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도덕과 윤리에 대한 정의
Ⅱ. 기독교 윤리란 무엇인가?
Ⅲ. 기독교 윤리와 일반 윤리와의 관계
Ⅳ. 기독교 윤리와 신학과의 관계
Ⅴ. 기독교 윤리와 성서
Ⅵ. 기독교 윤리의 요소
Ⅱ. 기독교 윤리란 무엇인가?
Ⅲ. 기독교 윤리와 일반 윤리와의 관계
Ⅳ. 기독교 윤리와 신학과의 관계
Ⅴ. 기독교 윤리와 성서
Ⅵ. 기독교 윤리의 요소
본문내용
의 문제
Gustafson의 네가지 기본 점을 다시 살펴보면,
첫째, 상황 분석
둘째, 신학적인 주장
셋째, 도덕적인 원리
넷째, 그리스도 안에 있는 기독교인의 삶의 본성
2. 도덕의 네 가지 기본 요소
Gustafson은 윤리의 네 가지 기본 점을 기독교의 도덕을 구성하는 네 가지의 요소 또는 도덕적 수준의 담화를 구성하는 네 가지의 주제로 묘사하고 있다.
첫째, 신학적인 기본적 신념
둘째, 도덕적 삶으로서의 인간의 실존
셋째, 상황의 분석
넷째, 원리와 규범과 가치와 규칙
위와 같은 네 가지 주제들은 일반적 인간의 경험에서 알게 되는 것이 아니며 윤리 분야의 문헌들을 분석함을 통하여 파악하게 된다고 본다.
3. 윤리를 구성하는 세 가지의 주제
1) 신학과 윤리에 나타난 윤리의 3요소 - Gustafson의 세 가지의 윤리적 주제
① 선의 본선의 문제 - 본선의 문제에 있어서 철학자들은 선을 인간의 존재에서 야기되는 것으로 그것에 대한 숙고를 통하여 선의 소재를 규명하려 하지만, 신학자들은 하나님과의 관계에서 규명하려 한다.(인간의 선은 하나님의 선에 전적인 의존적 관계)
② 도덕적 행위자에 대한 문제 - 행위자란 그의 주변 환경을 변화할 수 있는 인격적 동인이다.(동인-효과를 산출하는 힘을 가진 어떤 것, 행위자 - 어떤 결과를 발발하는데 유효한 힘, 어떤 결과를 야기하는 행함이나 행동)
기독교 윤리에 있어서 도덕적 행위자의 사고는 인간과 하나님과의 관계에 연관되어 있다. Gustafson은 하나님의 창조와 구원의 사역에 부합된 인간 이해를 하여야 한다. 기독교인은 그리스도 안에서 자유로운 사람이 되어 그 자유로 남을 사랑하게 되는 것이다.
③ 도덕적 행위의 판단 기준에 대한 것 - 기독교인의 행동의 판단 기준을 인간에 초점을 맞추어 고려하여서는 아니되며 하나님이 인간에게 하도록 요구하는 바의 석과 관련하여 이해하여야 한다고 하였다. 이러한 하나님이 명령하시는 바의 도덕적인 판단 기준들은 성경을 통하여 알려진다.
2) <그리스도와 도덕적 삶>에 나타남 윤리의 3요소
① Gustafson의 도덕적 담화로서의 질문은,
첫째, 가치와 선의 본선과 그것이 근거하는 소재는 무엇인가?.
둘째, 도덕적 행위자의 본성과 성격에 관한 것은?
셋째, 우리는 무엇을 하여야 하는가?
② 스위지
첫째, 왜 도덕적인가?
둘째, 누가 도덕적인가 ?
셋째, 무엇이 도덕적인가 ?
③. <윤리가 기독교적일 수 있는가>에서의 3요소
첫째, 하나님의 실제에 대한 경험 및 하나님에 대한 신념에 의해 인간이 도덕적이어야 하는 근 거가 제공된다.
둘째, 도덕적 행위자에 대한 문제
셋째, 준 거점에 대한 것이다.
a. 상황을 분석하는 기준으로서의 준 거점
b. 행동을 안내하는 원리나 가치를 추론해 내는 것을 위한 준 거점.
Gustafson은 목적론적 윤리와 의무론적 윤리, 혹은 규칙론적 윤리를 극복하고, 책임 윤리를 구상하지만 "지금 무엇이 일어나고 있느냐?"라는 질문을 하는 것보다 오히려 "하나님께서 인간으로 하여금 무엇이 될 수 있게 하고 또 되도록 요구하며 무엇을 할 수 있게 하고 또 하도록 요구하는가?."(What is God enabling and requiring me(us),to be and to do?)를 묻는다. 이것은 책임 윤리에서 응답을 하기 위하여 하는 질문보다는 보다 더 근본적으로 응답할 수 있는 인간의 위치를 분명히 하면서 상황에 대처하려는 응답을 하려는 것이다.
