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서 론
2.본 론
1.신체장애가 임신장애는 아니다
2.장애여성의 임신과 출산에 대한 현실
1)사회적 제도의 부재
2)교육과 정보의 필요성
3.장애의 종류에 따른 주의점
4.장애여성의 출산사례
3.결 론
2.본 론
1.신체장애가 임신장애는 아니다
2.장애여성의 임신과 출산에 대한 현실
1)사회적 제도의 부재
2)교육과 정보의 필요성
3.장애의 종류에 따른 주의점
4.장애여성의 출산사례
3.결 론
본문내용
진옥씨가 못하는 집안일까지 하느라 혼자 바쁘다. 진옥씨만 두고 나가는 것이 꺼려져 건축일도 그만두었다. 지금은 화장품 가게를 하고 있다. 아침에 가게 문을 열고, 가족들 식사 준비를 한다. 식사 후에는 가게를 보며 틈틈히 집안 일을 한다. 파를 다듬고, 열무를 다듬고, 김치를 담그고…. 중간 중간 서경이와 진옥씨를 돌보는 것도 정근씨 몫.
집안일은 남편 혼자서 다 해
혼자서 모든 걸 해내야하지만 정근씨의 불만은 그게 아니다. 장애인에 대한 인식이 없는 다른 사람들이다.
"가끔 아내와 함께 시장에 가요. 짐을 쌓아둔 좁은 통로를 헤치고 어렵사리 휠체어를 움직여야하는데 '왜 나다니느냐'고 불평하는 사람들이 있어요. 그럴 땐 정말 싸워버리고 싶은데 아내가 있어 참아요."정근씨는 그래서 장애인의 날에만 장애인들에게 관심을 갖는 사람들이 싫다고. 진옥씨도 그 한시적인 관심이 싫어 장애인의 날에는 오히려 외출을 하지 않는다. 그들은 무슨 날 때문이 아니라 인식자체가 바뀌길 바란다.
"우리나라에서 장애인은 '불쌍한 사람'이나 '도와줘야 되는 사람' 정도밖에 아니예요. 외국에서는 어린이 대상 방송에서 장애인 공주 이야기가 나올 정도예요. 어려서부터 장애인이 특별한 사람이 아니라 함께 살아가는 사람이라는 인식을 심어주는 거죠.".
) 주간내일신문 279호(1999년 4월21일)
2)뇌성마비 여성 장애인 조윤경씨
조윤경씨는 심한 뇌성마비 장애여성인데, 비장애 남성을 만나 우여곡절 끝에 결혼을 하였고 아이를 낳았다.. 그녀의 남편이 팔과 다리가 되어 주고 있기 때문에 '어우러기회'라는 뇌성마비 장애여성들의 모임도 열심히 하고 있다.
건강한 둘째 아이를 낳다
그녀는 둘째 아이를 출산했으며, 이번에는 건강한 딸을 낳았다. 첫째 아이는 장애아였다. 하지만 그녀가 장애아를 낳은 것은 유전적인 이유에서가 아니라 후천적인 이유-결혼반대에 부딪쳐 정신적, 육체적으로 너무 힘들어서 태아에게 나쁜 영향을 미쳤다고 한다- 때문이었다. 그런데도 그녀는 주위 사람들의 따가운 시선을 감당해야 했다.
'장애여성이니까 장애아를 낳은 거겠지.' 하는...
출산도 남의 눈치봐가면서?
조윤경씨는 주변의 뇌성마비 장애여성들이 자신의 경우를 보고 임신을 두려워하는 것이 무엇보다 부담스러웠단다. 그래서 건강한 둘째아이를 낳게 된 것이 남다른 의미가 있는 듯했다. 손발이 자유롭지 못한 탓에 육아문제는 여전히 남아 있지만... 나는 아이를 낳고 기르는 문제가 남의 시선에 의해서 좌우될 수밖에 없다는 사실 자체가 장애여성이 처한 비극의 한 단면이라는 생각이 들었다. 조금만 마음을 열고 주위를 돌아봐도 아이 키우며, 일하며 열심히 살아가는 장애여성들이 얼마든지 있는데...
) www.ggolggab.com
결 론
여성이라면 누구에게나 출산에 대한 동등한 선택권을 주어야 한다.
우리나라의 장애인 인권헌장에는 '여성 장애인은 임신, 출산 및 가사등에 있어서 생활에 필요한 보호와 지원을 받을 권리를 가진다'라고 명시되어 있다.
