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제 1 강 선교, 교회, 성경 (Ⅰ)
Ⅰ. 선교의 신학적기초
Ⅱ. 성경, 교회, 선교의 관계
Ⅲ. 성경, 신학, 선교의 관계
Ⅳ. 새 세대의 비선교적 도전
제 2 강 선교, 교회, 성경 (Ⅱ) -- 왜 성경에 기초해야 하는가? (1)
Ⅰ. 새 세대의 비선교적 도전
(1) 세속주의
(2) 혼합주의
(3) 종교다원주의
제 3 강 선교, 교회, 성경 (Ⅲ) -- 왜 성경에 기초해야 하는가? (2)
Ⅱ. 선교신학이 왜 성경에 기초해야 하는가?
1. 전통적인 선교신학과 현대선교신학의 비교
(1) 선교의 목적의 변화
(2) 선교의 방법 문제
(3) 구원의 개념의 변화
제 4 강 선교, 교회, 성경 (Ⅳ) -- 왜 성경에 기초해야 하는가? (3)
(4) 선교의 구조의 변화
(5) 교회의 구조의 변화
(6) 전도의 개념의 변화
(7) 교회중심선교에서 하나님중심선교(하나님의 선교)로
제 5 강 선교, 교회, 성경 (Ⅴ) -- 왜 성경에 기초해야 하는가? (4)
1. 종교다원주의에 대한 우리의 입장
(1) 종교다원주의에 대한 질문
(2) 우리의 입장
제 6 강 선교, 교회, 성경 (6) -- 왜 성경에 기초해야 하는가? (5)
Ⅰ. 선교의 신학적기초
Ⅱ. 성경, 교회, 선교의 관계
Ⅲ. 성경, 신학, 선교의 관계
Ⅳ. 새 세대의 비선교적 도전
제 2 강 선교, 교회, 성경 (Ⅱ) -- 왜 성경에 기초해야 하는가? (1)
Ⅰ. 새 세대의 비선교적 도전
(1) 세속주의
(2) 혼합주의
(3) 종교다원주의
제 3 강 선교, 교회, 성경 (Ⅲ) -- 왜 성경에 기초해야 하는가? (2)
Ⅱ. 선교신학이 왜 성경에 기초해야 하는가?
1. 전통적인 선교신학과 현대선교신학의 비교
(1) 선교의 목적의 변화
(2) 선교의 방법 문제
(3) 구원의 개념의 변화
제 4 강 선교, 교회, 성경 (Ⅳ) -- 왜 성경에 기초해야 하는가? (3)
(4) 선교의 구조의 변화
(5) 교회의 구조의 변화
(6) 전도의 개념의 변화
(7) 교회중심선교에서 하나님중심선교(하나님의 선교)로
제 5 강 선교, 교회, 성경 (Ⅴ) -- 왜 성경에 기초해야 하는가? (4)
1. 종교다원주의에 대한 우리의 입장
(1) 종교다원주의에 대한 질문
(2) 우리의 입장
제 6 강 선교, 교회, 성경 (6) -- 왜 성경에 기초해야 하는가? (5)
본문내용
그러나 우리는 전도를 해야 하며, 다른 종교에는 일리는 있으나 진리는 없다는 것을 기억해야 한다.
(2) 우리의 입장
一. 예수 그리스도는 우리의 길이요 진리요 생명이다.
二. 다른 이로서는 구원을 얻을 수 없다.
제 6 강 선교, 교회, 성경 (6) -- 왜 성경에 기초해야 하는가? (5)
시편 113:1-3. 이제부터 영원까지 여호와의 이름을 찬양할지어다. 해뜨는 데부터 해지는 데까지 주의 이름이 찬양을 받으시기 원합니다.
말라기 1:10-11. "내가 너희를 기뻐하지 아니하며, 너희 손으로 드리는 것을 받지도 아니하리라. 만군의 여호와가 이르노라 해뜨는 곳에서부터 해지는 곳까지의 이방민족 중에서 내 이름이 크게 될 것이라. 각처에서 내 이름을 위하여 분향하며 깨끗한 제물을 드리리니 이는 내 이름이 이방민족 중에서 크게 될 것임이니라."
하나님은 선교지에 먼저 가서 무엇을 하셨느냐? 누구와 함께 일하였느냐? 교회 밖에서도 구원의 일을 하시느냐? 현대선교신학은 질문하고 있다. 그리고 재래종교와 같이 일하셨느냐? 재래종교에서 하는 것이 무엇이냐? 질문한다. 이들은 오늘 성경이 재래종교에서 하는 일을 말씀하고 있다고 하는데, 그것은 분향하며 제물을 드리는 것이라는 것이다. 그리고 이것을 통하여 하나님의 이름이 온 세계에서 크게 되고 있으며, 하나님께서 기뻐하심을 이야기하며, 그러므로 기독교와 타종교가 다를 것이 무엇이 있느냐? 주장하는 것이다.
하나님께서 "우리의 제물을 받지 않겠다. 기뻐하지 않는다. 그리고 이방족속의 분향과 제물을 내가 기쁘게 받는다." 말씀하신 것에 관하여 깊이 생각해 보아야 할 것이다.
히브리서 1장 1-2절.
