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18세기 초 (『청구영언』)와 19세기 후반 (『가곡원류』) 가집의 변화
1. 『청구영언』
1) 『청구영언』 소개
2) 『청구영언』과 18세기 시조문학
(1) 시조의 작가층
(2) 사설시조
2. 『가곡원류』
1) 『가곡원류』 소개
2) 『가곡원류』와 19세기 시조문학
(1) 가집의 전문화(專門化)
3. 『청구영언』과 『가곡원류』의 차이점
1) 표면적 차이
2) 시대상의 차이
Ⅱ.『청구영언』의 연군(戀君), 견적(譴謫), 보효(報效) 주제의 차이
1. 연군(戀君), 견적(譴謫), 보효(報效)의 작품해석
1) 연군(戀君) (294-297)
2) 견적(譴謫) (298-300)
3) 보효(報效) (301-302)
2) 연군(戀君), 견적(譴謫), 보효(報效)와 18세기 초 중세적 사유방식
<참고문헌>
1. 『청구영언』
1) 『청구영언』 소개
2) 『청구영언』과 18세기 시조문학
(1) 시조의 작가층
(2) 사설시조
2. 『가곡원류』
1) 『가곡원류』 소개
2) 『가곡원류』와 19세기 시조문학
(1) 가집의 전문화(專門化)
3. 『청구영언』과 『가곡원류』의 차이점
1) 표면적 차이
2) 시대상의 차이
Ⅱ.『청구영언』의 연군(戀君), 견적(譴謫), 보효(報效) 주제의 차이
1. 연군(戀君), 견적(譴謫), 보효(報效)의 작품해석
1) 연군(戀君) (294-297)
2) 견적(譴謫) (298-300)
3) 보효(報效) (301-302)
2) 연군(戀君), 견적(譴謫), 보효(報效)와 18세기 초 중세적 사유방식
<참고문헌>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