골프에 대해서..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32
  • 33
해당 자료는 10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0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1. 골프의 전반적인 개념
(1) 골프의 기원과 역사적 발달
(2) 한국골프의 역사적 배경
(3) 골프코스의 종류 및 형태

2. 골프경영과 관련산업

3. 골프경영의 현황 및 문제점

1. 골프경영의 최근현황
(1) 국내 운영중인 골프장 현황
(2) 미국 골프산업 현황 분석
(3) 골프산업의 현행 과세제도

2. IMF 사태 이후의 골프계 현황
(1) IMF 에서의 골프계 현주소
(2) IMF 사태 이후의 골프전망

본문내용

화된 것으로 나타났다. 골프부킹난이 가중됨에 따라 국내 골프장을 찾는 외국골퍼들이 줄어들고 있다.
지난해 92개 회원제 골프장을 찾은 외국골퍼들은 128,200명으로 전년보다 4,000명 늘어나는데 그쳤다. 전체 내장객 중 외국골퍼들이 차지하는 비중도 1991년의 3.9%에서 95년에는 2.1%, 그리고 97년에는 1.6%로 계속 낮아졌다. 외국골퍼들이 주중에 골프장을 찾는 비중이 전체의 1.63%인데 반해 주말에는 1.47%로 낮아져 주말에 골프장을 덜 찾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IMF 한파가 몰아닥친 지난해 12월 이후 골프장 내장객 수는 크게 줄어들고 있다. 즉 97년 12월에는 회원제 골프장의 내장객 수가 전년 같은 기간에 비해 13%줄었고 금년 1∼2월에도 19%나 감소했다. 금년의 골프장 내장객 수는 IMF한파에도 불구하고 980만명으로 전년수준을 유지할 것으로 전망된다.
이처럼 낙관적으로 보는 이유는 국민정부의 공직자 골프해금으로 골프에 대한 사회의 비판적인 인식이 어느 정도 완화될 것으로 보이는 데다 많은 알뜰 골퍼들이 그린피가 인상된 회원제 골프장보다는 값싼 퍼블릭 코스를 찾고 있기 때문이다. 또한 국내 골프장을 찾는 외국골퍼들도 늘어날 것으로 예상되는데 이는 외국골퍼 입장에서는 원화가치 폭락으로 그린피를 포함해 골프관련 비용이 크게 줄어들었고 국내경기 침체로 부킹난도 다소 완화될 것이기 때문이다.
1997년에 986만명에 달했던 골프장 내장객 수는 <표3-6>에서 보는 바와 같이 2000년에 1,140만명, 그리고 2005년에는 2,150만명으로 늘어날 전망이다. 골프장 내장객 수가 전체 인구에서 차지하는 비중을 보면, 1997년에는 21%에서 2000년에 24%, 그리고 2005년에는 44%로 국민 10명중 4명 정도가 골프를 치면서 골프대중화가 급속히 진전될 전망이다.
단 위
1997
2000
2005
골프
장수
회 원 제
대 중
누 계
개 소
92
24
116
125
33
158
185
120
305
골프
인구
내장객 수(A)
전체 인구(B)
(비중, A/B
만 명
만 명
%
986
4,599
(21.4%)
1.140
4,727
(24%)
2,150
4,912
(44%)
골프장당 내장객수