1절 옛적에 선지자들로 여러부분(at many times)과 여러 모양(in various ways)으로 우리 조상들에게 말씀하신 하나님이
2절 이 모든 날 마지막에 아들로 우리에게 말씀하셨으니 이 아들을 만유의 후사로 세우시고 저로 말미암아 모든 세계를 지으셨으니
1절. 현대선교신학자들이 강조하며 주장하는 구절이다. 하나님은 재래종교들을 통해서 보이시고 말씀하시었다는 주장으로, 그들은 성부를 중심하여 선교에 대하여 강조하면서 1절의 말씀에 머물러 있다.
2절. 전통적인 선교 - 마지막에 하나님께서 말씀해 주신 것은 그리스도(모든 일의 후사가 되시고 온 우주를 만드신 분)를 통해서 말씀하시었다는 것이다. 이는 성자를 강조하는 선교신학으로서, 히브리서 1장 1-2절의 본문은 2절까지 다 해석되어야 한다. 1절은 옛적에 얘기해도 안되었다는 것으로 서론적인 것이다.
선교신학이 왜 성경에 기초되어야 하는가? 부분적인 것에만 머물러 있거나 잘못된 해석을 해서는 안되며, 다들 다르게 바라보고 있는 가운데서도, 거기에 타협하거나 양보하거나 물러서서는 안된다. 배는 물 위에 있어야 하는 것이지, 물이 우리 배 안으로 들어와서는 안되는 것이다. 그러므로 세상과의 구별이 있어야 하며, 물결이 높다고 떨어서는 안되겠다. 우리는 주무시는 주님을 깨우면 된다. 그리고 풍파 많은 곳에서도 하나님을 찬양하자.
(2) 우리의 입장
一. 예수 그리스도는 우리의 길이요 진리요 생명이다.
二. 다른 이로서는 구원을 얻을 수 없다.
제 6 강 선교, 교회, 성경 (6) -- 왜 성경에 기초해야 하는가? (5)
시편 113:1-3. 이제부터 영원까지 여호와의 이름을 찬양할지어다. 해뜨는 데부터 해지는 데까지 주의 이름이 찬양을 받으시기 원합니다.
말라기 1:10-11. "내가 너희를 기뻐하지 아니하며, 너희 손으로 드리는 것을 받지도 아니하리라. 만군의 여호와가 이르노라 해뜨는 곳에서부터 해지는 곳까지의 이방민족 중에서 내 이름이 크게 될 것이라. 각처에서 내 이름을 위하여 분향하며 깨끗한 제물을 드리리니 이는 내 이름이 이방민족 중에서 크게 될 것임이니라."
하나님은 선교지에 먼저 가서 무엇을 하셨느냐? 누구와 함께 일하였느냐? 교회 밖에서도 구원의 일을 하시느냐? 현대선교신학은 질문하고 있다. 그리고 재래종교와 같이 일하셨느냐? 재래종교에서 하는 것이 무엇이냐? 질문한다. 이들은 오늘 성경이 재래종교에서 하는 일을 말씀하고 있다고 하는데, 그것은 분향하며 제물을 드리는 것이라는 것이다. 그리고 이것을 통하여 하나님의 이름이 온 세계에서 크게 되고 있으며, 하나님께서 기뻐하심을 이야기하며, 그러므로 기독교와 타종교가 다를 것이 무엇이 있느냐? 주장하는 것이다.
하나님께서 "우리의 제물을 받지 않겠다. 기뻐하지 않는다. 그리고 이방족속의 분향과 제물을 내가 기쁘게 받는다." 말씀하신 것에 관하여 깊이 생각해 보아야 할 것이다.
히브리서 1장 1-2절.
1절 옛적에 선지자들로 여러부분(at many times)과 여러 모양(in various ways)으로 우리 조상들에게 말씀하신 하나님이
2절 이 모든 날 마지막에 아들로 우리에게 말씀하셨으니 이 아들을 만유의 후사로 세우시고 저로 말미암아 모든 세계를 지으셨으니
1절. 현대선교신학자들이 강조하며 주장하는 구절이다. 하나님은 재래종교들을 통해서 보이시고 말씀하시었다는 주장으로, 그들은 성부를 중심하여 선교에 대하여 강조하면서 1절의 말씀에 머물러 있다.
2절. 전통적인 선교 - 마지막에 하나님께서 말씀해 주신 것은 그리스도(모든 일의 후사가 되시고 온 우주를 만드신 분)를 통해서 말씀하시었다는 것이다. 이는 성자를 강조하는 선교신학으로서, 히브리서 1장 1-2절의 본문은 2절까지 다 해석되어야 한다. 1절은 옛적에 얘기해도 안되었다는 것으로 서론적인 것이다.
선교신학이 왜 성경에 기초되어야 하는가? 부분적인 것에만 머물러 있거나 잘못된 해석을 해서는 안되며, 다들 다르게 바라보고 있는 가운데서도, 거기에 타협하거나 양보하거나 물러서서는 안된다. 배는 물 위에 있어야 하는 것이지, 물이 우리 배 안으로 들어와서는 안되는 것이다. 그러므로 세상과의 구별이 있어야 하며, 물결이 높다고 떨어서는 안되겠다. 우리는 주무시는 주님을 깨우면 된다. 그리고 풍파 많은 곳에서도 하나님을 찬양하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