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Illustration...
1. 정의
2. 분류
Character...
1. 캐릭터 산업
2. 캐릭터의 정의
3. 사용 목적에 따른 캐릭터 분류
4. 캐릭터의 효용성
5. 캐릭터의 특성
6. 캐릭터의 부가가치 기능
7.캐릭터의 법적 환경
8. 캐릭터 예
References...
1. 정의
2. 분류
Character...
1. 캐릭터 산업
2. 캐릭터의 정의
3. 사용 목적에 따른 캐릭터 분류
4. 캐릭터의 효용성
5. 캐릭터의 특성
6. 캐릭터의 부가가치 기능
7.캐릭터의 법적 환경
8. 캐릭터 예
References...
본문내용
내기 위한 전략이 숨어 있는 것이다.
그럼 어떤 캐릭터가 소비를 창출하는 고부가가치 캐릭터인가?
과거의 히트 캐릭터를 보면 몇 가지의 공통적 특징을 지니고 있다. 먼저 창작자의 강한 에너지가 캐릭터에 압축되어 있으며, 그 에너지가 자극이 되어 다른 매체에 사용되어 강한 집단적 에너지가 발생한다. 그 에너지가 작품의 수용측에게 전달되어 강한 감명을 주어 인기를 창출한다. 인기 캐릭터는 상품이나 광고에도 사용되지만 상품개발 또는 광고 등의 인간의 창의력이라는 새로운 에너지가 규합되어야 한다. 이렇게 최초 창작자의 에너지가 점점 파급효과를 낳아서 거기에 다른 에너지가 합산되어 캐릭터의 가치는 강력해진다. 이렇게 창출되어진 캐릭터가 고부가가치를 창조하는 우수한 캐릭터라 할 수 있다.
7.캐릭터의 법적 환경
캐릭터라는 단어는 약 20년 전 미국으로부터 수입되어진 단어이지만, 지금은 완전히 일상어로서 정착되었다. 10년 전까지만 해도 캐릭터를 사용한 상품은 '캐릭터 상품' 이라 하여 특수한 상품으로서 구별되었고 현재에도 '캐릭터 상품' 이라는 명칭은 남아 있다.
하지만 현재는 과자, 식품, 음료, 완구, 문구, 의류, 잡화, 가정용품 등 다방면의 상품에 투입된 만화나 일러스트, 특수 마크 및 네이밍 등이 캐릭터라고 불리워지고 있다.
캐릭터를 허용하는 것은 완구의 인형과 같이 입체화된 형태가 있는가 하면, 상품의 일부에 눈에 띄도록 프린트되어진 형태도 있으며, 상품 자체가 아닌 패키지에 사용된 형태, 상품광고 팜플릿, 포스터, 신문, 잡지 등의 광고에 사용되는 형태 등 사용범위가 점점 확대되어 왔다.
동시에 TV나 잡지, 어린이용 출판물, 대량 생산 상품으로부터 탄생된 유명한 캐릭터 이외에, 유원지 등 레저 시설물 등의 관광객 대상의 상품 등에 캐릭터가 사용되고 있다. 캐릭터가 출현하기 전까지 상품에 사용되는 그림 및 마크는 '상표'로 불리워 졌다. 이 상표에는 다음의 세 가지 기능이 있다.
(1) 출소표시기능 - 어디의 누구, 또는 어느 메이커가 만든 것인가를 표시하는 기능
(2) 품질보증기능 - 특수한 마크가 붙어 있는 상품의 품질을 보증한다는 기능
(3) 광고기능 - 일정 마크를 부착하여 판매하는 것에 의해, 메이커의 광고의 역할을 수행 하는 기능
이러한 '상표' 는 문자나 그림, 일러스트,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상품의 일부에 소비자가 보기 쉽도록 하기 위해 표시하는 것이지만, 캐릭터는 위의 세가지 기능보다도 인간의 정서 및 유행 감각에 직접 소구하는 상품의 부가가치적 요소로서 사용범위를 확대하여 왔다.
