간호질관리
본 자료는 1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해당 자료는 1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1. 간호 표준의 개발

2. 간호 질의 측정 및 평가의 접근방법

3. 간호평가 유형

4. 간호평가기준 설정지침

본문내용

법을 시범해 보인다.”
(5) 기준을 설정할 때는 통용되는 약자만을 쓴다.
- 보건의료 전문직내에서 통용되는 약자 외에 본인이 편의상 통용되는 약자가 아닌 약자를 임의로 쓸 경우 다른 사람이 알 수 없으므로 기준설정을 할 때 사용하지 않아야 한다.
(6) 행위에 대한 주어를 기술한다.
예)“PRN으로 드레싱을 교환한다.”
→ 누가 드레싱을 교환할 것인지 행위의 주체가 분명치 않다.
→“간호사는 PRN으로 드레싱을 교환한다.”- 책임소재가 분명해질 수 있다.
(7) 현실적이고 성취가능한 기준을 설정한다.
- 현실적으로 성취가능한 기준을 설정함으로써 적어도 그 기준에 의한 수행은 할 수 있도록 유도하는 것이 좋다.
(8) 기준은 긍정적인 형태로 기술한다.
- 부정의 부정은 긍정상태이므로 혼돈을 가져올 우려가 있으며 부정적 측면을 강조하면 피평가자가 은폐나 조작할 가능성이 커지므로 비효과적 통제가 될 우려가 있다.
예)“환자의 피부에 욕창이 발생되지 않는다.”
→ 한가지 합병증만 명시했으며 욕창이 발생되지 않는다고 해서 정상적인 피부상태일 수 는 없다.
예)“환자의 피부상태가 정상이다.”
→ 욕창뿐 아니라 색깔, 부종들의 건강한 상태를 의미하며 더 긍정적인 방향으로 생각할 수 있는 것이다.
(9) 독특한 경우보다 비슷한 문제를 가진 많은 대상자에게 적용할 수 있어야 한다.
- 한둘의 예외를 고려한 특수집단에서 적용되는 기준보다는 적용범위가 넓은 기준이 유효하다.
참고문헌
변창자 외, 간호관리학 총론, 수문사, 2002, p.576∼p.590
박성애 외, 간호관리, 현문사, 1998, p.156∼p.163
  • 가격700
  • 페이지수5페이지
  • 등록일2002.10.23
  • 저작시기2002.10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207973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