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770년대 영국 상황(범죄자 급증, 어린이 노동력 착쥐 등을 중심으로)
본 자료는 5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해당 자료는 5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5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1. 정치적인 상황
가. 프랑스혁명
나. 영국의 정치적 부패상

2. 사회 경제적인 상황
가. 농업혁명
나. 산업혁명
다. 노동자 계급과 빈민
라. 사법 및 행형(行刑)제도
마. 노예제도
바. 교육환경
사. 사회현상 - 음주, 도박, 스포츠

3. 종교-사상적 상황
가. 교회-성직자의 타락
나. 독일 경건주의(Pietism)의 영향
다. 이신론의 만연

본문내용

4년 "노예제도에 대한 생각"(Thoughts Upon Slavery)이라는 소책자를 씀으로써 노예 폐지 운동에 깊은 관심을 가지고 있음을 확인 시켰다.
39) John S. Simon, John Wesley and the Riligious Societies(London:Epworth Press, 1955), pp.151-152.
40) Wellman J. Warner, The Wesleyan Movement in the Industrial Revolution (NewYork:Russell&Russell, 1967), p .240. ;이 책은 18c 영국의 사회 전반의 관련문제에 대한 웨슬리와 웨슬리안 운동의 사회학적 접근과 사회윤리를 심도있게 다루고 있다.
41) Manfred Marquardt, p.110.
42) J. Wesley Bready, p.106.
43) Ibid., p. 102.
44) Ibid., p.103.
45) Manfred Marquardt, pp.112-113.
46) J. Wesley Bready, pp.141-142.
47) Manfred Marquardt, p.73.
48) Ibid., p.79.
49) 이원규, p. 3. W. E. H. Lecky, pp. 692-93.
50) 박권배, p.38. (박권배는 이 부분을 Dorthy Marshall에게서 인용한 것 같은데 각주에 인용 출처를 Dorthy Marshall, pp.248-249라고만 기록해 놓았다.)
51) J. Wesely Bready, p.147.
52) Earle E. Cairns, p.23을 박권배, p.39.에서 재인용.
53) J Wesley Bready, op. cit., pp. 145-146.
54) Ibid., p.50.
55) Ibid., p.156.
56) Ibid., pp.151-155.
57) 강근환, p.139. : Cf. W. H. Fitchett, Wesley and His Century(Toronto,1908), pp.139,140.
58) Ibid., p.143.
59) Ibid., p.139. : Cf. W. H. Fitchett, pp.40-141.
60) Ibid., p.143.
61) Paulas Scharpff, History of Evangelism(michigan, 1966). pp.64-65를
강근환, pp.143-144에서 재인용.
62) 박권배, pp.42-43. : Cf. J. Wesley Bready, pp.20-25.
63) John S. Simon, The Revival of Religion in England in the Eighteenth Century, p.104를 박권배, pp.44-45에서 재인용.
64) J. Wesley Bready, pp.55-56.
65) 이 모임은 후일 웨슬레에게 영향을 주어 그의 Holy Club 운영이나 메도디스트 운동의 '속회' 조직에 어떤 모양으로든 영향을 주었을 것으로 생각된다.
66) 김홍기, pp. 28-29.
67) 웨슬리와 독일 경건주의의 차이점에 대하여는 김홍기의 위의 책 [존 웨슬리 신학의 재발견] 30쪽을 보라.
가. 웨슬리는 루터의 노예의지론에 의한 '수동적 의와 경건'을 넘어 동방교부들의 영향을 받아 '복음적 신-인 협동설'을 주장했으며
나. 은총의 낙관주의 곧 원죄를 인정하지만 죄의 깊이보다는 은총의 놀이를 더욱 강조하는 의미로서, 죽기전에 지상에서 완전한 성화가 가능함을 말하고
다. 루터식의 '용서받은 죄인' 즉 낮선 손님같은 의, 전가된 의라는 사상보다 성화를 강조함으로써 하나님의 본성에 참여하고 그리스도의 형상을 이루는 의와 거룩함을 강조했으며
라. 사회적 행동과 참여를 강조하는 성화의 성육신화를 주장함으로서 독일 경건주의의 한계라고 할 수 있는 세상과 교회 혹은 개인이 분리되는 구별된 경건주의를 극복한 점이다.
68) 김홍기, p. 18.
69) Ibid.
70) 강근환, p.144. : Cf. W. H. Fitchett,, p.142.
71) Ibid.
72) J. Wesley Bready, p.41.
英國
英國의 死刑制度는 1780년경 그 절정을 이루어 매월 200명 이상의 死刑에 처해졌다고 한다. 또한 19세기 초에는 8-13세의 소년들에 대해서도 死刑을 선고 집행하기로 하여 死刑은 형벌의 중심을 이루었다. 그리고 그 집행방법으로 壓殺刑(Pressing to death), 火刑(Burning to death), 煮殺(Boiling to death), 斬首(Beheading), The Halifax Gibbet, The Scottish Maiden
) 正本亮, 死刑, 日本評論社, 1966, 172面 以下.
등이 행해졌다.
1925년에 Eric Roy Calvert가 死刑閉止를 위해 노력하였고, 그는 영국에 『死刑폐지전국협의회』가 설립되자 그 서기장에 취임한 후 신명을 바쳐서 死刑폐지 운동에 종사하였고, 死刑에 관한 세계각국의 자료를 수집하여 1927년 '20세기에 있어서의 死刑(Capital punishment in the Twentieth Century)'을 간행하여 死刑폐지를 주장하고 영국의회로 하여금 5년간의 死刑집행정지안을 인정케 하였으나 실현되지 못하였다. 1948년에는 노동당이 5년동안의 시험적 死刑폐지를 제안하여 하원을 통과하였으나 상원에서 부결되었다. 그러나 1955년 이후에는 실제로 死刑이 행해지지 않고 死刑선고가 되어도 모두 무기징역으로 감형되었다. 그 후 1957년 하나의 타협적 해결책으로 정부가 제시한 살인법(The Homiside Act)이 상.하 양원을 통과하였다.
그 후 1965년 마침내 死刑폐지법(The Murder Act, The Abolition of death penalty Act)이 상.하 양원을 통과하였다. 동법이 상하양원을 통과함으로써 8년동안 교수형 등의 제도를 유지하여 오던 것이 없어지게 되었고 19세기 초부터 있어온 영국의 死刑폐지운동이 결실을 맺게 되었다.
) 齊藤靜敬, 前揭書, 11-17面.
그 후 死刑復活法案이 여러차례 의회에 제출되었으나 그 때마다 부결되어 오늘날에 이르고 있다.
  • 가격2,300
  • 페이지수17페이지
  • 등록일2002.10.24
  • 저작시기2002.10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208016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