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자동차 해외직접투자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 해외직접 투자 동향과 개념
제 1장 최근의 해외직접 투자 동향과 특징
1. 세계 FDI 동향
2. 우리나라 해외직접 투자의 동향과 특징

제 2장 해외직접 투자의 업무흐름
1. FDI 개요
2. FDI의 절차

제 3장 해외직접 투자의 성공·실패요인

■ 해외직접 투자 실패·성공요인 실제
- 현대자동차 북미진출 분석
제 1장 현대자동차 기업분석 및 해외진출 개괄
1. 주요현황
2. 문제제기

제 2장 북미시장에서의 현대자동차
1. 최초의 진출
2. 캐나다 FDI를 통한 해외투자
3. 수출로의 전환과 SUV 주력
4. 엘라바마주의 FDI 추진전략

제 3장 변화하는 북미시장에서의 나아가야할 방향 (발전적 제안)

참고자료

참고문헌

본문내용

하였다. (이때, 세계 일류를 양적으로 표현하면 Global Top5가 되는 것을 의미한다.)
80년대 이후 전세계적으로 강화되고 있는 환경 및 안전관련 규제와 소비자 기호가 다양화, Digital 편의장치의 수요는 현대를 비롯한 자동차기업의 R&D비용과 위험을 증대시켰다. 단순히 Top5라는 양적인 의미 외에도 일정한 규모를 확보해야 이를 감당할 수 있다는 점에서 규모의 경제는 중요하다. 또한 딜러-유통자본의 발언력 강화, 그리고 인터넷 판매 등에 따른 규모수익체증 현상 역시 규모 확대를 촉진하고 있다. 이를 위해서는 높은 수준의 경쟁력 제고와 함께 연간 500만대 생산, 판매체제를 구축해야 한다. 그러나 현대는 지금 메이저 업체들의 견제, 노사분쟁, 자동차시장의 만성적인 공급과잉, R&D비용의 증가, 무역규제의 심화에 부딪히고 있다. 동시에, 상당한 품질향상에도 불구하고, 규모, 제품력, 기술력 등 기본적인 경쟁력이 선진경쟁업체에 미치지 못하고 있다. 또한 내수시장의 환경변화도 현대의 세계시장 진출을 지지하기 어려운 환경으로 변화하고 있다. 국내의 경쟁업체의 수는 줄었지만 해외 업체들의 내수시장진출, 성숙기에 접어든 국내 수요, 신차 교체기간 장기화로 국내시장이 안정적인 성장 기반이 될 수 없기 때문이다.
한편 WTO 체제의 강화와 세계경제의 블록화는 국제화와 지역화를 동시에 추구해야 할 과제를 남기고 있다. 이는 궁극적으로 현대자동차가 Transnationalization 되어야 할 것을 촉구하고 있다. 즉, 지역별로 차별화된 소비자 취향을 반영할 수 있고, 환율변동 등 국제거시경제적 위험과 전통적으로 자동차기업이 직면해온 무역규제를 피할 수 있기 때문이다. 현대의 해외 현지생산은 중국, 인도, 터키 등으로 아직까지 국내에서 수출한 KD부품 조립수준이지만 결국 마지막 단계에서는 현지 생산 시스템을 갖추는 방향으로 발전해야 한다. 북미시장에서는 미국을 중심으로 수출을 확대하고, 앨라바마 현지 생산기지진출을 기반으로 하여 현지생산을 확대하는 것이 장기적 발전을 보장할 것이다.
기술개발과 해외 생산기지 구축을 위해서는 막대한 자금이 필요하며, 자금 조달을 위한 자본구조의 선진화와 수익성 우선 경영 그리고 관련 리스크 관리가 필요하다. 그리고 기술 개발의 근본적인 대안으로 특수강, 플라스틱 등 기초 소재산업에 지원을 하고, 전략적 제휴관계를 기술개발과 판매면에서 최대한 활용하여 기술의 열세를 극복해야 한다. 또한 현재 임금과 부품단가가 가격대비 품질면에서 갖고 있는 강점을 최대화하는 동시에 노사관계의 선진화도 아울러 추진해야 하는 어려운 과제도 있다. 또 부가가치가 높은 차종에 주력하기 위해 현대차의 이미지를 제고하기 위한 노력이 중요하다. 마지막으로 중국이라는 잠재거대시장, 현재 추진중인 북미 및 유럽현지공장이 성공에서 규모의 효과를 누리고 진정한 Transnational firm으로 나아가는 기회로 삼아야 할 것이다.
