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동체 교육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제 1 장. 흔들리는 터전들

제 2 장. 신앙 - 시작과 끝냄

제 3 장. 공동체를 추구하며

제 4 장 . 공동적인 삶

제 5 장 . 미래를 향한 전망

본문내용

(John Westerhoff Ⅲ)의 책 『교회의 신앙교육』은 현재 교회교육(기독교교육)이 당면하고 있는 문제점에 대한 실제적인 진단과 해결방안을 제시함으로써 신학도는 물론 교회교육을 현장에서 담당하고 있는 많은 지도자들에게도 실질적인 도움을 줄 수 있는 유익한 책이었다고 생각한다. 이 책을 읽으면서 몇 가지 느낀 점을 기술해 보고자 한다.
첫째로 교회교육이 학교교육의 형태를 취함으로 말미암아 학교교육이 가지고 있는 한계와 병폐도 고스란히 답습하게 되어 교회교육도 문제점이 생기게 되었다는 것을 지적하고 있다. 이 의견에는 전적으로 동의한다. 하지만 문제제기 정도의 수준으로만 그친 것이 조금 아쉽다. 교회교육의 문제점과 한계에 대해서는 많은 사람이 인식하고 있는 상황이므로 이에 대한 보다 더 구체적이고 적극적인 대안의 제시가 필요하다고 생각되어진다.
둘째로 기독교교육의 준거의 틀로써 주장하고 있는 자유주의와 신정통주의의 연합의 문제에 대해서는 해볼 수 있는 시도라고는 생각 되어진다. 그러나 서로 상반되어지는 주장(신학)들의 틀위에 교육의 틀을 설정한다는 것이 매우 우려스러운 일이라고 보여진다. 진정한 준거의 틀로써 자리를 잡기 위해서는 서로 간의 합의와 보편적인 긍정이 이루어져야 하지 않을까 생각된다.
셋째로 신앙과 문화의 형성을 위한 공동체에 대하여는 이 공동체의 형성을 너무 학교교육의 틀에 짜맞추려 하는 경향에 대해서 이해되어지지 않는 부분들이 보인다. 학교교육이 아닌 신앙인으로서의 정체성을 가지고 이 문제를 풀어 나가야 할 것이다.
넷째로 선교하는 공동체로서의 교회에 대한 언급은 대체적으로 수긍이 가며, 신앙의 전개에 관한 부분은 한국교회에서도 실제로 인지(認知)하고 프로그램으로 활용해 볼 만한 좋은 시도라고 생각된다.
다섯째로 실천적인 프로그램들에 대한 구체적인 사례를 제시하며 주장한 내용들은 고려해 볼만한 사항들이라 생각되어진다. 그러나 이것이 미국의 미국적인 상황들 가운데서 적용되었던 것들이므로 한국의 교회교육에 적용시키기 위해서는 보다 치밀한 연구와 조사가 필요하다고 보여진다.
교육이란 "백년지대계"라는 말이 있듯이 매우 세밀한 연구와 검토가 필요하다. 또한 실천적인 적용을 통하여 보다 효과적이고 합리적인 사고들이 창출되어져야 한다고 생각된다. 특별히‘기독교’교육이라는 측면에서 예수 그리스도를 본받는 교육, 주님 보시기에 올바른 교육이 될 수 있도록 노력하는 자세가 필요하다고 보여진다.

키워드

추천자료

  • 가격1,300
  • 페이지수6페이지
  • 등록일2002.10.25
  • 저작시기2002.10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208145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