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물 복제,생명공학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동물 복제,생명공학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서론

2.동물의 복제는 어떻게 이루어지는가
2-1. 수핵세포질의 준비
2-2. 공여핵의 추출과 준비
2-3. 핵의 이식
2-4. 난자활성화와 리모델링
2-5. 재프로그래밍(reprogramming)
2-6. 체외배양 및 수정란 이식

3.동물 복제에 대한 과학자 사회의 주장
4.생명 공학의 맹점
4-1.생명 공학 자체의 문제
4-2.성공해도 문제는 남는다

5.생명 복제에 대한 시민 사회의 대응

6.참고문헌

본문내용

서술하였다. 이상에서 살펴본 것처럼 생명 복제 기술은 아직 안정된 체계를 갖춘 기술이라고는 힘들다. 따라서 생명 복제 기술은 건전하고 지속가능한 사회를 위한 방향을 잡기위해 수많은 기술영향평가와 같은 과정을 거쳐야 한다. 특히나 우리 나라와 같은 생명공학 후발국은 선진국들에 의한 여러 시행착오들을 미리 심사숙고해볼 수 있다는 점에서 이득이 있다고 볼 수 있다. 그러한 점에서 얼마 전에 있었던 제 2차 합의회의의 안건이 생명공학이었다는 점은 상당히 의미심장하다. 합의 회의는 우선 공개 모집을 통해 시민 패널을 모집하고 다양한 의견을 가진 전문가들
) 여기에서 문제점은 우리나라에는 아쉽게도 대항 과학자들이 부족하다는 점이다. 생명 복제의 기술적 문제점을 지적하기 위해서는 아무래도 생명 공학 전문가가 필요한 데 이런 대항 과학자가 우리나라에서 살아남기는 매우 어렵다.
에 의해 세미나를 통한 교육을 실시하고 전문가들에게 질문서를 제출한 다음 답변을 받고 토론을 거친 다음 언론을 통해 의견을 외부에 공개하는 방식
) 1987년 덴마크 의회 산하의 <기술평가국>(Danish Board of Technology)에서 유전공학분야에 대해 실시한 것이 성공하여 현재의 형태로 굳어졌다.
을 통한다. 이것은 현대의 과학기술이 다양한 계층에 영향을 미치고 있는 반면에 그에 대한 정책적 결정은 과학기술자들에 의해 독점되고 있다는 문제 의식에 의한 것으로 참여 민주주의의 지평을 넓힌 새로운 기술영향평가로서 각광받고 있다.
생명 복제 기술의 문제점이 지적되고 있다고 해서 생명 공학 전체의 그간의 성과를 무시할 수는 없을 것이다. 그러나 이와 관련된 문제들은 시민과 과학자가 다함께 풀어가야할 문제이지 몇몇 전문가들과 정부관료들의 손에만 맡겨져야 할 성질의 것은 결코 아니다. 과학 기술에 대한 문제 의식이 이미 사회 전반에 확산되어 가고 있는 지금 생명 복제 기술이 핵기술의 전철을 밟게 해서는 안된다.
6.참고문헌
Mae-Wan Ho, Hartmut Meyer, and Joe Cummins, "The Biotechnology Bubble," The Ecologist, Vol. 28, No. 3 (May/June 1998), pp. 146-153.
과민모(1999), 『진보의 패러독스』
제2차 생명 복제 합의 회의
홍성욱(1999),『생산력과 문화로서의 과학기술』
서울대학교 공대신문사외(1992), 『과학기술논쟁의 현단계』
  • 가격1,300
  • 페이지수6페이지
  • 등록일2002.10.29
  • 저작시기2002.4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209320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