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개요
Ⅱ. 개인주의의 의미
Ⅲ. 개인주의의 발달과정
Ⅳ. 공동체주의의 의미
Ⅴ. 공동체주의의 발달과정
1. 그리스 공동체론
2. 신정적 공동체론
3. 보편 지향의 공동체론
4. 반자유주의적 공동체론
Ⅵ. 개인주의와 공동체주의의 논쟁
참고문헌
Ⅱ. 개인주의의 의미
Ⅲ. 개인주의의 발달과정
Ⅳ. 공동체주의의 의미
Ⅴ. 공동체주의의 발달과정
1. 그리스 공동체론
2. 신정적 공동체론
3. 보편 지향의 공동체론
4. 반자유주의적 공동체론
Ⅵ. 개인주의와 공동체주의의 논쟁
참고문헌
본문내용
들은 1980년대를 통해서 시민 의식과 공동체, 인간성, 그리고 덕목에 관한 관심의 폭발을 목격하였다. 이러한 것들에 대한 관심은 근본적인 성격에 있어서 서로 연결되어 있으며, 공동체는 이러한 연결의 가운데에 위치하는 중심 개념이다. 개인에게 치중하는 자유주의 이론의 공허로움과 정치 생활의 본질에 대한 부적절한 이해를 공동체주의자들은 공격하고 나선 것이다. 절차(법의 지배와 같은)를 중시하는 자유주의자들이 채우지 못한 사회적 영역을 공동체주의자들은 자제력, 용기, 신중, 관용, 충성심과 같은 사회적 덕목의 관점으로 전환함으로써 그 보완을 시도하였다고 볼 수 있다.
Ⅵ. 개인주의와 공동체주의의 논쟁
개인주의와 공동체주의 논쟁의 역사적 배경은 어떠한가? 먼저 로크와 밀의 자유주의 철학자를 고찰해 보자. 초기 자유주의 철학자들이 맡은 과제는, 구시대의 전제 정치를 민주적 정치질서로 대체하는 일을 정당화 하는 것이다. 로크는 ‘자연 상태의 개인은 사회조직에 우선하여 존재한다’는 점을 가정했다. 로크가 말하는 자연 상태는 정부의 권위 주장으로부터 독립되어 있는 , 개인적 자유의 토대를 확립하기 위해 만들어낸 철학적 고안물인 것이다. 각 개인은 자신의 인격에 대해 자연적 재산권을 가지며, 이 기본적인 자기 소유 권리에 의해 다른 모든 개인적 권리가 파생되어 나온다. 자연상태 안에서 자유롭고 평등한 사람들간의 계약이라는 이론적 고안물을 통해 로크는 민주정부의 정당성을 확립했다. 19세기 중반 밀이 <자유론>을 썼던 시기에 이르러서는 기본적인 정치적 자유는 이미 확보되어 있었다. 밀은 각 개인의 인격적 발달을 촉진시키고 그 행복을 증진시키는 일은 전체사회의 공리성을 높여 줄 것이라 주장한다. 진정한 자유는 정치적 권리에만 한정되는 것이 아닌 양심, 사상, 감각, 표현의 자유까지 포함하게 된다. 그러한 자유를 위한 최상의 사회질서가 무엇인가를 밀은 논의했다.
공동체 중심의 철학은 아리스토텔레스, 루소, 헤겔에게서 그 뿌리를 찾아볼 수 있다. 이들의 사상은 현대의 공동체주의 사상가들에게 영감을 주었다. 아리스토텔레스의 인간관은 정치적 인간이다. 즉, 그들은 폴리스 안에서 살아가고, 그 속에서만 자신을 충족시킬 수 있다고 말한다. 루소는 시민의 자치권리를 정당화하기 위해 사회계약이라는 것을 철학적으로 고안했다. 사회계약 당사자들은 자기 자신과 제반권력을 전체 공동체의 통제밑에 두고, 이러한 공동체로부터 모든 권리를 도출해 낸다. 시민들이 함께 숙고하고, 공동선을 형성하면 일반의지가 형성된다는 것이다. 19세기의 헤겔은 개인의 자유는 합리적 윤리적 공동체 안에서만 성취될 수 있는 것이라 주장한다. 개인의 자유를 현존 공동체로부터 도출한다는 점에서 헤겔은 공동체주의 철학의 중요한 선두주자이다. 1840년에 토크빌은 민주주의가 각자 개별적으로 결정한 목적을 제각기 추구하고 사는 소외된 개인을 만들어 냈다는 점에 관심을 두었다. 이것을 그는 개인주의라 하며, 그와 같이 소외된 시민은 여러 가지 형태의 초권력적인 중앙 정부나 다수결주의자의 감정에 의한 폭정으로 겪기 쉽다고 주장한다.