그리고 캐릭터 자체도 캐릭터의 세계적인 견본이라 할 수 있는 '미키 마우스'를 시작으로 하는 '클래식 캐릭터(classic character), TV의 어린이용 애니메이션이나 사진의 주인공, TV 탤런트, 프로야구, 농구, 축구 등 스포츠까지 범위가 확대되고 있다.
10년 전부터 캐릭터의 사용범위가 확대된 이유는 간단하다. 캐릭터에 대한 수요가 증가하였기 때문이며, 상품을 제조하는 메이커 및 광고 담당자가 캐릭터를 요구하고 있기 때문이다.
상표는 정부에 등록하게 되면 사용할 수 있는 독점권을 취득할 수 있으나 기능적인 면에서 대부분의 제품이 균일화되어가고 있는 현재에는 상표의 효력은 차츰 약해지고 있고 상품에 대한 확실한 규정 및 규약이 미흡하여 자사만의 개성화(identity) 확립이 어려워지고 있다.
하지만 만화나 그림, 일러스트 및 마크 등으로 표현된 캐릭터는 인간의 사상, 감정을 창조적으로 표현한 것에 한하여 저작권이라는 권리가 인정되며, 저작권법이라는 법률이 권리를 보호하여 준다. 국제적으로도 저작권에 관한 조약이 있어, 조약 가맹국은 서로의 권리를 보호한 조약이 체결되어 있다. 또한 WTO 협정서 중 무역에 관련된 지적 소유권(TRIP : Trade-Related Intellectual Property Rights) 에 관한 협정은 개인 또는 법인에 의해 창조된 무형적인 지적 소유권에 관해 규정하고 있다.
캐릭터가 저작권법 및 관련 조약에 의해 보호되는 사항을 포함하고 있다면 사용에 관해서도 보호받을 수가 있는 것이다. 캐릭터의 사용은 저작권의 권리 소유자와의 계약에 의해 독점되어지며, 제조, 판매되는 상품은 계약에 의해 시장에서 독점력을 발휘할 수 있다. 현재와 같은 치열한 경쟁사회에서 타인의 창조성을 존중하는 관습도 없이 잘 팔리는 물건은 금방 모방되는 현실 속에서 자라온 사람들에게 있어서 법률에 의해 독점사용을 보호받는다는 것은 캐릭터에 눈을 돌리게 하는 커다란 포인트가 될 수 있다. 이러한 캐릭터를 상품화하기 위해서는 캐릭터의 권리를 갖고 있는 사람에게 그 사용의 허락 및 사용에 관해서 독점을 보증받을 필요가 있다. 그것에는 일정한 대가를 지불하지 않으면 안되며 이러한 사용허락을 상품화권의 사용허락, '라이센싱(licensing) 이라고 한다.
현재는 상품화권의 사용허락이라는 용어보다는, 라이센스 (license) 혹은 라이센싱(licensing) 이 일반적으로 쓰이고 있다.
8. 캐릭터 예
삼성상용차 1톤트럭 캐릭터 '야무진'
◈
목공예품 브랜드 캐릭터
'대국'
브랜드 캐릭터
데이콤 인터넷 택배서비스 이트랜스 캐릭터 '트래비'
웅진코웨이 캐릭터 '코디'
◈
비트라마 캐릭터
'비티와 라미'
현대생명 캐릭터
기업/회사용 캐릭터
퇴계원 산대놀이 캐릭터
'타리'
◈
전라남도 장성군 홍길동
지자제 캐릭터
경기도 과천시 캐릭터
'토리와 아리'
◈ 애니메이션용 캐릭터
오혜성
윈디
둘리
'98경주세계문화엑스포
화랑이
◈ 캠페인/이벤트 캐릭터
2002 부산아시안게임
서울국제에어쇼
이홍렬
◈
표인봉 캐릭터
캠페인/이벤트 캐릭터
박찬호
기아 엔터프라이즈 농구단 '엔터프라이즈'
◈ 스포츠 캐릭터
삼성 라이온스
국민생명퓨쳐스
아이스하키클럽
산신령
-호동커뮤니케이션센타-
◈
불꽃놀이
-(주)모닝글로리-
그외의 캐릭터
미스터 무비
-(주)위즈-
묵직이
-호동커뮤니케이션센타
까불이
-(주)디지털호동-
소방대원
-(주)디지탈호동-
References...
