망(2)
계화삼
북한선교전략(1)
유관지
북한선교전략(2)
문대연
유교와 조상숭배 문화권선교
이동주
정령숭배자들을 위한 복음화 전략
이재범
불교선교전략
신흥식
힌두(인도)복음화 선교전략
정윤진
힌두교 선교전략
이상진
타문화권에서의 교회개척
서정운
선교와 토착화
송용조
선교와 사회정의(해방신학 포함)
주진국
권위주의 정부하의 선교
정명헌
의료사역을 통한 선교전략
이명수
추천자료
세계선교 동향과 한국에 대한 선교정책
전문인 선교 -전문인 선교사의 탈진
역사 속에 나타난 교회사회사업
[선교][중국][일본][캐나다][미국][한국 선교][북한 선교]중국, 일본, 캐나다, 미국의 한국 ...
평양대부흥운동 100주년을 맞아 그 내력과 의미를 기술하고, 21세기 한국교회의 부흥전략을 ...
선교사들의 기독교 학교설립 과정과 배경 및 선교사 교육이 우리나라에 미친 긍정적, 부정적 ...
1970년대와 80년대의 교회성장
영산 조용기 목사의 교회성장
[개신교][선교][선교자유][가톨릭][천주교]개신교의 선교, 개신교의 자립, 개신교의 神(신)개...
조선족 선교 개론 - 길림성 선교
기독교 대한 감리회 교회력에 따른 목회계획 수립하기
인터넷 프로토콜 텔레비전을 이용한 한국 교회의 새로운 운영전략
북한문화의 이해와 선교 (북한 소개, 북한의 문화, 종교 문화, 생활 및 여가문화, 선교현황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