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애복지시설유형과 분야(이용 . 수용시설 중심)
본 자료는 4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해당 자료는 4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4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1. 장애복지시설의 발달과정
2. 장애인복지시설의 실태
3. 복지 서비스와 법인시설
4. 장애인 복지시설 종류
5. 외국의 직업재활시설
6. 장애인 복지시설의 현황
7. 장애인 생활시설 운영의 문제점
8. 장애인생활시설 평가의 원칙과 방향
9. 장애인복지관 이용자 실태분석
10. 장애별 시설이용상의 특성
11. 이용 조사 보고사례

참고문헌

본문내용

2 자료실 개선을 요구한 이용인들은 20대 자원봉사원이 가장 많았고, 대졸 출신의 요청도 높았으며, 자료실에 다양한 자료 확충, 대출용이를 위한 상주 전담원의 배치, 개방시간 연장, 공간확대 등을 지적했다.
3 교육실 개선을 요구한 이용인들은 냉방시설 부족, 공간협소 등을 지적했는데, 이곳을 이용하는 청각장애인과 자원봉사원들이 대부분이었다.
4 체력단련실 개선을 요구한 이용인들은 환경의 전면적 불만을 지적하여 특히, 기기의 부족, 고장, 냉난방 미비 등을 지적했다.
3 직원의 서비스 태도 및 전문성에 대한 이용인들의 만족도를 알아본 결과, 평균적으로 응답자의 94.5%는 직원서비스 및 전문성을 긍정적으로 보고 있었다. 하지만 직원의 문제해결능력에 대한 질문에 무응답율이 10.6%에 달했고, 전체 조사대상자 중 85%만 '보통이상'으로 답해, 직원들의 문제해결능력에 대한 확신이 없거나 불만을 느끼는 이용인도 15%정도 있었다.
4 청음회관에 대한 이용인들의 인지도 및 이용 서비스 항목을 알아본 결과,
1 응답자들은 청음회관 인지 경로에 개해, 주위의 소개나 자신의 의지로 수소문한 경우가 전체 응답자의 78.4%에 달해, 청음회관의 주체적인 홍보를 통한 인지가 미약한 것으로 나타났다.(향후 적극적인 서비스 홍보작업이 과제로 남음)
2 청음회관 서비스에 대해 60.6% 이상은 보통 이상의 인지도를 갖고 있었으나 서비스를 잘 모르거나 이용프로그램의 서비스를 모르는 이용인들도(30-40대 청각장애 여성의인지도가 낮음) 나타나 향후 기관 초기 이용인들에 대한 기초 상담 및 전체 프로그램 안내 서비스 강화가 과제로 남았다.
3 이용인들의 주 이용 서비스 항목을 살펴본 결과, 180명의 응답자들이(총 600건)가장 많이 참여한 프로그램은 시설이용(66건)이었고, 자료실이용(59건), 관내 수화교육 참여(50건), 청력검사 이용(41건), 계간 청음이용(40건), 보청기조정(35건), 자원봉사활동 참여(32건) 순이었다.
5 제공받는 서비스의만족도에 대해 알아본 결과,
1 청각장애인 욕구나 불만 서비스 반영도에 대해 응답자의 11.6%는 반영하지 못하는 것으로 인식하고 있었고, 연령별로는 20대, 이용인 중에는 청각장애인과 가족의 불만정도가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2 서비스 이용 및 프로그램 참여 즐거움에 대해서는 응답자의 96.3%가 만족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담당직원의 프로그램 및 과정 설명에 대해서도 97%가 만족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용하는 서비스 질의 만족도에 대해서도 95.2%가 대체적으로 만족하고 있었고, 불만족을 느끼는 경우는 연령별로 30대, 이용인 중에는 청각장애인이 다른 이용인들 보다 높게 나타났다.
