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21세기 시설원예의 발전방향]
Ⅰ. 서 언
Ⅱ. 우리 나라의 시설원예 현황과 발전방향
Ⅲ. 21C 시설원예 발전방향
Ⅳ. 결론
[한국의 시설채소 현황과 전망]
1. 한국 시설채소 재배 추이
2. 한국 시설원예 발전의 특징과 과제
3. 한국 시설채소 전망
Ⅰ. 서 언
Ⅱ. 우리 나라의 시설원예 현황과 발전방향
Ⅲ. 21C 시설원예 발전방향
Ⅳ. 결론
[한국의 시설채소 현황과 전망]
1. 한국 시설채소 재배 추이
2. 한국 시설원예 발전의 특징과 과제
3. 한국 시설채소 전망
본문내용
기 때문임.
┌───────────────────────────────┐
50│ + │
재 │ │
배 40│ + 실제치(+) │
면 │ ※ │
적 30│ + ※ │
∩ │ ※ 예측치(※) │
천 20│ ※+ │
ha │ │
∪ 10│ ※+ │
│※+ │
└┴────┴────┴────┴────┴────┴────┴┘
1970 1975 1980 1985 1990 1995 2000
[그림 1] 시설채소의 재배면적 변화 및 전망
[표 2]는 시설채소의 종류별 재배면적 전망임. 과채류는 연평균 2%, 엽채류는 2.6%, 근채류는 3.2%씩 증가할 것으로 전망됨. 근채류가 향후 연평균 3.2%씩 가장 많이 증가하는 것으로 예측되었으나 실제로 최근에는 주요 채소류와 고급양채류 중심의 채소류의 재배면적이 소비량 증가에 따라 증가됨.
[표 2] 시설채소의 종류별 재배면적 전망
(ha)
───────────────────────────────
년 도 과 채 류 엽 채 류 근 채 류
───────────────────────────────
1989 20,663 5,920 2,391
1991 21,743 6,345 2,599
1993 22,750 6,732 2,788
1995 23,693 7,088 2,962
1997 24,580 7,426 3,122
1999 25,418 7,720 3,271
2001 26,210 8,004 3,411
───────────────────────────────
자료 : 한국농촌경제연구원, 2000년대 채소 수급전망 및
가격안정방안에 관한 연구
나. 수급동향
[그림 2]은 20년간 시설채소의 수급동향과 2001년까지 전망임. '85년을 기점으로 그 이전에는 예측치보다 실제치의 수급량이 적었으나 '85년 이후부터는 실제치가 예측치보다 커지고 있으며 작년의 경우에는 현격한 차이가 있음. 때문에앞에서 언급한 것처럼 시설채소류도 생산과 소비가 대중화된 품목 (과채류와 양채류중 양상추의 경우 등)은 적정수요량을 파악하여 생산자가 적정 생산량을 유지할 수 있는 식부면적조정을 통해 피해를 예방하여 경영이윤을 극대 화할 수 있는 생산계획을 수립해야 할 시점임. 이것은 우리가 연례행사처럼 겪는 마늘, 고추, 양파 등 주요 소득 작목등의 수급 및 가격파동의 경험적 교훈이기도 함.
┌───────────────────────────────┐
50│ + │
재 │ │
배 40│ + 실제치(+) │
면 │ ※ │
적 30│ + ※ │
│ ※ 예측치(※) │
천 20│ ※+ │
ha │ │
10│ ※+ │
│※+ │
└┴────┴────┴────┴────┴────┴────┴┘
1970 1975 1980 1985 1990 1995 2000
[그림 2] 시설채소의 재배면적 변화 및 전망
[표 3]은 주요 과채류의 1991∼2001년까지의 10년동안의 수급량및 재배면적의 전망치임. 이 자료는 과거의 일정한 자료를 전제로 추정한 것이기에 정확하게 100%맞게 재배된다고 할 수 없으나 전체적으로 주요과채류도 역시 생산과 소비가 증가하고 재배면적이 증가할 것으로 추정됨.
[표 3] 시설 과채류 수급량 및 재배면적 전망
(천톤, ha)
─────────────────────────────────────
오 이 참 외 수 박 토 마 토 딸 기
년도 ──────────────────────────────────
수급량 면적 수급량 면적 수급량 면적 수급량 면적 수급량 면적
─────────────────────────────────────
1991 95 3005 93 4685 115 4612 81 2076 76 5684
1993 103 3245 98 4953 129 5186 90 2227 86 6425
1997 118 3725 108 5436 157 6331 107 2531 107 7906
2001 133 4205 117 5861 186 7477 124 2834 128 9387
─────────────────────────────────────
자료 : KREI. 2000년대 채소수급전망 및 가격 안정방안에 관한 연구. 1989.