또, 헌법 제 36조 1항과 2항에는 '혼인과 가족생활은 개인의 존엄과 양성의 평등을 기초로 성립되고 유지되어야 하며, 국가는 이를 보장한다. 국가는 모성의 보호를 위하여 노력하여야 한다'라고 명시되어 있다.
현대사회에서 자녀 양육은 개인만의 문제가 아니라 사회에서 공동으로 책임을 져야 할 부분이다. 이제는 장애인 문제를 장애인 자신이나 그 가족의 책임으로 전가하기 보다는 사회적인 차원에서 배려와 관심을 기울여야 한다.
영세민을 위한 가정도우미 파견 제도를 장애인 가정에까지 확대해서 장애 여성들이 정기적 산전 진단과 산후조리, 육아에 도움을 받을 수 있는 방안이 마련되어야 할 것이다. 국립재활병원과 같은 장애인 전문병원에 장애 여성의 임신과 출산을 다루는 전문과를 신설하는 것도 한 가지 대안이 될 것이다.
참고문헌
장애여성소식지(2000. 9월호, 11월호, 12월호) 서울시립북부장애인복지관
주간내일신문 279호 (1999년 4월 21일)
http://user.chollian.net/~pes412
www.ggolggad.com
www.hnews.co.kr
www.internet.or.kr 서울시립북부장애인복지관홈페이지
REPORT
*여 성 문 제*
장애여성의 임신과 출산에 관하여
*목 차*
서 론
본 론
1.신체장애가 임신장애는 아니다
2.장애여성의 임신과 출산에 대한 현실
1)사회적 제도의 부재
2)교육과 정보의 필요성
3.장애의 종류에 따른 주의점
4.장애여성의 출산사례
결 론
참고문헌
집안일은 남편 혼자서 다 해
혼자서 모든 걸 해내야하지만 정근씨의 불만은 그게 아니다. 장애인에 대한 인식이 없는 다른 사람들이다.
"가끔 아내와 함께 시장에 가요. 짐을 쌓아둔 좁은 통로를 헤치고 어렵사리 휠체어를 움직여야하는데 '왜 나다니느냐'고 불평하는 사람들이 있어요. 그럴 땐 정말 싸워버리고 싶은데 아내가 있어 참아요."정근씨는 그래서 장애인의 날에만 장애인들에게 관심을 갖는 사람들이 싫다고. 진옥씨도 그 한시적인 관심이 싫어 장애인의 날에는 오히려 외출을 하지 않는다. 그들은 무슨 날 때문이 아니라 인식자체가 바뀌길 바란다.
"우리나라에서 장애인은 '불쌍한 사람'이나 '도와줘야 되는 사람' 정도밖에 아니예요. 외국에서는 어린이 대상 방송에서 장애인 공주 이야기가 나올 정도예요. 어려서부터 장애인이 특별한 사람이 아니라 함께 살아가는 사람이라는 인식을 심어주는 거죠.".
) 주간내일신문 279호(1999년 4월21일)
2)뇌성마비 여성 장애인 조윤경씨
조윤경씨는 심한 뇌성마비 장애여성인데, 비장애 남성을 만나 우여곡절 끝에 결혼을 하였고 아이를 낳았다.. 그녀의 남편이 팔과 다리가 되어 주고 있기 때문에 '어우러기회'라는 뇌성마비 장애여성들의 모임도 열심히 하고 있다.
건강한 둘째 아이를 낳다
그녀는 둘째 아이를 출산했으며, 이번에는 건강한 딸을 낳았다. 첫째 아이는 장애아였다. 하지만 그녀가 장애아를 낳은 것은 유전적인 이유에서가 아니라 후천적인 이유-결혼반대에 부딪쳐 정신적, 육체적으로 너무 힘들어서 태아에게 나쁜 영향을 미쳤다고 한다- 때문이었다. 그런데도 그녀는 주위 사람들의 따가운 시선을 감당해야 했다.
'장애여성이니까 장애아를 낳은 거겠지.' 하는...
출산도 남의 눈치봐가면서?
