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외 선교전략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I.들어가는 말

II.몸 말
1.경건과 절제에 대한 역사적 고찰
2. IMF(International Monetary Fund)에 대한 이해
3. IMF시대 목회자의 의식변화
4. 한국교회 국내외 선교전략


III.나가는 말

본문내용

id., p.32.
넷째, 선교를 단지 교회의 악세사리로 생각하여 선전용으로 행하는 교회들이 많이 있다.
다섯째, 국내에 들락거리여 선교비만을 모금해 가는 선교사기꾼을 분별해내지 않았다.
교세와 헌금이 줄어들고 건축이 중단되고 교역자의 생활비를 제 때 주지 못하는 교회들이 늘어나고 있다. 그런 교회들에게 선교비는 부담스러울 수밖에 없다. 따라서 해외에 파송되어 있던 선교사들이 속속 귀국하는 일들이 벌어지고 있다. 이래서는 안된다. 이런 때일수록 한국교회는 선교에 힘써야 한다. 이제까지 잘못된 선교행정을 바로잡고 과감하게 구조를 조정하여 효과적인 선교를 수행해야 한다. 이번 기회에 선교단체의 기구와 조직을 재정비하여 단지 선교비를 모금하는 형식의 선교회는 해체시켜야 하고 선교사 선정과 파송에 신중히하여 과거처럼 아무것도 가진 것 없이 맨몸으로 선교지에 나갔던 선배 선교사들의 헝그리정신을 되살려야 한다
이제 국내적으로는 소외된 지역과 사람들에게 관심을 기울여야 할 것이다. 그동안 우리 한국교회가 소홀하게 되었던 갈릴리 사람들이 바로 주님이 누구보다도 사랑하고 구원하기 원하는 사람들이라는 사실을 우리 한국교회가 깨달아야 할 것이다. 이제까지 중산층의 교회가 되어 중산층과 자신을 일치시키려고 노력해오던 잘못을 회개하고 선한사마리아인의 모습으로 가난한 자와 상처받은 이의 모습으로 우리 가운데 계신 주님을 찾아가야 한다.
III.나가는 말
지금 우리는 국가부도의 위기 가운데 서 있다. 많은 사람들이 불안해 하고 있다. 어떤 이는 자살을 생각하며 교회당 십자가를 흘낏 뒤돌아 보고 있다. 아무 희망도 없어 보이는 사람들이 '그래도 어디엔가 희망이 있겠지?'라는 기대감을 가지고 교회당 문을 두드린다. 그리고 또 더 많은 사람들이 부유한 교회에 남아 있기 어려워서 교회를 떠나가고 있다. 과거 경건과 절제의 본이 되었던 한국교회가 이제 다시금 새롭게 태어나야 한다. 방황하는 사람들이 기댈수 있는 도덕성을 회복해야 한다. 삐뚤어진 정치계와 경제계에 비판의 소리를 발할 수 있을 만큼 가난해져야 한다. 모든 목회자들이 하나님 앞에 회개하고 자신의 잘못된 의식들을 개혁하고 그리스도의 지상명령인 선교에 순수하게 헌신해야 한다. 위기(危機)는 말 그대로 위험(危險)과 기회(機會)이다. 이것을 기회로 이용하여 다시금 순수하게 거듭날 수 있다면 한국교회와 한국은 희망이 있다. 이전보다 더욱 비약할수 있는 희망이 있는 것이다. 이제 우리 모두 다른 사람들 보다도 나 자신이 먼저 회개하여 한국교회의 훌륭한 유산인 경건과 절제의 정신을 실천하고 가난하고 약한 이들을 찾아가야겠다고 결심해야 할 때이다. 하나님이 우리를 구원해주시길 기도한다.
참고문헌
김송용, "한국교회의 절제운동 연구", 연세대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1990.
권태억 외, 근 현대 한국 탐사, 서울:역사비평사, 1994.
김왕식, "국제통화기금과 국제경제질서"
박충구, "IMF 위기에 직면한 교회의 사회윤리적 과제",월간기독교사상, 98.3.
이현상, "IMF시대와 세계선교", 월간고신, 98.3.

키워드

국내,   선교
  • 가격1,300
  • 페이지수7페이지
  • 등록일2002.10.22
  • 저작시기2002.10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207725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