참고자료)
현대자동차 해외사업 주요연혁
1967. 12. 현대자동차㈜ 설립
1974. 04. 현대자동차(주) 기업공개
1975. 12. 종합자동차공장 준공
1976. 01. PONY 시판
06. 에콰도르 포니수출
1981. 11. 미쯔비시와 기술제휴 발표
1982. 01. 캐나다 현지법인(HAC)설립
1984. 02. 국내 최초 자동차 종합주행 시험장 준공
1985. 04. 미국 현지 법인(HMA)설립
1986. 01. Excel, Presto 미국 수출
1986. 03. 미국 현지 연구소 설립
1989. 07. 캐나다 퀘백시에 브로몽공장 준공
1991. 04. 독일시장진출
1992. 02. 전차종 생산누계 500만대 돌파
1995. 01. 이집트 CKD공장 가동
07. 인도네시아 CKD공장 가동
09. 터키 합작 공작 기공
1997. 08. 터키 공장 준공
1997. 11. 말레이시아 공장 준공
1998. 10. 인도 공장 준공(HMIL)
12. 상용화 국내 최초 미국 시장 진출
1999. 10. 미국 시장 현지판매누계 200만대 돌파
2000. 01. 중국 현지에 연간 30만대 규모 승용차 생산 공장 구축
2001. 06. 다임러와 2002년말까지 중대형 상용차 합작법인 출범
08. 러시아 현지 파트너 DONINVEST社와 향후 5년간 7만여대 베르나 조립생산 사업 체결
러시아 모터쇼에 싼타페, 테라칸, 뉴 EF 쏘나타등 주력차종 출품통한 Line up 보강 및
본격적인 판촉활동 시작
2002. 02. 중국 북경에서 북경기차공업공고유한책임공사와 합자 의향서체결
03. 독일 뤼셀스하임에서 현대 자동차 유럽법인 건물 신축기공식
04. 미국 앨리바마주에 현지 공장(HMMA) 기공식
2000년 미국시장 현지판매 현황
누계 판매실적
99년 1월 ∼ 6월
2000년 1월 ∼ 6월
전년 동기대비
모델명
누계실적
누계실적
증감율 (%)
베르나
20,443
34,846
70.5
아반떼
33,266
56,122
68.7
티뷰론
4,170
8,042
92.9
EF 소나타
13,061
24,461
87.3
합 계
70,940
123,471
74.0
월별 판매실적

1999년
2000년
증감율(%)
1월
7,578
14,834
95.8
2월
9,474
18,565
96.0
3월
11,970
22,001
83.8
4월
10,685
21,046
97.0
5월
15,476
23,484
51.7
6월
15,757
23,541
49.4
7월
17,958
8월
17,38
9월
15,266
10월
14,828
11월
14,062
12월
13,338
합계
164,230
123,471
참고문헌)
- 도서 및 논문
현대자동차 30년사, 현대자동차
자동차 산업, 삼성경제경연구소, 2001, 박득규
2001 한국자동차 산업, 한국자동차산업 연구소, 2001
Business Week, December 17, 2000
해외직접투자 실무가이드, 한국수출입은행, 2002
- 웹페이지
현대자동차 http://www.hyundai-motor.com
현대자동차 홍보정보시스템 http://pris.hyundai-motor.com
한국자동차산업연구소 http://kari.hmc.co.kr
  • 가격1,500
  • 페이지수10페이지
  • 등록일2002.10.29
  • 저작시기2002.10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209190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