앤드류 장(1993), 일러스트레이션의 세계. 도서출판 디자인하우스
아이웹디넷, www.iwebdy.net
그럼 어떤 캐릭터가 소비를 창출하는 고부가가치 캐릭터인가?
과거의 히트 캐릭터를 보면 몇 가지의 공통적 특징을 지니고 있다. 먼저 창작자의 강한 에너지가 캐릭터에 압축되어 있으며, 그 에너지가 자극이 되어 다른 매체에 사용되어 강한 집단적 에너지가 발생한다. 그 에너지가 작품의 수용측에게 전달되어 강한 감명을 주어 인기를 창출한다. 인기 캐릭터는 상품이나 광고에도 사용되지만 상품개발 또는 광고 등의 인간의 창의력이라는 새로운 에너지가 규합되어야 한다. 이렇게 최초 창작자의 에너지가 점점 파급효과를 낳아서 거기에 다른 에너지가 합산되어 캐릭터의 가치는 강력해진다. 이렇게 창출되어진 캐릭터가 고부가가치를 창조하는 우수한 캐릭터라 할 수 있다.
7.캐릭터의 법적 환경
캐릭터라는 단어는 약 20년 전 미국으로부터 수입되어진 단어이지만, 지금은 완전히 일상어로서 정착되었다. 10년 전까지만 해도 캐릭터를 사용한 상품은 '캐릭터 상품' 이라 하여 특수한 상품으로서 구별되었고 현재에도 '캐릭터 상품' 이라는 명칭은 남아 있다.
하지만 현재는 과자, 식품, 음료, 완구, 문구, 의류, 잡화, 가정용품 등 다방면의 상품에 투입된 만화나 일러스트, 특수 마크 및 네이밍 등이 캐릭터라고 불리워지고 있다.
캐릭터를 허용하는 것은 완구의 인형과 같이 입체화된 형태가 있는가 하면, 상품의 일부에 눈에 띄도록 프린트되어진 형태도 있으며, 상품 자체가 아닌 패키지에 사용된 형태, 상품광고 팜플릿, 포스터, 신문, 잡지 등의 광고에 사용되는 형태 등 사용범위가 점점 확대되어 왔다.
동시에 TV나 잡지, 어린이용 출판물, 대량 생산 상품으로부터 탄생된 유명한 캐릭터 이외에, 유원지 등 레저 시설물 등의 관광객 대상의 상품 등에 캐릭터가 사용되고 있다. 캐릭터가 출현하기 전까지 상품에 사용되는 그림 및 마크는 '상표'로 불리워 졌다. 이 상표에는 다음의 세 가지 기능이 있다.
(1) 출소표시기능 - 어디의 누구, 또는 어느 메이커가 만든 것인가를 표시하는 기능
(2) 품질보증기능 - 특수한 마크가 붙어 있는 상품의 품질을 보증한다는 기능
(3) 광고기능 - 일정 마크를 부착하여 판매하는 것에 의해, 메이커의 광고의 역할을 수행 하는 기능
이러한 '상표' 는 문자나 그림, 일러스트,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상품의 일부에 소비자가 보기 쉽도록 하기 위해 표시하는 것이지만, 캐릭터는 위의 세가지 기능보다도 인간의 정서 및 유행 감각에 직접 소구하는 상품의 부가가치적 요소로서 사용범위를 확대하여 왔다.
그리고 캐릭터 자체도 캐릭터의 세계적인 견본이라 할 수 있는 '미키 마우스'를 시작으로 하는 '클래식 캐릭터(classic character), TV의 어린이용 애니메이션이나 사진의 주인공, TV 탤런트, 프로야구, 농구, 축구 등 스포츠까지 범위가 확대되고 있다.