조윤경씨는 주변의 뇌성마비 장애여성들이 자신의 경우를 보고 임신을 두려워하는 것이 무엇보다 부담스러웠단다. 그래서 건강한 둘째아이를 낳게 된 것이 남다른 의미가 있는 듯했다. 손발이 자유롭지 못한 탓에 육아문제는 여전히 남아 있지만... 나는 아이를 낳고 기르는 문제가 남의 시선에 의해서 좌우될 수밖에 없다는 사실 자체가 장애여성이 처한 비극의 한 단면이라는 생각이 들었다. 조금만 마음을 열고 주위를 돌아봐도 아이 키우며, 일하며 열심히 살아가는 장애여성들이 얼마든지 있는데...
) www.ggolggab.com
결 론
여성이라면 누구에게나 출산에 대한 동등한 선택권을 주어야 한다.
우리나라의 장애인 인권헌장에는 '여성 장애인은 임신, 출산 및 가사등에 있어서 생활에 필요한 보호와 지원을 받을 권리를 가진다'라고 명시되어 있다.
또, 헌법 제 36조 1항과 2항에는 '혼인과 가족생활은 개인의 존엄과 양성의 평등을 기초로 성립되고 유지되어야 하며, 국가는 이를 보장한다. 국가는 모성의 보호를 위하여 노력하여야 한다'라고 명시되어 있다.
현대사회에서 자녀 양육은 개인만의 문제가 아니라 사회에서 공동으로 책임을 져야 할 부분이다. 이제는 장애인 문제를 장애인 자신이나 그 가족의 책임으로 전가하기 보다는 사회적인 차원에서 배려와 관심을 기울여야 한다.
영세민을 위한 가정도우미 파견 제도를 장애인 가정에까지 확대해서 장애 여성들이 정기적 산전 진단과 산후조리, 육아에 도움을 받을 수 있는 방안이 마련되어야 할 것이다. 국립재활병원과 같은 장애인 전문병원에 장애 여성의 임신과 출산을 다루는 전문과를 신설하는 것도 한 가지 대안이 될 것이다.
참고문헌
장애여성소식지(2000. 9월호, 11월호, 12월호) 서울시립북부장애인복지관
주간내일신문 279호 (1999년 4월 21일)
http://user.chollian.net/~pes412
www.ggolggad.com
www.hnews.co.kr
www.internet.or.kr 서울시립북부장애인복지관홈페이지
REPORT
*여 성 문 제*
장애여성의 임신과 출산에 관하여
*목 차*
서 론
본 론
1.신체장애가 임신장애는 아니다
2.장애여성의 임신과 출산에 대한 현실
1)사회적 제도의 부재
2)교육과 정보의 필요성
3.장애의 종류에 따른 주의점
4.장애여성의 출산사례
결 론
참고문헌
키워드
추천자료
[섭식][섭식장애][장애][거식증][폭식증]섭식의 정의, 증상, 특성과 섭식장애의 유형 및 섭식...
[성기능장애][성장애][성기능문제]성기능장애(성장애, 성기능문제) 특징, 성기능장애(성장애,...
[장애인자립생활]장애인자립생활의 이론적 배경, 장애인자립생활의 필요성, 장애인자립생활지...
[장애인자립생활][장애인자립생활운동]장애인자립생활의 정의와 역사, 장애인자립생활의 필요...
[정서장애아교육][특수교육][장애인교육]정서장애아동의 정의와 정서장애아동의 장애요인 및 ...
한국 장애인복지정책의 현황 및 문제점과 새로운 방향 설정 보고서 - 장애인의 개념과 유형, ...
[정신지체][정신지체장애][지적장애][정신지체아][정신지체아동][지적장애아]정신지체(정신지...
뇌성마비(뇌성마비장애인, 뇌성마비아동) 아동, 운동, 뇌성마비(뇌성마비장애인, 뇌성마비아...
[자폐성 장애(전반적 발달장애, 자폐아동)]자폐성 장애(전반적 발달장애, 자폐아동)의 개념, ...
전반적 발달장애(자폐성 장애, 자폐증)의 행동적 특성, 인지적 특성, 전반적 발달장애(자폐성...
자폐(자폐아동, 자폐성 장애, 전반적 발달장애)의 정의, 특징, 원인, 증상, 자폐(자폐아동, ...
뇌성마비(뇌성마비아동,뇌성마비장애인) 개념,특성, 뇌성마비(뇌성마비아동,뇌성마비장애인) ...
[정신지체][뇌병변 장애 동반된 정신지체 치료] 뇌성마비 정의와 수반장애, 뇌병변 장애 동반...
(지체장애) 지체장애의 개념과 지체장애의 발생원인, 지체장애의 특성과 지체장애인의 인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