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 선교 전략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I. 시작

II. 동일단위집단에 의한 교회 성장

III. 북한교회

IV. 북한 선교의 당위성과 전도 전략


V. 결론

본문내용

저희 중에서 칼을 피하여 이방 중에 남아있는 자가 있게 할지라."고 하였다. 북한 공산 체제하에서 없어진 줄 알았던 기독교인들이지만 하나님은 아직도 그들을 남겨 두셨고, 그 땅을 다시 회복케 하실 것이다.
이것에 대해 우리는 바울과 같은 심정이 되어야 한다. "나의 형제 곧 골육의 친척을 위하여 내 자신이 저주를 받아 그리스도에게서 끊어질지라도 원하는 바로다."(롬9:3)
이것들이 동질단위 이론에 근거한다. 이러한 동질성은 역사를 함께 공유해온 역사적인 공동운명체라는 사실이며, 언어와 문자의 일체성, 같은 풍습 등이다. 우리 민족이 단일 문화를 계승 발전시켜온 일체감과 운명 공동체라는 민족의식의 정통성은 우리의 심성 속에 간직되어왔다. 혈연적인 가족, 동족, 민족이 동일한 자연 속에서 역사적 경험을 함께 하는데서 비롯된 민족 공통체 의식은 다른 어떤 집단보다도 자연적이며 기초적인 집단의식이라 할 수 있다.
물론 북한은 이러한 민족의 동질성을 그들의 주체사상으로 부인하고 있지만 복음전파는 예수 그리스도의 명령이기 때문에 우리 민족을 주님 앞으로 돌아오게 하는데 우리의 열정을 쏟을 때 교회는 부흥하게 될 것이고, 21세기 한국교회의 바른 성장을 가져오게 될 것이다.
맥가브란은 "우리는 하나님께서 들판을 익게 해 놓으신 곳에 집중적으로 파고 들어가야 한다, 사람들이 어려움에 처해 있을 때 복음을 심어주어야 한다. 사람들은 우연히 익게 되지 않는다. 하나님의 목적에 의해 익게 된다. 하나님의 손가락이 그 집단을 향하여 '가서 증거하라. 교회는 탄생을 기다리고 있다.'라고 말하고 있다는 것을 의미함을 교회는 신중하게 고려해야 한다."
) Op. cit., 간하배, p. 154.
참고서적
1. D. McGavran, "교회성장학", 고원용 역, 보문출판사, 1979
2. 이성희, "미래사회와 미래교회", 대한기독교서회, 1997.
3. 간하배, "교회성장의 신학", 김남식역, 성광문화사, 1994.
4. 백중현, "북한에도 교회가 있나요", 국민일보, 1998.
5. 통일원정보 분석실, "`92 북한 개요", 서울 통일원
6. 조민영, "북한 사회의 새인식", 서울 , 남풍,1992.
7. 이필용, "북한의 정치: 주체사상과 그 기능", 서울, 대왕사
8. 생명과 인권 97년 봄호
9. 인터넷상에서 인용한 미주 밀알선교회의 동계수련회 때 강석진 목사가 강의한 "역사로 본 한국의 복음화와 세계 선교의 사명"

키워드

  • 가격1,300
  • 페이지수6페이지
  • 등록일2002.10.26
  • 저작시기2002.10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208394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