10년 전부터 캐릭터의 사용범위가 확대된 이유는 간단하다. 캐릭터에 대한 수요가 증가하였기 때문이며, 상품을 제조하는 메이커 및 광고 담당자가 캐릭터를 요구하고 있기 때문이다.
상표는 정부에 등록하게 되면 사용할 수 있는 독점권을 취득할 수 있으나 기능적인 면에서 대부분의 제품이 균일화되어가고 있는 현재에는 상표의 효력은 차츰 약해지고 있고 상품에 대한 확실한 규정 및 규약이 미흡하여 자사만의 개성화(identity) 확립이 어려워지고 있다.
하지만 만화나 그림, 일러스트 및 마크 등으로 표현된 캐릭터는 인간의 사상, 감정을 창조적으로 표현한 것에 한하여 저작권이라는 권리가 인정되며, 저작권법이라는 법률이 권리를 보호하여 준다. 국제적으로도 저작권에 관한 조약이 있어, 조약 가맹국은 서로의 권리를 보호한 조약이 체결되어 있다. 또한 WTO 협정서 중 무역에 관련된 지적 소유권(TRIP : Trade-Related Intellectual Property Rights) 에 관한 협정은 개인 또는 법인에 의해 창조된 무형적인 지적 소유권에 관해 규정하고 있다.
캐릭터가 저작권법 및 관련 조약에 의해 보호되는 사항을 포함하고 있다면 사용에 관해서도 보호받을 수가 있는 것이다. 캐릭터의 사용은 저작권의 권리 소유자와의 계약에 의해 독점되어지며, 제조, 판매되는 상품은 계약에 의해 시장에서 독점력을 발휘할 수 있다. 현재와 같은 치열한 경쟁사회에서 타인의 창조성을 존중하는 관습도 없이 잘 팔리는 물건은 금방 모방되는 현실 속에서 자라온 사람들에게 있어서 법률에 의해 독점사용을 보호받는다는 것은 캐릭터에 눈을 돌리게 하는 커다란 포인트가 될 수 있다. 이러한 캐릭터를 상품화하기 위해서는 캐릭터의 권리를 갖고 있는 사람에게 그 사용의 허락 및 사용에 관해서 독점을 보증받을 필요가 있다. 그것에는 일정한 대가를 지불하지 않으면 안되며 이러한 사용허락을 상품화권의 사용허락, '라이센싱(licensing) 이라고 한다.
현재는 상품화권의 사용허락이라는 용어보다는, 라이센스 (license) 혹은 라이센싱(licensing) 이 일반적으로 쓰이고 있다.
8. 캐릭터 예
삼성상용차 1톤트럭 캐릭터 '야무진'
◈
목공예품 브랜드 캐릭터
'대국'
브랜드 캐릭터
데이콤 인터넷 택배서비스 이트랜스 캐릭터 '트래비'
웅진코웨이 캐릭터 '코디'
◈
비트라마 캐릭터
'비티와 라미'
현대생명 캐릭터
기업/회사용 캐릭터
퇴계원 산대놀이 캐릭터
'타리'
◈
전라남도 장성군 홍길동
지자제 캐릭터
경기도 과천시 캐릭터
'토리와 아리'
◈ 애니메이션용 캐릭터
오혜성
윈디
둘리
'98경주세계문화엑스포
화랑이
◈ 캠페인/이벤트 캐릭터
2002 부산아시안게임
서울국제에어쇼
이홍렬
◈
표인봉 캐릭터
캠페인/이벤트 캐릭터
박찬호
기아 엔터프라이즈 농구단 '엔터프라이즈'
◈ 스포츠 캐릭터
삼성 라이온스
국민생명퓨쳐스
아이스하키클럽
산신령
-호동커뮤니케이션센타-
◈
불꽃놀이
-(주)모닝글로리-
그외의 캐릭터
미스터 무비
-(주)위즈-
묵직이
-호동커뮤니케이션센타
까불이
-(주)디지털호동-
소방대원
-(주)디지탈호동-
References...
앤드류 장(1993), 일러스트레이션의 세계. 도서출판 디자인하우스
아이웹디넷, www.iwebdy.net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