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정의
2. 목적
3. 출발점
4. 속성
5. 증표(證標)
6. 직무
2. 목적
3. 출발점
4. 속성
5. 증표(證標)
6. 직무
본문내용
생활에 있어 유일한 지침으로 '말씀'이 최고 권위의 자리에 있음을 마땅히 가르쳐야 하는 것입니다.
이런 차원에서 신자들에게 있어 최고의 권위는 교회의 정치도 아니며 여러 사람이 모여서 결정하는 것도 아니고, 또한 카톨릭처럼 큰 권력을 가지고 교회 자체가 최고 권위의 자리에 있는 것도 아닙니다. 오직 모든 것의 권위는 말씀에 있고 교회도 그 말씀의 권위하에 있는 것입니다.
이 말씀 권위 사상에 근거하여 교회와 교회 아닌 것을 구별하는 기준으로서 개혁자들이 제시하고 있는 세 가지 징표는 ① 말씀의 참된 전파 ② 성례의 정당한 거행 ③ 권징의 신실한 시행입니다.
우선 말씀의 참된 전파에 있어서 교회는 마땅히 말씀을 신실하게 선포하고 가르치는 일을 최우선의 과제로 삼아야 합니다.
둘째로, 말씀의 가현적 형태인 세례와 성찬 같은 의식을 정당하고 신실하게 집행함으로 교회가 말씀의 지배하에 있을 효과적으로 증거하는 것입니다.
셋째로는 말씀의 가르침에 따라 그릇된 것을 배제하고 잘못된 것을 교정, 권면하고 징계하는 권징이 있어야 교회는 그 속에서 진리의 빛을 상실하지 않고 거룩한 것을 남용하지 않게 되는 것입니다.
직무
▷ 은사의 문제
▷ 직분의 문제
▷ 디아코니아
이런 차원에서 신자들에게 있어 최고의 권위는 교회의 정치도 아니며 여러 사람이 모여서 결정하는 것도 아니고, 또한 카톨릭처럼 큰 권력을 가지고 교회 자체가 최고 권위의 자리에 있는 것도 아닙니다. 오직 모든 것의 권위는 말씀에 있고 교회도 그 말씀의 권위하에 있는 것입니다.
이 말씀 권위 사상에 근거하여 교회와 교회 아닌 것을 구별하는 기준으로서 개혁자들이 제시하고 있는 세 가지 징표는 ① 말씀의 참된 전파 ② 성례의 정당한 거행 ③ 권징의 신실한 시행입니다.
우선 말씀의 참된 전파에 있어서 교회는 마땅히 말씀을 신실하게 선포하고 가르치는 일을 최우선의 과제로 삼아야 합니다.
둘째로, 말씀의 가현적 형태인 세례와 성찬 같은 의식을 정당하고 신실하게 집행함으로 교회가 말씀의 지배하에 있을 효과적으로 증거하는 것입니다.
셋째로는 말씀의 가르침에 따라 그릇된 것을 배제하고 잘못된 것을 교정, 권면하고 징계하는 권징이 있어야 교회는 그 속에서 진리의 빛을 상실하지 않고 거룩한 것을 남용하지 않게 되는 것입니다.
직무
▷ 은사의 문제
▷ 직분의 문제
▷ 디아코니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