체성(體性)에 관해
본 자료는 1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해당 자료는 1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없음

본문내용

을 다해간다면 사고의 운용이 저절로 원만하게 될 것이다. 그리고 8가지 문체가 비록 서로 다르나 근본 법칙을 두루 통달하게 되면 그 핵심을 얻을 수 있어 바퀴살이 모이듯이 (8가지 문체가) 모두 이루어질 것이다. 그러므로 좋은 문체를 모방함으로써 학습을 정확하게 하고, 본성에 따라서 재능을 연마한다면 문학의 바른 방향은 바로 이러한 도를 통해서 이루어질 것이다.
贊曰, 才性異區, 文辭
體.
繁詭. 辭爲膚根
葉, 혹은 肌膚.
, 志實骨髓. 雅麗
[최동호]중국 고대의 예복에 수놓아진 꽃무늬를 가리킨다. 도끼 형상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도끼의 날 부분은 흰색이고 등 부분은 검은색인 무늬를 < >라 하고 두 개의 己 자 형상을 하고 있으며 반은 푸른색이고 반은 검은색인 무늬를 < >이라 한다.
, 淫改朱紫
[라]過分.
功朱紫. 習亦凝眞, 功沿漸靡.
贊하여 말한다면, 재능과 본성은 서로 다르고 글과 수식도 서로 다르다. 그러나 글은 피부와 같고 의지는 골수에 해당한다. 전아하고 아름다움은 아름다운 무늬를 이루지만 지나치게 되면 간색과 정색을 흐트러 트리게 된다. 그러니 학습에 있어서는 진실된 것에 집중한다면 효능은 이에 따라서 점점 발전하게 될 것이다.

키워드

체성,   고답적,   이채로움,   운문,   문사,   재능
  • 가격800
  • 페이지수4페이지
  • 등록일2002.10.27
  • 저작시기2002.10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208714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