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유진오날
2.Thornton Niven Wilder
3.테네시 윌리암스
4.아서밀러
5.에드워드 올비
6.샘 새퍼드
작가 소개와 작품설명등..
ㅡ 미국 남성 극작가의 작품에 나타난 여성 이미지
2.Thornton Niven Wilder
3.테네시 윌리암스
4.아서밀러
5.에드워드 올비
6.샘 새퍼드
작가 소개와 작품설명등..
ㅡ 미국 남성 극작가의 작품에 나타난 여성 이미지
본문내용
이 여성에 의해 폭발되지는 않았지만 도중하차되고 만 외로운 방랑아"(Pearlman 183)이다. 그를 둘러싼 모든 여인은 그의 현재의 처지를 야기시키는데 공헌을 한다. 바람이 나서 집을 나간 어머니는 "제리가 창녀들에게 집착하는"(Pearlman 184) 원인이 되었고 그를 키워 준 이모는 "현실에 대한 희생적 접근에 의해 그로 하여금 배신감을 느끼게" (Pearlman 184)만들었다. 하숙집 여주인은 그를 끊임없이 유혹하는 여인이다. 이 작품에서는 모든 유형적인 여성 인물들이 제리의 입을 통해 언급되지만 이 모든 여인들은 제리의 비참한 생활의 원인제공자로 그려지고 있다.
V. 결론
남성 극작가가 쓴 미국 희곡 작품에서 묘사되는 주된 여성 이미지가 희생자, 창녀, 그리고 악녀의 모습이며 그러한 전통이 유진 오닐로부터 샘 셰퍼드에 이르기까지 계승되고 있다는 사실을 지금까지 살펴보았다. 물론 이러한 여성 이미지의 구분은 다른 장르의 여성론적 연구에서도 그동안 너무나 잘 알려져 왔으며 도식적이라는 한계를 가지고 있다. 이러한 한계를 뛰어넘기 위해서 최근에 대두한 접근 방법은 바로 독자 반응 비평, 해체적 읽기, 신역사주의, 영화기호학 등을 연극 비평에 적용하는 것이다. 게일 오스틴은 제 3단계의 페미니스트 비평을 논하면서 최근에 "주목을 받는 주제들이 사실주의, 내러티브, 모방 등 전통적인 극적 문제에 대한 여성론적 관점"(18)이라고 지적한다. 본 논문에서는 여성이 무대에 재현되는 방식을 밝혀보기 위해 신역사주의, 독자반응 비평, 영화기호학의 이론들을 단편적으로 적용시켜 보았다. 이를 통해 사실주의의 재현적 양태가 기본적으로 훔쳐보기를 조장하고 응시의 대상이 되는 여성을 객체화시키는 경향이 있음을 살펴보았다. 그리고 재현은 그 속성상 가부장적 이데올로기가 개입, 조작할 가능성을 언제나 열어놓고 있으며 그 이데올로기는 과거의 역사를 취사 선택하여 허구화시킨다는 사실을 여러 작품의 예를 통해 밝혔다.
인 용 문 헌
Albee, Edward. The American Dream and The Zoo Story. New York: New American Library, 1963.
Austin, Gayle. Feminist Theories for Dramatic Criticism. Ann Arbor: Univeristy of Michigan Press, 1990.
―-. "Exchange of Women and Male Homosocial Desire in Arthur Miller's Death of a Salesman and Lillian Hellman's Another Part of the Forest." Feminist Rereadings of Modern American Drama. Ed. June Schlueter. Rutherford: Fairleigh Dickinson University Press, 1989. 59-66.
Hart, Lynda. "Sam Shepard's Pornographic Vision." Studies in the Literary Imagination 21 (1988): 69-82.
―-. Sam Shepard's Metaphorical Stages. New York: Greenwood Press, 1987.
Haskell, Molly. From Reverence to Rape. New York: Penguin Books, 1974.
Mamet, David. Sexual Perversity in Chicago and The Duck Variations. New York: Grove Press, 1974.
Miller, Arthur. Death of a Salesman. New York: The Viking Press, 1949.
Mulvey, Laura. "Visual Pleasure and the Narrative Cinema." Feminism and Film Theory. Ed. Constance Penley. New York: Routledge, 1988. 69-79.
O'Neill, Eugene. Long Day's Journey into Night. New Haven: Yale Univeristy Press, 1955.
Pearlman, Mickey. "What's New at the Zoo?: Rereading Edward Albee's American Dream(s) and Nightmares." Feminist Rereadings. 183-191.
Schlueter, June. Feminist Rereadings of Modern American Drama. Rutherford: Fairleigh Dickinson University Press, 1989.
―-. Modern American Drama: The Female Canon. Rutherford: Fairleigh Dickinson University Press, 1990.
Shepard, Sam. A Lie of the Mind. London: Methuen, 1986.
―-. Sam Shepard: Seven Plays. New York: Bantam Books, 1981.
Stanton, Kay. "Women and the American Dream of Death of a Salesman." Feminist Rereadings. 67-102.
Vlasopolos, Anca. "Authorizing History: Victimization in A Streetcar Named Desire." Feminist Rereadings. 149-170.
Whiting, Charles. "Images of Women in Shepard's Theatre." Modern Drama 33 (1990): 494-506.
Williams, Tennessee. A Streetcar Named Desire. The Theatre of Tennessee Williams. Vol. 1. New York: New Directions, 1971.
