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육해 오시는 하나님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본문내용

인정, 신뢰, 의뢰하는 것이 중요하다.
4)성령의 현존에 대한 인식하에 집단의 역동성을 교육의 과정으로 산정해야 한다. 진정한 교사는 성령이고 agent로 교사가 서있긴 하나 교사역시 가르치면서 배우는 것이다.. 일반교육은 가르치면 그것으로 끝이다. 가르치면 그것으로 배움을 얻게 된다. 자기가 공부한 것을 이해하는 것과 이해한 것을 남에게 가르치는 것과는 다르다. 후자에 있어서 이해의 효율은 높다. 집단의 역동성을 활발히 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했는데, 석의한 말씀을 이해하는 것은 제한점이 있다. 서로 이야기하게 하고 배우게 한다. 남이 이해하는 것을 다시 들어보게 되면 배울것이 많다. 교사인 성령에만 의존하는 것(오직 설교한편)과 서로 집단의역동성을 활발히 하는것(느낀 것 토의하고 듣고 거기서 또 배우는 과정 )은 차이가 크다. 교인이 너무 많이 알면 개기는데....???
5) 간 세대적인 참여와 나눔이 있어야 한다. intergeneration
기성세대는 가르치는 세대이고, 차세대는 배워야 할 세대로 생각하는데 이것은 오해이다. 누구나 배우야 한다. 세대간의 나눔과 함께 더불어 참여하는 과정이 필요하다. 우리나라의 목회구조는 세대간에 단절되어 있다. gap도 열어야 한다. 열린예배는 사실상 어린이와 어른이 함께 참여하여야 한다. 이것을 미국교회에서는 통합교회라고 한다. 모두가 예배드리기 전에 Sunday school 에 가서 배우고 예배를 드린다. 가족석이 준비되어 있는 교회가 많다. 21세기 한국교회의 모델에 있어서 배울점이 있다.
6) 예배는 교회교육에 있어서 기독교적 삶을 형성시키고 중요한 학습경험의 기회를 부여해 준다. 오히려 성경공부보다 예배가 중요한 교육의장이다. 예배를 통한 교육이 아주 중요하다. 예배도 교육적인 안목을 가지고 배려한다. 0404041004
7)교회외의 다른 교육기관, 가정, 학교, 사회, 대중매체가 있음을 인식하고 상호협력과 대화를 모색한다. PoG는 교회안의 교육만 추구하지 않는다. 주도적인 것은 교회안에서 이루어지지만 그외에서 이뤄지는 부분을 생각하는 것이다.
Paper- 시험끝나고 다음주 토요일까지 12월 20일까지 한다. 박동진 전도사님에게 제출한다. 대충써서는않된다. 대충하면 성적 짜게 줄꼬야..... 근거없이는 성적이 없다.....발제!도 성적에 .... 랄랄라. 라거 주세요. 저 사람이 먹는 맥주 주세요....으흐흐 ... 여기도 라 저기도 라. 회오리 라

키워드

  • 가격1,300
  • 페이지수6페이지
  • 등록일2002.10.25
  • 저작시기2002.10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208117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