Gustafson은 기독교 윤리의 보편성과 특수성을 함께 강조하려 했고, 도덕에 대해 기독교적인 경험과 신념이 미치는 영향을 고려함으로서 기독교의 신앙이 일반 윤리를 변혁시킬 수 있음을 제시하고 있다.
Gustafson의 네가지 기본 점을 다시 살펴보면,
첫째, 상황 분석
둘째, 신학적인 주장
셋째, 도덕적인 원리
넷째, 그리스도 안에 있는 기독교인의 삶의 본성
2. 도덕의 네 가지 기본 요소
Gustafson은 윤리의 네 가지 기본 점을 기독교의 도덕을 구성하는 네 가지의 요소 또는 도덕적 수준의 담화를 구성하는 네 가지의 주제로 묘사하고 있다.
첫째, 신학적인 기본적 신념
둘째, 도덕적 삶으로서의 인간의 실존
셋째, 상황의 분석
넷째, 원리와 규범과 가치와 규칙
위와 같은 네 가지 주제들은 일반적 인간의 경험에서 알게 되는 것이 아니며 윤리 분야의 문헌들을 분석함을 통하여 파악하게 된다고 본다.
3. 윤리를 구성하는 세 가지의 주제
1) 신학과 윤리에 나타난 윤리의 3요소 - Gustafson의 세 가지의 윤리적 주제
① 선의 본선의 문제 - 본선의 문제에 있어서 철학자들은 선을 인간의 존재에서 야기되는 것으로 그것에 대한 숙고를 통하여 선의 소재를 규명하려 하지만, 신학자들은 하나님과의 관계에서 규명하려 한다.(인간의 선은 하나님의 선에 전적인 의존적 관계)
② 도덕적 행위자에 대한 문제 - 행위자란 그의 주변 환경을 변화할 수 있는 인격적 동인이다.(동인-효과를 산출하는 힘을 가진 어떤 것, 행위자 - 어떤 결과를 발발하는데 유효한 힘, 어떤 결과를 야기하는 행함이나 행동)
기독교 윤리에 있어서 도덕적 행위자의 사고는 인간과 하나님과의 관계에 연관되어 있다. Gustafson은 하나님의 창조와 구원의 사역에 부합된 인간 이해를 하여야 한다. 기독교인은 그리스도 안에서 자유로운 사람이 되어 그 자유로 남을 사랑하게 되는 것이다.
③ 도덕적 행위의 판단 기준에 대한 것 - 기독교인의 행동의 판단 기준을 인간에 초점을 맞추어 고려하여서는 아니되며 하나님이 인간에게 하도록 요구하는 바의 석과 관련하여 이해하여야 한다고 하였다. 이러한 하나님이 명령하시는 바의 도덕적인 판단 기준들은 성경을 통하여 알려진다.
2) <그리스도와 도덕적 삶>에 나타남 윤리의 3요소
① Gustafson의 도덕적 담화로서의 질문은,
첫째, 가치와 선의 본선과 그것이 근거하는 소재는 무엇인가?.
둘째, 도덕적 행위자의 본성과 성격에 관한 것은?
셋째, 우리는 무엇을 하여야 하는가?
② 스위지
첫째, 왜 도덕적인가?
둘째, 누가 도덕적인가 ?
셋째, 무엇이 도덕적인가 ?
③. <윤리가 기독교적일 수 있는가>에서의 3요소
첫째, 하나님의 실제에 대한 경험 및 하나님에 대한 신념에 의해 인간이 도덕적이어야 하는 근 거가 제공된다.
둘째, 도덕적 행위자에 대한 문제
셋째, 준 거점에 대한 것이다.
a. 상황을 분석하는 기준으로서의 준 거점
b. 행동을 안내하는 원리나 가치를 추론해 내는 것을 위한 준 거점.
Gustafson은 목적론적 윤리와 의무론적 윤리, 혹은 규칙론적 윤리를 극복하고, 책임 윤리를 구상하지만 "지금 무엇이 일어나고 있느냐?"라는 질문을 하는 것보다 오히려 "하나님께서 인간으로 하여금 무엇이 될 수 있게 하고 또 되도록 요구하며 무엇을 할 수 있게 하고 또 하도록 요구하는가?."(What is God enabling and requiring me(us),to be and to do?)를 묻는다. 이것은 책임 윤리에서 응답을 하기 위하여 하는 질문보다는 보다 더 근본적으로 응답할 수 있는 인간의 위치를 분명히 하면서 상황에 대처하려는 응답을 하려는 것이다.
Gustafson은 기독교 윤리의 보편성과 특수성을 함께 강조하려 했고, 도덕에 대해 기독교적인 경험과 신념이 미치는 영향을 고려함으로서 기독교의 신앙이 일반 윤리를 변혁시킬 수 있음을 제시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