V. 결론
남성 극작가가 쓴 미국 희곡 작품에서 묘사되는 주된 여성 이미지가 희생자, 창녀, 그리고 악녀의 모습이며 그러한 전통이 유진 오닐로부터 샘 셰퍼드에 이르기까지 계승되고 있다는 사실을 지금까지 살펴보았다. 물론 이러한 여성 이미지의 구분은 다른 장르의 여성론적 연구에서도 그동안 너무나 잘 알려져 왔으며 도식적이라는 한계를 가지고 있다. 이러한 한계를 뛰어넘기 위해서 최근에 대두한 접근 방법은 바로 독자 반응 비평, 해체적 읽기, 신역사주의, 영화기호학 등을 연극 비평에 적용하는 것이다. 게일 오스틴은 제 3단계의 페미니스트 비평을 논하면서 최근에 "주목을 받는 주제들이 사실주의, 내러티브, 모방 등 전통적인 극적 문제에 대한 여성론적 관점"(18)이라고 지적한다. 본 논문에서는 여성이 무대에 재현되는 방식을 밝혀보기 위해 신역사주의, 독자반응 비평, 영화기호학의 이론들을 단편적으로 적용시켜 보았다. 이를 통해 사실주의의 재현적 양태가 기본적으로 훔쳐보기를 조장하고 응시의 대상이 되는 여성을 객체화시키는 경향이 있음을 살펴보았다. 그리고 재현은 그 속성상 가부장적 이데올로기가 개입, 조작할 가능성을 언제나 열어놓고 있으며 그 이데올로기는 과거의 역사를 취사 선택하여 허구화시킨다는 사실을 여러 작품의 예를 통해 밝혔다.
인 용 문 헌
Albee, Edward. The American Dream and The Zoo Story. New York: New American Library, 1963.
Austin, Gayle. Feminist Theories for Dramatic Criticism. Ann Arbor: Univeristy of Michigan Press, 1990.
―-. "Exchange of Women and Male Homosocial Desire in Arthur Miller's Death of a Salesman and Lillian Hellman's Another Part of the Forest." Feminist Rereadings of Modern American Drama. Ed. June Schlueter. Rutherford: Fairleigh Dickinson University Press, 1989. 59-66.
Hart, Lynda. "Sam Shepard's Pornographic Vision." Studies in the Literary Imagination 21 (1988): 69-82.
―-. Sam Shepard's Metaphorical Stages. New York: Greenwood Press, 1987.
Haskell, Molly. From Reverence to Rape. New York: Penguin Books, 1974.
Mamet, David. Sexual Perversity in Chicago and The Duck Variations. New York: Grove Press, 1974.
Miller, Arthur. Death of a Salesman. New York: The Viking Press, 1949.
Mulvey, Laura. "Visual Pleasure and the Narrative Cinema." Feminism and Film Theory. Ed. Constance Penley. New York: Routledge, 1988. 69-79.
O'Neill, Eugene. Long Day's Journey into Night. New Haven: Yale Univeristy Press, 1955.
Pearlman, Mickey. "What's New at the Zoo?: Rereading Edward Albee's American Dream(s) and Nightmares." Feminist Rereadings. 183-191.
Schlueter, June. Feminist Rereadings of Modern American Drama. Rutherford: Fairleigh Dickinson University Press, 1989.
―-. Modern American Drama: The Female Canon. Rutherford: Fairleigh Dickinson University Press, 1990.
Shepard, Sam. A Lie of the Mind. London: Methuen, 1986.
―-. Sam Shepard: Seven Plays. New York: Bantam Books, 1981.
Stanton, Kay. "Women and the American Dream of Death of a Salesman." Feminist Rereadings. 67-102.
Vlasopolos, Anca. "Authorizing History: Victimization in A Streetcar Named Desire." Feminist Rereadings. 149-170.
Whiting, Charles. "Images of Women in Shepard's Theatre." Modern Drama 33 (1990): 494-506.
Williams, Tennessee. A Streetcar Named Desire. The Theatre of Tennessee Williams. Vol. 1. New York: New Directions, 1971.
추천자료
[사진감상의 이해]『흑백사진 속의 이야기』-작가 신철균- 사진6장포함
(현대문학강독)신소설 염상섭의 「만세전」과 현진건의 「빈처」의 줄거리와 작가들의 개화의...
[자기소개서 사례][자소서][자기소개서 예문][자기소개서 작성]설득력 있는 자기소개서(자소...
서울시립미술관 소개
명화로 풀어낸 죽음 김영하 <나는 나를 파괴할 권리가 있다> _ 김영하 작가.PPT자료
허균 소설 홍길동전의 주인공, 허균 소설 홍길동전의 작가, 허균 소설 홍길동전의 주제, 허균...
김시습 금오신화의 의미와 분류, 김시습 금오신화의 특징과 작가, 김시습 금오신화의 여성상,...
메데아 존재의 이중성,메데아의 궁극적 복수,작가 세네카의 의도,메데아의‘자아객관화’의 효과
영화소개,영화분석,헐리우드식 휴머니즘,시공간적 배경,주요장면,촬영기법,브랜드 마케팅,서...
안도 다다오(Ando Tadao/安藤 忠雄) 소개 및 작품소개 Tadao Ando Research Presentation.pptx
춘향전 소개
[책소개] 회복탄력성 (시련을 행운으로)
조선후기 가집에 대하여 - 『청구영언』과 『가곡원류』를 중심으로 -
문예창작과학업계획서 문예창작학과학업계획서 합격학업계획서*문예창작학과자기소개서 문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