다. 양채류의 수급 및 재배동향
우리나라에서 본격적으로 양채류가 많이 생산, 소비된 것은 오래되지 않아서 정확한 자료를 기초하여 전망치를 얻어내기에는 어려우나 '90년도에 457ha이던 것이 1995년에는 약 700ha로 약 53%가 증가할 것으로 추정됨.
[표 4] 주요 양채류 수급량 및 재배면적 전망
─────────────────────────────────────
결구상추 적 채 샐 러 리 피 만 파세리
(양상추)
년도 ──────────────────────────────────
수급량 면적 수급량 면적 수급량 면적 수급량 면적 수급량 면적
─────────────────────────────────────
1991 4.7 185 2.5 90 1.7 59 1.0 43 0.4 27
1993 5.4 212 3.2 112 1.9 71 1.1 48 0.6 33
1995 6.1 240 3.8 134 2.2 82 1.2 52 0.7 39
─────────────────────────────────────
자료 : 한국농촌경제연구원, 2000년대 채소수급 전망 및 가격안정 방안에 관한 연구. 1989
[표 4]은 최근 소비가 늘고 있는 주요 양채류의 품목별 구급량및 재배면적의 1980년까지의 전만치임. 양상추(Head Lettuce)는 우리나라에서 서양 채소류 중 가장 많이 소비, 생산되고 있으며 '95년에는 240ha가 재배될 전망임. 샐러리(Ceiery)는 최근에 대표적인 다이어트 식품으로서 크게 인기가 있으나 재배기술이 아주 어려워서 생산량이 소비량에 못미치는 실정이다. 파슬리(Parsely)는 호텔경양식집, 특히 고급술집에서 소비로 '95년에는 약 40ha가 재배될 전망임. 피만(Sweet papper)은 약 53ha가 재배될 것으로 예측됨.
출처:
http://www.knrda.go.kr/TECH/cgi-bin/BC190403.htm
┌───────────────────────────────┐
50│ + │
재 │ │
배 40│ + 실제치(+) │
면 │ ※ │
적 30│ + ※ │
∩ │ ※ 예측치(※) │
천 20│ ※+ │
ha │ │
∪ 10│ ※+ │
│※+ │
└┴────┴────┴────┴────┴────┴────┴┘
1970 1975 1980 1985 1990 1995 2000
[그림 1] 시설채소의 재배면적 변화 및 전망
[표 2]는 시설채소의 종류별 재배면적 전망임. 과채류는 연평균 2%, 엽채류는 2.6%, 근채류는 3.2%씩 증가할 것으로 전망됨. 근채류가 향후 연평균 3.2%씩 가장 많이 증가하는 것으로 예측되었으나 실제로 최근에는 주요 채소류와 고급양채류 중심의 채소류의 재배면적이 소비량 증가에 따라 증가됨.
[표 2] 시설채소의 종류별 재배면적 전망
(ha)
───────────────────────────────
년 도 과 채 류 엽 채 류 근 채 류
───────────────────────────────
1989 20,663 5,920 2,391
1991 21,743 6,345 2,599
1993 22,750 6,732 2,788
1995 23,693 7,088 2,962
1997 24,580 7,426 3,122
1999 25,418 7,720 3,271
2001 26,210 8,004 3,411
───────────────────────────────
자료 : 한국농촌경제연구원, 2000년대 채소 수급전망 및
가격안정방안에 관한 연구
나. 수급동향
[그림 2]은 20년간 시설채소의 수급동향과 2001년까지 전망임. '85년을 기점으로 그 이전에는 예측치보다 실제치의 수급량이 적었으나 '85년 이후부터는 실제치가 예측치보다 커지고 있으며 작년의 경우에는 현격한 차이가 있음. 때문에앞에서 언급한 것처럼 시설채소류도 생산과 소비가 대중화된 품목 (과채류와 양채류중 양상추의 경우 등)은 적정수요량을 파악하여 생산자가 적정 생산량을 유지할 수 있는 식부면적조정을 통해 피해를 예방하여 경영이윤을 극대 화할 수 있는 생산계획을 수립해야 할 시점임. 이것은 우리가 연례행사처럼 겪는 마늘, 고추, 양파 등 주요 소득 작목등의 수급 및 가격파동의 경험적 교훈이기도 함.