3 문제해결이나 서비스 처리속도에 대해서는 응답자의 12.7%가 불만족스럽다고 인식했는데, 무응답율 12.8%까지를 감안한다면, 이용인들의 서비스 처리속도에 대한 불만족이 상당히 존재하고 있다고 파악된다.
4 청음회관 추천여부에 대해 응답자의80%는 추천의지가 있었고, 이용료에 대해서도 93% 이상이 보통 혹은 싸다고 인식하고 있었다. 또한 서비스 받는 시간에 대해서는 79.6%가 보통 이상으로 인식하고 있었다.
5 이용인들은 청음회관에 대한 건의사항에 대해 35%인 63명이 83건을 제시했다. 건의내용은 시설 개선이 32건으로 가장 많았고, 프로그램 개발에 18건을 지적했다.
※ 기관 이용인 욕구조사 결과에 따른 가장 시급한 과제를 지적해 보면
첫째, 시설환경 개선에 있어 이용인 편의 중심의 환경확충을 위한 방안모색이 요구된다.(1층 로비, 체력단련실, 교육실, 상담실의 경우 환경개선을 위해 공간의 확대 및 냉난방시설의 완비가 시급하다.)
둘째, 자료실 개선을 위해 저녁 이용인들을 위한 개방시간 확대(21:00까지), 공간확대, 전담요원 상주를 통한 자료안내 서비스강화, 자료검색시스템 구비, 신간 및 전문자료의 다양한 확충, 복사기 설치 등을 통해 자료실 이용인들의 편의 제공에 주력해야 한다.
셋째, 이용인들 다수는 기관의 교육프로그램 개발에 많은 욕구를 드러내고 있다.(신규 및 경력 자원봉사원, 외부 수화강사들을 대상으로 각 수준에 알맞은 체계적 봉사원 교육 프로그램을 계획해 실행하고, 기관으 주 클라이언트인 청각장애인을 대상으로 다양한 사회교육 프로그램(컴퓨터교육, 운전면허 필기 및 실기 교육, 취미교육, 생계관련 교육)을 개발 후 제공하기 위한 방안이 모색되어야 한다.)
넷째, 직업적 서비스, 정보제공 서비스 확대를 위한 방안이 모색되어져야 한다.(구인업체의 다양한 개발, 인터넷 검색 서비스의 확충, 다양한 재활정보지 제공 강화 등 신속한 정보제공과 취업안정을 위한 노력이 필요하다.)
마지막으로, 이용인 욕구조사 과정에서 나타난 응답자의반응에 대한 것이다. 조사의 목적이 청각장애인 클라이언트 중심의 서비스로의 접근을 위한 욕구파악 차원에서 실시되었던 만큼, 조사 결과에 따른 신속한 개선활동을 펼쳐 이용인들의 기관에 대한 긍정적 인식을 제고시키는 것이 필요하리라 본다.(청음회관의 프로그램은 http://www.chungeum.or.kr)
參 考 文 獻
김용득.유동철(1999), 한국 장애인의 복지의 이해, 인간과 복지
민정식(1990), 장애인의 재활과 복지, 삼육재활원
권도용(1996), 장애인 복지연습, 홍익제
남상만 외(1996), 장애인복지개론, 홍익제
나운환 외(1997), 비교장애인복지정책, 한국장애인재활협회
조성모 외3인(1997), 장애인 복지활동과 시설계획, 학문사
전용호(1997), 장애인복지론, 학문사
계간 社會福祉(2000.봄), 한국사회복지협의회
월간 복지동향(2000.11월), 나남출판
淸音(1999.겨울), 청음회관(한국청각장애인복지회)
http//www.mohw.go.kr
http://www.welfare.co.kr(사회복지종합 정보)
http://cosmos.kriss.re.kr
http://www.chungeum.or.kr
http://www.firstheart.org/study/index.htm
http://www.welfare.or.kr
http://www.ksrd.or.kr/
http://www.mohw.go.kr/

추천자료

  • 가격1,000
  • 페이지수14페이지
  • 등록일2004.03.11
  • 저작시기2004.0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244292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