참고문헌
◇ 김비환(1999), 자유주의와 공동체주의 : 현대 자유주의, 공동체주의 논쟁의 정치적 성격에 관한 고찰, 철학연구회
◇ 김정오, 공동체주의와 법에 관한 연구
◇ 서선희(1993), 자유주의 한계와 공동체주의론의 성격, 민주문화논총 제4권 제5호, 통권 제32호
◇ 철학연구(1998), 공동체주의의 철학적 변형, 공적과 정체성의 개념을 중심으로
◇ 황지성(1992), 개인주의와 집단주의에 관한 교차문화적 비교연구, 석사학위논문, 연세대 교육대학원,
◇ 한길크세주(2001), 개인주의의 역사, 서울
Ⅵ. 개인주의와 공동체주의의 논쟁
개인주의와 공동체주의 논쟁의 역사적 배경은 어떠한가? 먼저 로크와 밀의 자유주의 철학자를 고찰해 보자. 초기 자유주의 철학자들이 맡은 과제는, 구시대의 전제 정치를 민주적 정치질서로 대체하는 일을 정당화 하는 것이다. 로크는 ‘자연 상태의 개인은 사회조직에 우선하여 존재한다’는 점을 가정했다. 로크가 말하는 자연 상태는 정부의 권위 주장으로부터 독립되어 있는 , 개인적 자유의 토대를 확립하기 위해 만들어낸 철학적 고안물인 것이다. 각 개인은 자신의 인격에 대해 자연적 재산권을 가지며, 이 기본적인 자기 소유 권리에 의해 다른 모든 개인적 권리가 파생되어 나온다. 자연상태 안에서 자유롭고 평등한 사람들간의 계약이라는 이론적 고안물을 통해 로크는 민주정부의 정당성을 확립했다. 19세기 중반 밀이 <자유론>을 썼던 시기에 이르러서는 기본적인 정치적 자유는 이미 확보되어 있었다. 밀은 각 개인의 인격적 발달을 촉진시키고 그 행복을 증진시키는 일은 전체사회의 공리성을 높여 줄 것이라 주장한다. 진정한 자유는 정치적 권리에만 한정되는 것이 아닌 양심, 사상, 감각, 표현의 자유까지 포함하게 된다. 그러한 자유를 위한 최상의 사회질서가 무엇인가를 밀은 논의했다.
공동체 중심의 철학은 아리스토텔레스, 루소, 헤겔에게서 그 뿌리를 찾아볼 수 있다. 이들의 사상은 현대의 공동체주의 사상가들에게 영감을 주었다. 아리스토텔레스의 인간관은 정치적 인간이다. 즉, 그들은 폴리스 안에서 살아가고, 그 속에서만 자신을 충족시킬 수 있다고 말한다. 루소는 시민의 자치권리를 정당화하기 위해 사회계약이라는 것을 철학적으로 고안했다. 사회계약 당사자들은 자기 자신과 제반권력을 전체 공동체의 통제밑에 두고, 이러한 공동체로부터 모든 권리를 도출해 낸다. 시민들이 함께 숙고하고, 공동선을 형성하면 일반의지가 형성된다는 것이다. 19세기의 헤겔은 개인의 자유는 합리적 윤리적 공동체 안에서만 성취될 수 있는 것이라 주장한다. 개인의 자유를 현존 공동체로부터 도출한다는 점에서 헤겔은 공동체주의 철학의 중요한 선두주자이다. 1840년에 토크빌은 민주주의가 각자 개별적으로 결정한 목적을 제각기 추구하고 사는 소외된 개인을 만들어 냈다는 점에 관심을 두었다. 이것을 그는 개인주의라 하며, 그와 같이 소외된 시민은 여러 가지 형태의 초권력적인 중앙 정부나 다수결주의자의 감정에 의한 폭정으로 겪기 쉽다고 주장한다.
참고문헌
◇ 김비환(1999), 자유주의와 공동체주의 : 현대 자유주의, 공동체주의 논쟁의 정치적 성격에 관한 고찰, 철학연구회
◇ 김정오, 공동체주의와 법에 관한 연구
◇ 서선희(1993), 자유주의 한계와 공동체주의론의 성격, 민주문화논총 제4권 제5호, 통권 제32호
◇ 철학연구(1998), 공동체주의의 철학적 변형, 공적과 정체성의 개념을 중심으로
◇ 황지성(1992), 개인주의와 집단주의에 관한 교차문화적 비교연구, 석사학위논문, 연세대 교육대학원,
◇ 한길크세주(2001), 개인주의의 역사, 서울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