┌───────────────────────────────┐
50│ + │
재 │ │
배 40│ + 실제치(+) │
면 │ ※ │
적 30│ + ※ │
│ ※ 예측치(※) │
천 20│ ※+ │
ha │ │
10│ ※+ │
│※+ │
└┴────┴────┴────┴────┴────┴────┴┘
1970 1975 1980 1985 1990 1995 2000
[그림 2] 시설채소의 재배면적 변화 및 전망
[표 3]은 주요 과채류의 1991∼2001년까지의 10년동안의 수급량및 재배면적의 전망치임. 이 자료는 과거의 일정한 자료를 전제로 추정한 것이기에 정확하게 100%맞게 재배된다고 할 수 없으나 전체적으로 주요과채류도 역시 생산과 소비가 증가하고 재배면적이 증가할 것으로 추정됨.
[표 3] 시설 과채류 수급량 및 재배면적 전망
(천톤, ha)
─────────────────────────────────────
오 이 참 외 수 박 토 마 토 딸 기
년도 ──────────────────────────────────
수급량 면적 수급량 면적 수급량 면적 수급량 면적 수급량 면적
─────────────────────────────────────
1991 95 3005 93 4685 115 4612 81 2076 76 5684
1993 103 3245 98 4953 129 5186 90 2227 86 6425
1997 118 3725 108 5436 157 6331 107 2531 107 7906
2001 133 4205 117 5861 186 7477 124 2834 128 9387
─────────────────────────────────────
자료 : KREI. 2000년대 채소수급전망 및 가격 안정방안에 관한 연구. 1989.
다. 양채류의 수급 및 재배동향
우리나라에서 본격적으로 양채류가 많이 생산, 소비된 것은 오래되지 않아서 정확한 자료를 기초하여 전망치를 얻어내기에는 어려우나 '90년도에 457ha이던 것이 1995년에는 약 700ha로 약 53%가 증가할 것으로 추정됨.
[표 4] 주요 양채류 수급량 및 재배면적 전망
─────────────────────────────────────
결구상추 적 채 샐 러 리 피 만 파세리
(양상추)
년도 ──────────────────────────────────
수급량 면적 수급량 면적 수급량 면적 수급량 면적 수급량 면적
─────────────────────────────────────
1991 4.7 185 2.5 90 1.7 59 1.0 43 0.4 27
1993 5.4 212 3.2 112 1.9 71 1.1 48 0.6 33
1995 6.1 240 3.8 134 2.2 82 1.2 52 0.7 39
─────────────────────────────────────
자료 : 한국농촌경제연구원, 2000년대 채소수급 전망 및 가격안정 방안에 관한 연구. 1989
[표 4]은 최근 소비가 늘고 있는 주요 양채류의 품목별 구급량및 재배면적의 1980년까지의 전만치임. 양상추(Head Lettuce)는 우리나라에서 서양 채소류 중 가장 많이 소비, 생산되고 있으며 '95년에는 240ha가 재배될 전망임. 샐러리(Ceiery)는 최근에 대표적인 다이어트 식품으로서 크게 인기가 있으나 재배기술이 아주 어려워서 생산량이 소비량에 못미치는 실정이다. 파슬리(Parsely)는 호텔경양식집, 특히 고급술집에서 소비로 '95년에는 약 40ha가 재배될 전망임. 피만(Sweet papper)은 약 53ha가 재배될 것으로 예측됨.
출처:
http://www.knrda.go.kr/TECH/cgi-bin/BC190403.htm
키워드
추천자료
장애복지시설유형과 분야(이용 . 수용시설 중심)
아동복지시설의 개념에 대해 알아보고 시온원의 시설현황 및 프로그램사업과 특징 및 보완점...
사회복지시설의 유형을 구분하고 그 중 하나의 시설 유형을 선택하여 운영현황을 작성
지역사회복지론-탈시설화에 대해 예를 들어 설명 시설보호와 재가보호를 비교하여 설명
노인의료복지시설의 정책, 현황, 노인의료복지시설의 개선방안
보육시설 유형에 따른 장단점을 쓴 후 보육시설 유형에 따른 보육교사의 근무환경 요건과 개...
시설의 사회화 즉 생활시설의 바람직한 개방화를 위한 방법에 대해 의견을 나누십시오.
[사회복지시설운영론] 사회복지시설에서의 인권옹호 방안
아동양육시설보호에 대하여(아동복지시설의 평가와 발전방향을 중심으로)
노인의료복지시설 중 요양시설의 특징과 의료적서비스의 보완이 필요하다고 생각되는 내용을 ...
아동복지시설의 필요성을 제시하고 아동복지시설의 한 유형을 들어 소개 및 사회적 역할을 설...
사회복지시설 평가가 시설종사자들에게 미치는 장점과 단점에 대한 자신의 입장에 대해 논하시오
보육학개론-보육시설의 유형을 비교하여 설명하고 그 중 한가지 보육시설 유형을 선택하여 장...
노인복지시설의 정의와 필요성, 노인복지시설의 유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