85,040
72,000
71,000
자 료 : 파골프. 1998년 8월호 59p
우리나라의 골프장수는 1997년말 현재 회원제 92개소, 대중 25개소를 포함해 총 117개소에 달하고 있다. 또한 현재 건설중인 골프장은 82개소에 달하고 있으나 IMF한파로 이들 골프장들이 개장을 연기할 것으로 예상된다.
이중 개장을 계획중인 신설골프장들은 공사비를 충당하기 위해서 회원권을 분양해야 하나 IMF한파로 골프회원권 값이 50∼60%정도 폭락해 개장 연기가 불가피하다. 참고로 최근 들어 경영난이 심화된 기존 골프장에 신설 골프장까지 가세해 팔려고 내놓은 골프장이 20여개에 달하고 있으나 거래는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한편 현재 사업승인을 받고 공사를 착공하지 않은 골프장과 향후 골프장을 건설할 예정인 골프장 사업주들은 IMF한파의 영향으로 골프장의 개장을 2000년 초반 이후로 연기할 가능성이 높다. 왜냐하면 향후 2∼3년 후인 2000년대 초반이 되면 국내경제가 그동안의 구조조정 노력으로 튼튼한 경제기반 위에 5%대의 안정성장을 달성할 것으로 예상되고 이에 따라 골프장 회원권 시장도 기지개를 펼 것으로 전망되기 때문이다.
98년 11월 현재 공사중인 골프장 수는 82개소(회원제 54개소, 퍼블릭 28개소)이고, 미착공 골프장 수는 14개소(회원제 5개소, 퍼블릭 9개소)에 달하고 있다. 따라서 117개소 달하고 있는 골프장 수가 2000년에는 125개소 늘어나는데 그칠 것이나 2005년에는 305개소로 현재보다 2.6배 정도 늘어날 전망이다. 즉 2000년대 초반 이후에는 국내경기 회복에다 외국업체의 국내진출 및 국민정부의 긍정적인 골프관 등으로 골프장에 대한 규제가 상당히 완화되면서 퍼블릭 코스를 중심으로 급증할 것으로 예상된다.
나. 외국기업의 진출로 정부 규제 크게 줄어들 전망
IMF사태는 골프장 경영에도 큰 영향을 미치고 있다. 지금까지와 같이 골프회원권의 분양에 전적으로 의존하거나 차입금에 의존하는 골프장은 생존하기 어려울 것이기 때문이다. 따라서 앞으로는 골프장 사업에 진출하기 전에 사업타당성을 면밀히 분석해야 하고 또한 사업경영시 최악의 시나리오도 짜놓아 IMF같은 한파에 대비하지 않으면 안될 것이다.
한편 국내 골프장의 경영난, 자금난 등으로 어려움을 겪고 있는 골프장들이 98년 하반기 이후에는 외국인의 손에 넘어갈 가능성도 적지 않다. 이는 국내 부의 해외유출이라는 부정적인 측면이 있지만 국내 골프업계의 수준을 한 단계 끌어올릴 수 있는 좋은 기회가 되는 동시에 정부의 무분별한 개입이 줄어들고 선진 외국기업들의 선진 경영 노하우가 도입되는 등의 긍정적인 측면도 적지 않을 것으로 기대된다. 그동안 골프업계의 숙원이었던 중과세 문제 등이 빠른 시일 내에 해결되면 그린피의 인하가 가능해지면서 골프대중화를 크게 앞당길 수 있을 것이다.
골프장 시장도 회원 위주로 경영되면서 그린피가 비싼 회원제 골프장과 일반대중 위주의 그린피가 낮은 퍼블릭 코스로 급속히 양분되면서 퍼블릭코스가 크게 늘어날 전망이다. 신정부도 퍼블릭 코스 건설을 촉진하는 방향으로 세제지원을 강화하고 법적·제도적 보완조치도 이어질 것으로 보인다. 회원제 골프장을 건설할 경우 현지 주민들의 저항이 만만치 않은 데다 골프장 건설로 인한 자연환경 훼손이 심각할 것으로 우려되기 때문이다.
퍼블릭코스는 넓은 땅이 필요하지 않기 때문에 야산이나 논밭보다는 해안 매립지나 쓰레기 매립지, 폐광지역 등의 불모지에 건설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런 불모지에 골프장을 건설할 경우 지역주민은 물론 지방자치단체들이 발벗고 나서면 골프장건설이 용이해지는 것은 물론 골프에 대한 일반국민들의 부정적인 인식을 바꾸는 계기도 될 것으로 기대된다. 그래서 일반국민들이 골프장을 건설하는 것이 오히려 환경을 보호할 수 있다는 것을 인식할 수 있도록 해야한다.

키워드

  • 가격3,300
  • 페이지수33페이지
  • 등록일2002.11.03
  • 저작시기2002.1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210128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